■ 경주이씨/선조문집 141

세촌선생실기(細村先生實記)

■ 세촌선생실기(細村先生實記) 1921년 이수현(李綬鉉)外 후손들이 간행한 문집. 필자 소장본 크기 : 20,5㎝(가로) x 31㎝(세로) ● 이문좌(李文佐) /22世 [문 과] 성종(成宗) 14년(1483) 계묘(癸卯)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1[장원(壯元)]위 [생원시] 성종(成宗) 11년(1480) 경자(庚子) 식년시(式年試) 식년생원 1등(一等) 5위/합격연령 20歲. 거주지는 광주(廣州)이다. ------------------------------------------------------------------------------------------------------------------------------------ 1461년(세종 7)~1491년(성종 22)의 조선 전기 문신...

봉은유고(鳳隱遺稿)/李寶鉉 著

봉은유고(鳳隱遺稿) 필자 소장본(1984년 간) [저자소개] ■ 37世 이보현(李寶鉉) ◇판본 : 석판본(石版本) ◇간행연도 : 1984년 ◇평리성암공파 22世 ◇細村公 李文佐의 후손 ◇생졸년 : 1893년(고종 30)∼1968년. 일제강점기 유학자· 한의사. 자는 응선(應善)이고, 호는 봉은(鳳隱)이다. 본관은 경주(慶州)이고, 강원도 양양(襄陽) 지내리(池內里) 출신이다. 승문원검교(承文院檢校) 세촌(細村) 이문좌(李文佐)의 후손이다. 고조는 성와(誠窩) 이영주(李永周), 증조는 호군(護軍) 이종재(李鐘才), 조부는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이진영(李鎭榮)이고, 부친 이규경(李圭景)과 어머니 경주손씨(慶州孫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외조부는 손을모(孫乙模)이다. 초취는 박병규(朴炳奎)의 딸 밀양박씨(密陽..

나재집(懶齋集) - 이이장 저(李爾長 著)

■ 나재집(懶齋集) [저자] 28世 이이장(李爾長)/평리성암공 후 22世 세촌공 이문좌 6대손임. [판사항] 석판본(石版本) [간사자] 刊寫者未詳 [간행연도] 1957년 [발행사항] [刊寫地未詳]:b[刊寫者未詳], 1957 [형태사항] [冊(63張):b四周雙邊, 半廓 20.4 x 16.7 cm. 有界. 10行18字. 上 下向二葉花紋魚尾 : c30.5 x 20.1 cm [주기사항] 序: 歲丙申(1956)...權相圭跋: 丁酉(1957)...李圭虎 필자 소장본 ● 이이장(李爾長)선생 세계도 평리성암공파조 16世 인정(仁挺)→17世 헌납공(獻納公) 규(樛)→18世 전서공(典書公) 원선(元善)→19世 장성감무(長城監務) 진(進)→20世 판관공(判官公)→권생(權生)→21世 감무공(監務公) 상(祥)→22世 세촌공(細..

남파집(南坡集) - 이안태 저(李顔泰 著)

■ 남파유고(南坡遺稿) 저자 : 이안태 저(李顔泰 著)/국당공 후 제정공파 1944년 이안태의 아들 이득소(李得紹)가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김황(金榥)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족손 이규남(李圭南)의 발문이 있다. 조선후기의 학자 이안태(李顔泰)선생의 남파유고(南坡遺稿) 단책(單冊)과, 조선중기의 학자 조여심(曺汝諶) 선생의 환학당일고(喚鶴堂逸稿) 단책(單冊) 합 2책으로 역어져있다. ------------------------------------------------------------------------------------------------------------------------------------ [자료상세내용] 1) 南坡遺稿 단책 : 李顔泰(1834-1892)선생의 본관은 경주(..

덕봉집(德峰集)/李鎭宅의 詩文集

■ 덕봉집(德峰集)-李鎭宅의 詩文集 조선시대 덕봉(德峯) 이진택[李鎭宅, 1738(영조 14)~1805(순조 5)]의 문집이다. 본집(本集)은 저자의 아들 복한(復漢)이 가장(家狀)을 지어 금파(琴坡) 이정병(李鼎秉)에게 묘갈명(墓碣銘)을 받아 유적(遺蹟)을 정리하고 저자(著者)의 증손 우영(祐榮)이 수집(蒐集)ㆍ편차(編次)한 고본(稿本)에 저자(著者)의 현손 규일(圭一)과 규승(圭升)이 부록문자(附錄文字)를 증보(增補)하여 이만도(李晩燾)의 교정(校正)을 받아 1902년 목판(木板)으로 간행(刊行)한 초간본(初刊本)이다. 본집(本集)은 원집(原集) 6권, 소회록(疏會錄) 합 3책으로 되어 있다. 권수(卷首)에 이만도가 1902년에 지은 서(序)와 총목록(總目錄)이 있다. 권1은 시(詩)이다. 권2는 소..

