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 886

추석 잘 보내십시요.

사과(품종>양광) ⓒ렌즈로보는세상 모든 시럼 내려놓고 즐거운 명절되세요. 닭싸움 사진출처>조은유아학교 ------------------------------------------------------------------------------------------------------------------ 30여년전 추석 명절 귀성 풍경 ↑추석을 이틀 앞둔 24일 서울역은 추석 귀성객들로 붐벼, 8만1천여명이 서울역을 거쳐 나갔다. (1969년 9월 24일) ↑가다가 쉬다가 추석인 14일오전도 경부고속도로하행선에는 귀성객과 성묘객들의 차량이 몰려 평소보다. 2~3배나 시 간이 더 걸리는 심한정체현상을 빚었다. (1989년 9월 14일) /동아일보 사진DB

시진핑(習近平)-중국 국가주석

●시진핑(習近平)/습근평/Xi Jinping) 중국의 국가주석(정치인) [출생] 1953년 6월 1일생 [배우자] 펑리위안(彭麗媛)/팽려원-Peng Liyuan, 1987년에 재혼한 부인임 [아버지] 시중쉰(習仲勳)/습중훈.1913~2002). [동생] 시위안핑(習遠平)/습원평) [외동딸] 시밍쩌[습명택(習明澤)]/1992년생/미국 하버대학 졸업 [학력] 청화대학대학원 법학박사(清华大学校大學院法學博士) [수상] 2012년 미국타임지 세계에서 가장영향력 있는 100인의 한사람. 제17기 중국공산당중앙정치국상무위원, 중국공산당중앙서기처 제1서기, 중국공산당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중국공산당중앙당학교교장으로 2007년 17기1중 전회에서 권력서열 6위로 올랐으며, 2008년 3월부터 중화인민공화국의부주석이 되었..

한성사범학교(漢城師範學校)

▲한성사범학교 전경 한성사범학교(漢城師範學校) 시대 : 근대 성격 : 교육기관, 교원양성기관 설립 : 1895년 분야 : 초등학교 교사 양성교육기관 당시 정부에서는 초등교육기관인 소학교(小學校)를 널리 보급시킬 계획이었으므로 교원 양성을 위한 사범학교가 필요하였다. 이에 <한성사범학교관제>를 공포하고 1895년 4월 학교를 설립하였으며, 곧이어 같은 해 7월 <한성사범학교규칙>을 공포하였다. 이 관제에 의하면 설립 목적은 ‘교관(敎官)을 양성하는 처(處)로 함.’이라 되어 있다. 학교의 편제는 본과와 속성과를 두었고, 수업연한은 각각 2년과 6개월로 하였다. 부속학교로는 심상과와 고등과가 설치된 수업연한 3년의 부속 소학교가 있었다. 입학 자격은 본과를 20∼25세, 속성과를 22∼35세로 규정하였고 정..

고승호(高陞號) 사건-격랑의 청일전쟁

▲고승호(高陞號): 격랑의 청일해전 전시관 입구. 목포국립해양유물전시관 기획전시실에서 2015년 8월 4일부터 10월 4일까지 고승호(高陞號): 격랑의 청일전쟁이라는 주제로 국립해양문화연구소와 인천광역시립박물관이 공동주최로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고승호(高陞號) 고승호(高陞號)는 길이 72.6m로 2134톤을 적재할 수 있는 증기선으로써 1883년 청나라는 영국 배로우 조선회사에서 건조한 고승호를 4만 파운드에 임대하여 조선에서 발생한 동학농민혁명 진압용 군사수송선으로 사용하고자 했다. 그러나 고승호는 1894년 7월 25일 일본군의 공격으로 경기도 안산 풍도 앞 바다에서 일본의 기습 공격을 받고 침몰한다. 이 사건으로 말미암아 청일전쟁의 서막을 여는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 19세기 말 청나라는 서구 ..

식민사관은 해방 후 어떻게 주류사학이 되었나?- 이덕일

이덕일소장, 식민사관은 해방 후 어떻게 주류사학이 되었나? - 이덕일 박사 기사입력: 2015/08/19 [14:39] 최종편집: ⓒ 자주시보 최근 정치포털 서프라이즈에 '봄호수'란 이름의 누리꾼이 올린 "식민사관은 해방 후 어떻게 주류사학이 되었나?" 라는 STB방송 동영상을 보니 이병도를 거의 교주로 여기다시피 떠받드는 국사편찬위원회와 동북아역사재단과 같은 우리 국민들의 수백억 세금으로 운영되는 역사관련 공공기관이 어떻게 철저히 일제식민지 역사학을 그대로 이어받아 지금도 역사테러를 자행하고 있는지 쉽게 잘 설명하고 있었다. ↑한가람 역사문화연구소 이덕일 소장 강연 모습/ⓒ자주시보 2012년 11월 15일 강연에서 이덕일 한가람 역사문화연구소 소장은 주류인 식민사학자들의 주된 역사 테러는 고대사에 집중..

