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 886

고려말의 고승들 국정개혁 힘쓰다.

여말선초 고승들, 내부 자정…국정개혁 힘썼다. - 황인규교수 ■ 사극 ‘정도전’으로 본 여말선초 불교(上) 격동기 불교계의 동향 여말선초 격동기 불교계는 자정능력을 상실하고 퇴락해 자연히 불교에서 유교로 교체된 줄 알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 전국의 주요 스님들은 자정과 혁신을 위해 온 몸을 바쳤을 뿐 아니라 정도전, 권근 등 신왕조 창업 핵심인물과 교류하며 조선왕조 창업에도 참여했다. 최근 사극 ‘정도전’의 인기가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본지는 당시 불교계의 전반적인 상황과 정치인들과의 관계, 고승들의 자정 노력 등을 주제로 세 차례에 걸쳐 싣는다. ↑고려에서 조선의 왕조 교체기에 불교의 자리를 유교가 차지하게 된 것을 자연스러운 역사흐름으로 이해하는 시각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 불..

팔도 명칭의 유례

팔도 명칭의 유래와 사용시기 오늘날 통용되고 있는 8도의 지방명칭은 고려시대부터 조선 초기까지 만들어진 이름들이다. 그러나 그 지역의 범위까지 확정된 것은 조선 태종 - 세종 때, 서북방면과 동북방면의 여진족을 몰아내고 압록강 - 두만강 일대를 우리 강토로 회복한 이후부터이며 그 시기는 대략 1500년대 초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00道」라고 할 때의 ‘도(道)’는 “00방면으로 가는 길”이라는 뜻으로서 원래는 조선시대 역을 관장하는 찰방의 관직 앞에 붙어있었던 명칭과 비슷한데, 조선시대의 광역지방명칭으로 이런 체제를 따르게 된 것 같다. 가. 경기도(京畿道) : ‘경기’란 ‘서울을 둘러싼 그 문지방’이라는 뜻이다. 곧 도읍지의 주변지역을 말한다. ‘경기’라는 이름은 1018년(고려 현종 ..

고려사를 조작한 조선의 기록흔적들

고려사를 조작한 조선의 기록 흔적들........ 1.태조 3년 갑술(1394, 홍무 27) 4월 14일(계미) -조선왕조실록 (중략)-왕씨 일족을 제거하기 위해 관원들을 삼척, 강화, 거제도에 보내다. “왕씨를 구처할 일은 한결 같이 각 관사(官司)의 봉해 올린 글에 의거하게하나, 왕 우(王 瑀)의 삼부자(三父子)는 선조(先祖)를 봉사(奉祀)하는 이유로써 특별히 사유(赦宥)한다.”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 정남진(鄭南晉)과 형조의랑(刑曹議郞) 함부림(咸傅霖)을 삼척(三陟)에 보내고, 형조 전서(刑曹典書) 윤방경(尹邦慶)과 대장군 오몽을(吳蒙乙)을 강화(江華)에 보내고, 형조전서(刑曹典書) 손흥종 (孫興宗)과 첨절제사(僉節制使) 심효생(沈孝生)을 거제도(巨濟島)에보내었다. 2.태조 3년 갑술(1394, 홍..

[김갑수 근·현대사]③ 도대체 미국은 무슨 짓을 했나

[김갑수 근·현대사] ③도대체 미국은 무슨 짓을 했나 진실의 길 도대체 미국은 무슨 짓을 했나 조선은 ‘망한 것’이 아니라 ‘당한 것’이다 일본이 조선을 강탈하는 데 미국의 역할은 어느 정도였을까? 이제까지는 묵인, 방조했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우리는 카스라-태프트 밀약을 알고 있다. 여기서 카스라는 1905년 당시 일본의 수상이고 태프트는 미국 육군 장관이었으며 3년 후 미국 27대 대통령이 되는 인물이다. 최근 들어 일본이 조선을 강탈하는 데 묵인, 방조한 정도가 아니라 적극 주선, 추동했다는 주장들이 여기저기서 제기되고 있다. 일본의 조선 독식이 결정된 것은 러일전쟁이었는데, 바로 이 러일전쟁에 천문학적인 전비를 지원한 것이 미국이었다. 두 권의 책을 권한다. 하나는 『임페리얼 크루즈』이고 다른 하..

