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 886

손빈(孫臏)

■ 손빈(孫臏) : BC 382년 ~ BC 316년. 손빈(孫賓)은 전국시대의 병가이며 일찍이 방연(龐涓)과 병법을 공부했다. 방연은 위(魏)나라 혜왕(惠王)의 장군이 되었는데, 손빈의 재주를 시기해서 위나라로 그를 불러들여 빈형(臏刑 : 무릎 쪽 슬 개 골 만 절단하여 걸어 다니지 못하게 하는 형벌)에 처했다. 이로 인해 손빈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손무(孫武, 기원전 544년경~기원전 496년경) 사후 100년 후에 나타난 손무의 후손이라 하나 정확한 혈통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 손빈은 후에 제(齊 : 기원전 1046년 - 기원전 221년)나라 위왕(威王)의 군사(軍師 : 참모)가 되었는데, 위왕은 계릉(桂陵)과 마릉(馬陵)에서 위군(魏軍)을 차례로 무너뜨릴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손빈은 전쟁을 수단으..

"권력은 나눌 수 없다" 태종의 혹독한 가르침

■ 「권력은 나눌 수 없다」태종의 혹독한 가르침. 이덕일의 事思史>조선 왕을 말하다. 제159호 | 20100328 입력 모든 시대에는 명암이 존재하는데 세종시대 또한 마찬가지다. 세종이 강행했던 ‘수령고소금지법’은 백성들의 큰 반발을 샀다. 애민 군주로 알려진 세종이 왜 이런 악법을 고수했는지는 더 연구해야 할 과제이지만 순리를 거스르는 이런 법은 조선의 개국정신과도 맞지 않았다. 이런 진통들을 겪으며 세종은 비로소 백성들이 나라의 근본이란 깨달음으로 나아갔다. ↑만송원 쓰시마섬 이즈하라시에 있다. 쓰시마섬의 토착 영주인 소씨(宗氏)의 원찰이다. 태종은 대마도 정벌을 통해 세종에게 군권을 어떻게 쓰는지 가르쳤다. 성공한 국왕들 세종 ① 애민 군주의 출발 세종 4년(1422) 5월 8일. 세종은 와병 중..

상량문(上樑文) 쓰는법

龍 西 紀 二 ㅇ ㅇ 年 ㅇ 月 ㅇ 日 立 柱 上 樑 應 備 天 人 上 間 之 之 三 五 光 福 龜 상단의 용(龍)자는 거꾸로 씁니다. 상량문에 용(龍)과 구(龜)는 반듯이 들어가야 하는 필수적인 글자입니다. 용과 거북이는 물의 상징으로 화재(火災)를 예방하고, 물의 성서러운 용과 거북이를 통하여 액운을 예방하는데 있다고 합니다. 용(龍)자를 거꾸로 쓰는 까닭은 구(龜)자와 마주보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남의 힘으로 왕이 된 성종, 현실과의 타협은 숙명

■ 남의 힘으로 왕이 된 성종, 현실과의 타협은 숙명 이덕일의 事思史>조선 왕을 말하다. 제158호 | 20100321 입력 목숨 걸고 권력쟁취에 나섰다가 불행해진 정객이 많은 반면 권력이 그냥 굴러들어오는 행운아도 없지 않다. 권력을 줍는 행운을 누릴 수는 있지만 성공한 정치가가 되는 것은 전혀 다른 차원의 문제다. 정치가로 성공하려면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해야 하는데 성종은 현상적 처방에 만족했다. 성종이 외면한 시대의 문제는 고스란히 연산군의 어깨에 지워졌다. 명묘조서총대시예도(明廟朝瑞蔥臺試藝圖) 사진가 권태균 국왕이 서총대에 친히 나가서 활쏘기 우승자에게 말 두필을 하사하는 내용의 그림이다. 고려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다. 절반의 성공 성종 ⑦ 무예 장려 성종 때 사림들이 조정에 진출하면서 두 가지 ..

애정 다툼을 투기로 몬 임금, 참극의 씨를 뿌리다.

■ 애정 다툼을 투기로 몬 임금, 참극의 씨를 뿌리다. 이덕일의 事思史>조선 왕을 말하다. | 제157호 | 20100314 입력 현안을 바라보는 정치가와 일반 국민들의 시각이 서로 다를 때 비극이 온다. 국민들은 많은 정보를 갖고 있지만 이해관계에서 벗어나 있기 때문에 그릇될 가능성이 그리 크지 않다. 성종은 사직을 위한다는 명분으로 아내를 내쫓고 죽여버렸지만, 백성들은 왕비가 아무 죄 없이 쫓겨나고 죽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또한 훗날 큰 화를 낳을 것도 알고 있었다. ↑왕비 윤씨를 상상해 그린 초상화. 성종과 세 명의 대비는 사직을 위한다는 명분으로 그를 죽였지만 일반 백성들은 죄없이 죽었다고 생각했다. 우승우(한국화가) 절반의 성공 성종 ⑥ 낮과 밤의 두 얼굴 성종은 수양대군의 쿠데타로 무너진..