병자호란(丙子胡亂)

■ 병자호란(丙子胡亂) ▲남한산성안내도 ▲남한산성 수어장대 ● 병자호란 일정 ◈전쟁기간 : 1636년 12월-1637년 1월 ◈장 소 : 평안도, 황해도, 경기도 ◈전쟁이유 : 조선의 척화배금 외교 ◈결 과 : 청나라의 승리, 조선의 삼전도 굴욕 ● 교전국 ▲조선 국기 ▲청나라 국기 ●전쟁지휘관 청나라 조선국 아이신기오로 홍타이지 인조대왕 아이신기오로 도르곤 김자점 아이신기오로 다이샨 임경업 타타라 잉굴다이 신경원 마푸타 홍명구† 사르후다 김준용 양고리 민영† ●병력 수 청나라 조선국 12만 8000명 정확하지않음 ●피해규모 청나라 조선국 정확하지 않음 정확하지않음 병자호란(丙子胡亂)은 1636년 병자년 12월부터 1637년 1월까지 조선과 청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다. 청의 홍타이지가 명을 공격하기 이전..

주화론(主和論)과 척화론(斥和論)

■ 주화론(主和論)과 척화론(斥和論) 병자 전쟁을 통해 되짚어봐야 할 점으로 전쟁에 대한 대응 방식의 문제를 들 수 있는데, 바로 주화론과 척화론을 둘러싼 논쟁이 있다. 이 문제는 국가의 운명이 달려 있는 외교 정책의 결정에 많은 시사점을 준다. 분명한 패전 앞에서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선택의 문제다. 우선 국제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친명배금정책(親明排金政策)이라는 경직된 외교 정책을 취해 전쟁을 자초하였다는 주장이 있으며, 광해군 때와 인조 때는 상황이 달랐기 때문에 유화 정책을취하였더라도 청이 쳐들어왔을 것이라는 견해가 있다. 또한, 척화론은 조선의 자주성에 대한 침해를 거부하는 논리로서 문화적 자부심에 기초한 조선의 주체적 대응이었다고 파악하는 입장이 있는 반면, 중원의 패자인 청의..

「KBS 광복70주년특집방송 자문모임」

한국의 근대수학, 과학, 교육, 독립운동의 선구자, 보재 이상설선생 「KBS 광복70주년특집방송 자문모임」 ◇일시 : : 2015년 5월 22일(금요일) l 장소 : 서울역 T 園 ◇참석자 : 이재훈(보재선생기념사업회부회장), 이상구교수(성균관대수학과), 박성래박사(한국외국어대사하과명 예교수), 이상훈박사(보재선생후원회장), 이창건교수(광운대학교사회과학대학 학장), 이재웅박사(성균 관대학교 전부총장). 이재승박사(미국/포항공대특임교수), 이민원박사(동아역사연구소장), 윤병석박사 (인하대학교사학과명예교수), 박종윤교수, 손용근교수, 박영민교수, 김채식박사, KBS, PD, 작가, 이재 용기념사업회사무국장. --------------------------------------------------------..

조선(朝鮮)의 성리학(性理學)흐름과 당파(黨派)

조선(朝鮮)의 성리학(性理學) 흐름과 당파(黨派) [1]성리학의 발달 1.성리학의 두 흐름 고려말기의 신진사대부들이 자기역사에 대한성찰과 현실극복의 이념적지표로 삼은 학문적 기반은 성리학이었다. 성리학은 조선의 건국과정에서 사회개혁의 명분을 제공하였다. 조선왕조의 개창이라는 역사적 변화에 대하여, 성리학을 공부하는 지식인들이 모두 찬동한 것은 아니었다. 즉, 개혁의 논리를 내세우면서 적극적인 역성혁명에 참여한 쪽과, 개혁에 소극적이면서 고려왕조에 충성을 표시하는 의리와 명분을 주장하는 쪽의 대립이 있었다. 전자는 정도전(鄭道傳,1342~1398)을 중심으로 하는 혁명파세력으로, 조선왕조 성립이후 정치구도를 세웠으며, 유교국가 운영에 학문적 이론을 제시하였다. 후자는 정몽주(鄭夢周,1338~1392)를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