15세기 백자청화운용문병

15세기 백자청화운용문병(白磁靑華雲龍文甁) ↑보물 제785호(높이>21.5cm),/호암미술관소장품 ↑보물 제786호(높이> 25.0cm)/호암미술관소장품 청화백자 백자위에 푸른색 안료로 그림을 그린 도자기를 말한다. 청색 안료는 산화코발트로 아라비아 원산이다. 조선시대 초기에 푸른 색 안료를 사용한 백자는 청백자(靑白磁)로 불렸다. 하지만 도자기에 이름 붙이는 원칙을 따른다면 백자에 청색 안료(靑)를 사용해 그림을 그린(畵) 것이므로 ‘백자 청화’라고 부르는 쪽이 맞다. 그러나 오래 동안 사용해온 언어 습관도 무시하기 힘든 법. 지금도 청색 안료를 쓴 도자기를 뭉뚱그려 가리킬 때는 청화백자라는 말이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다. 조선시대 청화백자는 15세기에 명나라의 청화백자에서 영향을 받아 만든 초기의 것과..

청화백자주병

↑청화백자모란문병/조선시대. 모란은 꽃잎이 탐스럽고 화려해서 꽃의 왕이라 해서 화왕(花王)으로 불립니다. 풍성한 꽃잎은 부귀를 상징해서 '부귀화'라고도 불립니다. 또한 자태가 아름다워서 절세가인에 비유되기도 합니다. 그럼으로 모란은 도자기, 가구의 문양으로 쉽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 집안의 행복, 장생, 번영, 재생의 의미에서 널리 사용되 왔습니다. ↑청화백자 산수인물문병 시도유형문화재152호 ↑백자청화파어문병(白磁靑畵波魚文甁) ↑18세기 조선의 청화백자매죽조문병 입지름3.4㎝×밑지름10.6㎝x 높이26.3㎝ ↑19세기 청화백자 매조문병

청화백자,대접 및 병

조선의 청화백자 감상 해보세요. ↑청화백자초화문(靑華白磁草花文) ↑청화백자장생문발(靑華白磁長生文鉢) ↑청화백자모란절지문합(靑華白磁牡丹折枝文盒) ↑백자청화장생문(白磁靑畵長生文) 접시 ↑백자청화운용문(白磁靑畵雲龍文) 접시 ↑청화백자매조문병(靑華白磁梅鳥文甁) ↑청화백자모란문병(靑華白磁牡丹文甁) ↑백자청화파어문병(白磁靑畵波魚文甁)

첨성대의 구조와 내부 모습.

첨성대는 상하 2단의 정(井)자형 구조 ① 각단이 각각 306×32×32cm의 크기의 장대석 4개씩으로 정자형으로 이뤄졌다. ② 정자석 내부는 220×220×64cm의 공간을 이루고 하부는 목판을 깔았던 것으로 생각되며 그 서반 부는 개폐 가 가능 했을 것이다. 그러면 내부구조의 모습은 어떠할까? 위의 구조도에서 1번 부분, 밖에서 사다리로 오르면 출입구 부분이다 출입문(12단)까지는 자갈과 흙으로 채워져 있으며 윗부분은 자갈로 덮혀 있는 모습이다. ↑다음은 3번 부분, 즉 원주부분의 내벽 모습이다.다듬어져 있지 않다고 알려져 왔으나 크기가 일정하고 거친 면이 적은 것을 보아 약간은 다듬었음을 알수 있다. ↑쌓은 돌 틈 사이로 쐐기처럼 박은 작은 자갈들도 많이 보인다. ↑첨성대 내부에서 하늘쪽을 향해 쳐..

이토 히로부미 저격 사건

이토 히로부미 저격 사건 이토 히로부미 저격 사건은 1909년 10월 26일 안중근이 하얼빈 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사건이다. 1.사건배경(事件背景) 4차례나 일본 제국의 총리를 지낸 정치가 이토 히로부미는 1905년 대한제국과 을사늑약을 체결하는 대에도 크게 역할 을 한 장본인이다. 1909년 이에 분노한 만주의 독립 운동가 안중근, 우덕순, 조도선, 유동하, 유승렬, 김성화, 탁공규는 7인동맹을 맺고 처단을 계획했다. 2.사건개요(事件槪要) 1909년 10월 26일 오전 9시 15분 일본 제국의 전 총리이자 초대 조선통감이었던 추밀원 의장 이토는 러시아 재 무상 블라디미르 코콥초프(Vladimir Kokovtsov)와 회담하기 위해 하얼빈 역에 도착한 후, 약 20분 정도 차내에 서 코콥초프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