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 886

독립유공자단체현황

■ 국가보훈처 공법단체 현황[2009. 7. 31현재] 구분 단 체 명 설립일자 대표자 회원수 조 직 본 회 지 부 지 회 공 법 단 체 광복회 1973-03-03 김영일 6,642 1 12 13 대한민국상이군경회 1963-08-12 강달신 99,765 1 16 252 대한민국전목군경유족회 1968-08-12 정병옥 49,518 1 16 232 대한민국전목군경미망인회 1963-08-12 유영옥 52,853 1 16 231 대한민국무공수훈자회 1992-04-10 이수희 85,953 1 16 232 재일학도의용군동지회 1989-01-01 김병익 81 1 3 - 4․19민주혁명회 1973-03-03 박윤석 240 1 4 - 4․19혁명희생자유족회 1973-03-03 박정강 142 1 3 - 4․19혁명공로자회..

대한제국에 온 미국 공주~~서글픈 역사의 흔적

작성일 : 2016. 01. 05 1905년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의 딸이 대한제국을 방문했을 당시의 사진이 공개됐습니다. 구한말 서글픈 역사를 떠올리게 하는 사진들을 장세만 기자가 소개합니다. 일본에게 외교권을 빼앗기게 되는 을사늑약 두 달 전인 1905년 9월 당시 미국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의 21살 딸로 '워싱턴 사교계의 공주'로 불리던 앨리스 루스벨트가 인천항에 도착합니다. 그동안 밀사를 보내는 등 미국 대통령에게 대한제국의 독립 유지를 애타게 호소해 온 고종 황제는 구원의 천사가 왔다며 앨리스를 극진히 대접합니다. 앨리스가 지나갈 도로는 미리 보수했고, 황제 전용열차를 내줬으며 황실 가마에 태워 왕릉을 관람까지 시켰습니다. [이진현 학예연구사/서울역사박물관 : (앨리스 방한 시) 황실악단이 미..

청주 사림의 학맥과 서계 이득윤과의 관계에 대한연구

청주 사림의 학맥과 서계 이득윤과의 관계에 대한연구 이종관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미래예측학과 요약본 연구의 목적은 16-17세기 청주사족의 동향을 이해하기 위한 사례연구의 하나로 선 행연구와 경주이씨 익재공파 대동보를 중심으로 서계 이득윤(1553~1630)의 생애와 학맥을 살펴보았다. 서계 이득윤은 일찍이 부친 섬계 이잠과 서기 박지화로 부터 수학하였으며, 학문의 근본지향을 '위기지학'에 두었다. 그리하여 그는 소학을 특히 강조하였으며, 소학에 수록된 여씨향약을 보급하여 주자학적 세계를 구현하려하였다. 더욱이 부친의 뒤를 이어, 후생을 훈도하는 것을 자기의 책무로 삼아서 청주지역의 교육에 힘썼다. 그리하여 서계는 수기에 힘을 쏟았던 유학자 일 뿐만 아니라 치인, 계도에 있어서도 사회적 책임의식을 다 하였..

병인양요(丙寅洋擾), 아직 안 끝났다.

■ 병인양요, 아직 안 끝났다. 양헌수와 조선軍의 외침 들리는가… “강화에서 약탈해간 외규장각 도서 내놔라” 이덕일의 산성기행 | 강화 정족산성 강화도만 제대로 답사해도 한국사 대부분을 꿰찰 수 있다. 강화도는 ‘역사문화답사 1번지’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다. 선사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사의 전 시대 유물·유적이 널려 있다. 강화는 예로부터 갑비고차(甲比古次)·혈구(穴口)·해구(海口) 등으로 불렸다. 지리지는 “강화는 고구려의 혈구군으로 바다 가운데에 있고 신라 경덕왕 때 해구군으로 고쳤다”고 전한다. 갑비고차란 현대어로 ‘갑곶’ 또는 ‘갑곶이’라는 말로, ‘고차’는 바다로 돌출된 곶(串)을 뜻한다. 강화 동쪽 바닷가에는 갑곶리라는 명칭이 남아 있다. 갑은 둘(2)이라는 뜻인데, 한강 하류의 조..

조국의 독립을 향한 혼불

“조국의 독립을 향한 혼불” 연해주! 이땅은 수많은 애국지사들이 조국의 독립을 위해 혼을 불태운 곳이었습니다. 외교적 노력을 기울이는가 하면 의병을 조직해 일제와 격전을 벌였습니다. 또한 신문 간행을 통하여 대외 홍보전을 이끌며 학교와 각종 단체에서 민족 계몽에도 앞장섰습니다. 3.1만세운동도 연해주에 번진 커다란 등불이었습니다. 그들의 혼을 심지삼아 타올랐던 불꽃은 꺼지지 않은 혼불이 되어, 연해주 땅을 밝히고 있습니다. 출처 : 아시아태평양신학문화연구소> ■ 연해주, 만주, 간도의 지명? 두만강 북쪽이 북간도이고, 압록강 북쪽이 서간도이다. 만주는 원래 지명이 아닌 민족이름입니다. 1635년 청나라의 2대 황제 홍타이지(청 태종)는 '여진'이라 불리던 자기민족을 '만주'라고 부르도록 명합니다. 여진 ..