붕당론(朋黨論) - 구양수(歐陽脩)

■ 붕당론(朋黨論) ◇구양수(歐陽脩 : 1007~1072) - 중국 송나라의 정치가 겸 문인. ↑구양수 화상(歐陽脩 畵像) 신(臣)은 듣기에, 붕당(朋黨)이라는 말이 옛 부터 있다고 들었는데, 오직 임금이 군자(君子)와 소인(小人)을 분별할 따름입니다. 큰 군자는 군자와 더불어 도(道)를 함께 함으로서 붕(朋)을 만들고, 소인은 소인과 더불어 이를 함께 함으로서 붕(朋)을 만들고 하니, 이는 자연스러운 이치입니다. 그러나 신(臣)은 생각건대 소인은 붕(朋)이 없고, 오직 군자라야 그것이 있다고 여기오니 그 까닭은? 소인은 좋아하는 것이 이익과 녹봉(祿俸)이고, 탐내는 것은 재물과 돈(화폐)입니다. 그 이로움이 같을 때를 당해서 잠시 서로 끌어들여 당(黨)을 만들어 붕(朋)이라고 하는 것은 거짓입니다. 그..

서시(西施)와, 간장(干將),

■서시(西施 : 생년 미상) - 중국 춘추시대 월(越)나라의 미녀. 그녀는 중국 춘추시대 월나라의 미녀이다. 원래 저장성[浙江省] 주지[諸曁] 저뤄산[苧蘿山]의 서쪽에 살며 땔나무를 팔아 생계를 이었다. 오(吳)나라에 패한 월(越)왕 구천(句踐)은 회계(會稽)의 치욕(恥辱)을 씻으려고 대부(大夫) 종(種)의 책략(策略)을 이용하여, 두 미녀 서시(西施)와 정단(鄭旦)을 데려와 아름다운 옷을 입히고 여러 가지 기예를 가르친 뒤 재상 범려(范蠡)를 사신(使臣)으로 보내 오(吳)왕 부차(夫差)에게 바쳤다. 오(吳)왕은 서시(西施)의 미모(美貌)에 사로잡혀 정사를 게을리하여 마침내 월(越)에 패(敗)했다. 서시(西施)에 관한 이야기와 전설은 매우 많은데, 오(吳)나라가 망한 뒤 범려(范蠡)를 따라 오호(五湖)에..

월왕 구천(越王 句踐)과 범려(范蠡)

■ 월왕(越王) 구천(越王 句踐 : BC 497~465)/춘추시대 중국의 월(越)나라 왕. 오왕 부차와 같이 와신장담(臥薪嘗膽)의 주인공이다. 구천(句踐)은 오왕 부차(吳王 夫差)가 부친의 유언에 따라 복수를 준비하고 있다는 소문을 듣고 범려(范蠡)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오(吳)를 먼저 공격하였으나 부초산(夫椒山)에서 패하고 회계산(會稽山)에서 항복하였다. 이 때 오자서((伍子胥 : ? ~기원전 485년)가 구천(句踐)을 죽이고 월(越)나라를 멸망시키자고 간언하였으나 범려(范蠡)가 오(吳)의 간신 백비(伯韶)를 회유하여 오왕(吳王)이 구천을 용서하여 신하의 예를 갖추게 하고 그의 부인은 오왕(吳王)의 첩으로 만든 후 월나라로 돌려보냈다. 그 뒤 명신(名臣) 범려(范蠡)와 함께 군비를 증강하고 힘을 키우며 ..

조용히 힘 키운 성종, 왕명 거스른 한명회 축출

■조용히 힘 키운 성종, 왕명 거스른 한명회 축출 이덕일의 事思史>조선 왕을 말하다 제156호 | 20100307 입력 때로는 이념이 총칼보다 강하다. 사회의 불신이 팽배한 주류 집단을 공격하는 세력은 중간파의 지지를 획득하면서 세력을 확장하게 된다. 공신 집단은 정치·경제적 권력을 독점했지만 전횡과 부패 때문에 명분과 인심을 잃었고 그 공간을 사림이 차지했다. 성리학적 명분론의 사림이 공신 집단과의 투쟁을 선악의 싸움으로 생각하면서 치열한 양상을 띠었다. ↑이목 사당 경기도 김포시 하성면 가금리에 있다. 김종직의 문인인 이목은 성종 때 사림의 선봉장이었으나 연산군 때 사형당했다. 절반의 성공 성종 ⑤ 압구정 사건 사림들은 성리학의 대의(大義)와 의리(義理) 같은 명분론을 중시했다. 수양의 즉위를 찬(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