오당실기(五堂實紀)/李培源 著

■ 오당실기(五堂實紀) 五堂 李培源 著 [世系圖] 17世 사인공 조(舍人公派 派祖) →18世 處中(처중)→19世 재(裁)→20世 전(筌)→21世 옹(邕)→22世 應禎→23世 몽룡(夢龍)→24世 건곤(建坤)→25世 후영(厚英)→26世 주신(周臣)→27世 항수(恒壽)→28世 도진(道眞)→29世 증장악원정((贈掌樂院正) 윤식(潤植)→30世 희정(熙鼎)→31世 증참판공(贈參判公) 복규(復奎)→32世 비서승(秘書丞) 석순(錫淳)→33世 참봉(參奉) 배원(培源)이다. 전북 익산시 함라면 함열리 411-2에 소재한 익산시 향토유적 제10호 이배원 가옥(李培源 家屋)의 주인이었던 만석군 이배원(李培源, 1881~1949) 선생이 구 한말 비서감승(秘書監丞)을 역임한 아버지 효자 이석순(孝子 李錫淳)의 오당실기(五堂實紀..

운헌집(雲軒集) - 李光翼 著

▲필자 소장본 ■ 운헌집(雲軒集)/李光翼 著 ◈성명 : 李光翼((朝鮮) 1598(선조 31)~1656(효종 7) ◈세계 : 국당공 후 문정공파 ◈ 생원 : 광해(光海) 10년(1618) 무오(戊午) 식년시(式年試) [생원] 2등(二等) 6위(11/100) ◈본관 : 慶州李氏 국당공 후 문정공파 ◈서문 : 辛亥(1911). 柳必永謹序, 金奎華謹書 ◈발문 : 李邁久跋, 歲在壬戌(1742)…不肖曾孫一福識 ◈판본 : 木板本 ◈크기 : 29.3 x 20.1 cm. ◈간행연도 : 1922년 ◈ 수량 : 2卷 1冊 [요약정리] 『운헌집(雲軒集)』은 조선중기의 학자 이광익(李光翼 : 1598년(선조 31)∼1656년(효종 7).의 시문집이다. 이광익의 자는 도창(道昌), 호는 운헌(雲軒),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이..

죽헌집(竹軒集)-이구징(李耉徵) 著

■ 죽헌문집(竹軒文集) 著者 : 28世 이구징(李耉徵) /경주이씨 판윤공 후 26世 청와공(淸窩公) 경한(景漢)의 손자이다. 필자 소장본 ■ 죽헌문집(竹軒文集) [저자] 이구징(李耉徵/朝鮮) [간행연도] 1911년 [판본] 목판본(木板本) [발행사항] [刊寫地未詳] : [刊寫者未詳], [刊寫年未詳] [형태사항] 2卷1冊 : 四周雙邊 半郭 19.5 x 15.2 cm, 有界, 10行20字 註雙行, 上下內向2 葉花紋魚尾 : 27.5 x19.3 cm [주기] 表題 : 竹軒集 序 : 重光大淵獻(辛亥, 1911)仲呂月上浣 烏川鄭鎭憲謹序 小識 : 八世孫[李]圭海謹識 [내용주기] 卷1, 詩, 疏, 雜著, 序, 上樑文, 祝文, 祭文. -- 卷2, 墓碣銘, 墓誌銘, 附錄 [저자 요약] 28世 이구징[李耉徵, 1609년(광..

석탄집(石灘集) - 李存吾 著

[가계도] 17世 손보(孫寶) 장령(掌令) │ 18世 길상(吉祥) + 配 : 溫陽方氏 大提學 方曙의 女 사재감승(司宰監丞) ㅣ 19世 양오(養吾)─존오(存吾)──존중(存中)─존사(存斯) 직장공 석탄공 진사공 교감공 (直長公) (石灘公) (進士公) (校勘公) 官: 右正言 ┌─────┘ 20世 래(來)────채(採) *출계 존중 후(出系 存中 后) 대제학공 감찰공 (大提學公) (監察公) [형태서지] ◈권수재 : 석탄집(石灘集) ◈판심제 : 석탄집(石灘集) ◈간 종 : 목판본 ◈간행년 : 1726년 ◈권 책 : 2권 1책 ◈행 자 : 10행 16자 ◈규 격 : 22.5 × 20.8(㎝) ◈어 미 : 上下二葉花紋魚尾 ◈소장처 :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도서번호 : 811.96-이존오-석-판 ◈총간집수 : 한..

松窩先生文集 - 22世 李從允 著/국당공 후

■ 松窩先生文集. [서지(書誌)] 李從允선생의 석판본 4권 2책(完帙). ◈경매일자 : 2013. 01. 15 ◈手書刻序 : 歲閼逢執徐(甲辰, 1964) 重陽節 眞城后人 李起鎬 謹 序. ◈後敍 : 甲辰(1964) 首夏聞韶金正模謹書. ◈後識 : 甲辰(1964) 臘月晦鷲山後學辛檍謹識. ◈跋 : 歲甲辰(1964) 南至月十五世孫[李]鍾濩 謹 撰. ◈小識 : 十六世孫[李]殷雨 敬書. ◈크기 : 20.0×30.0㎝ ◈著者 : 李從允 著. 필자 소장본 [책의내용]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 이종윤(李從允)의 시문집이다. 이명박 대통령의 17대조이다. 4권 2책. 석인본. 1964년 후손 찬우(贊雨)ㆍ형우(亨雨)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기호(李起鎬)의 서문과 김정모(金正模)의 후서가 있고, 권말에 이종호(李鍾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