[김갑수 근·현대사]35 한국 역사 1백년대 제1대사건

[김갑수 근·현대사]35 한국 역사 1백년대 제1대사건 이승만이 왕조시대 사람이어서 권위적이었다? 김갑수 | 2014-10-31 14:36:17 이승만이 왕조시대 사람이어서 권위적이었다? 강준만 교수의 『한국현대사산책』 시리즈는 매우 의미 있는 저작물이다. 이 책들은 1940년대부터 2000년대에 이르는 우리 현대사를 23권의 방대한 분량에 담아 놓았다. 이전의 근대사 산책 시리즈 10권을 포함, 무려 33권에 달하는 강 교수의 저작물은 우리 근·현대 역사의 정치, 경제는 물론 사회, 문화 부문까지 세심히 기술하고 있다. 저널리즘 전공자로서 이만 한 역사물을 집필했다는 것은 강준만 교수의 저력과 성실성을 충분히 입증하고도 남음이 있다. 게다가 강 교수가 보이는 정치와 역사에 대한 관점과 견해는 대단히 합..

상동교회(스크랜톤 선교사, 전덕기 목사, 이준열사)

■ 상동교회(스크랜톤 선교사, 전덕기 목사, 이준열사) ↑상동교회 연혁, 2015년 현재 127주년이 되었다.(1888-2015) ●상동교회 연혁, 1885. 05. 03 스크랜톤(william B. Scranton)선교사 서울에 도착하여 선교사역 시작. 1886 스크랜톤 선교사 정동병원 설립, 병원선교시작. 고종황제 시(施)병원명 하사. 1887 남대문 근처 상동으로 병원을 옮겨서 선교하다. 1888. 10. 09 상동교회를 창립하고 대지를 구입하다. 1893 스크랜톤 목사 초대 상동교회 담임목사 취임. 1895 - 1907 달성궁(현 한국은행터)내에 건물을 구입하여 한? 달성교회로 호칭하다. 1898 전덕기 입교, 엡윗 청년회 조직, 민족 독립운동을 전개하다. 1899 전덕기 공옥(攻玉)학교 설립, ..

이회영과 상동교회(李會榮과 尙洞敎會)

■이회영과 상동교회(李會榮과 尙洞敎會) 오늘날 한국교회는 왜 사회적 비난을 받는가? 그것은 상동교회와 같은 현실에 적극 참여하는 민족 교회가 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항일광복운동과 민주화 통일운동을 했던 문익환. 장준하 같은 한신 계열의 민족적 기독교인들이 배출하게 된 배경에는 상동교회와 같은 민족정신을 가진 기독교 때문 이였다. 오늘날 한국기독교는 자본주의 바알종교가 다 되어 빛과 소금을 역할을 못하고 있다. 종교라는 것은 민족과 민중이 처한 현실을 변혁시키지 못하고, 현실에 순응할 때 더 이상 존재의미가 없게 된다. 민족과 민중이 처한 현실에 고통을 느끼며 동참하는 종교들이 교리들은 다를지라도 참 종교이며 참 종교인들이다. 이회영,상동교회에서 신흥무관학교설립을 결의하다 당시 우당 선생을 이해하려면 '상..

독립운동의 흔적을 찾아서… ‘슬픈 연해주’

블라디보스톡에 남아 있는 독립운동의 흔적을 찾아서… ‘슬픈 연해주’ BY pichy91 on 2. 2, 2013 연해주, 그 땅은 우리민족에게 수많은 아픔과 애한이 서린 곳이다. 이미 앞에서 이쳐진 땅, 블라디보스톡에서의 우리민족 고구려와 발해가 남긴 유적에 대해 간략히 살펴봤다. 그리고 연해주 이주초기의 역사와 생활상에 대해서도 돌아본 바 있다. 여기서는 조국을 잃고 어쩔 수 없이 블라디보스톡으로 옮겨 독립운동을 할 수밖에 없었던 우리선조들의 활동 상에 대해서 알아보자. ↑블라디보스톡을 근거지로 독립운동을 벌였던 최재형이 당시 살았던 집. 지금은 러시아인이 살고 있으며, 한국정부에서 기념관으로 만들기 위해 구입하려 했으나 거주자가 반대해 성사되지 못했다. ↑최재형의 집이라는 안내문만 붙여, 독립운동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