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어 혁명→생활 혁명, 쉬운 법률 용어로 백성을 구하다.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제167호]2010.05.23 입력 언어는 그 민족의 거울이다. 세종은 말과 글이 다른 언어생활의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소리글자인 훈민정음을 만들었다. 훈민정음은 인간의 구강에서 나오는 모든 소리를 다 적을 수 있었다. 그러나 일제의 식민지 언어정책으로 훈민정음의 발음체계가 크게 제한되면서 특정 발음을 못하는 절름발이 언어가 되었다. 훈민정음의 창제정신으로 우리말을 돌아봐야 할 때다. 성공한 국왕들 세종 ⑨훈민정음 창제정신 세종이 훈민정음을 만든 표면적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분석할 수 있다. 하나는 왕조 개창의 정당성을 온 천하에 천명하기 위한 것이었다. 훈민정음을 반포하기 1년 전인 세종 27년(1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