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소장본 9권/1938년 간행본
■ 교남과방록(嶠南科榜錄) 9책
[저 자] 권오환(權五煥), 이재호(李㦳鎬) 공편
[크 기] 19㎝ x 28.5㎝
[활자본] 연활자본
[간행연도] 1938년
[주 기] 교남과방록(僑南科榜錄) 서문 및 용방(龍榜: 문과를 달리 이르는 말) 卷1-3(3책), 虎榜(무과를 달리 이르
는 말) .卷1(1책), 사마방(司馬榜: 생원, 진사시 합격자) 卷1(1책), 세강편(世講篇) 卷1(1책), 보유편(補遺
篇: 빠진 것을 채워넣음) 1책,부록(附錄) 卷1-3(2책)등全9冊완질본이다.
------------------------------------------------------------------------------------------------------------------------------------
이 책은 1392년(태조 원년)부터 1906년(광무 10) 까지의 영남(嶺南) 지역의 전체 문무과(文武科) 및 생원, 진사시
험의 합격자와 음서(蔭敍)로 관직에 나아간 자의 명단을 모두 기록한 책이다.
<서문(序文)>을 쓴 권녕국(權寧國)은 자신의 아들 권오환(權五煥)과 이재호(李㦳鎬)가 소화지방(小華之邦)에
방목이 전하지 않는 것을 안타까이 여겨 자료를 수집하고 편찬하여 인쇄하였으니, 다만 전국을 포괄하지 못하고 교
남지역만을 대상으로 한 점이 아쉬울 뿐이라고 적었다.
※소화(小華) : 서양에서는 중국(中國)을 "시나(支那)"로 불렀고, 조선의 선비들은 중국(中國)을 중화(中華)라고
부르고 스스로 자기나라를 얘기할때는 소화(小華) 또는 동화(東華)라고 불렀는데, 이는 필자의 생각으론 사대사상
(事大思想)의 발로이다.
<범례>에는
〈1〉교남지역만을 대상으로 한다.
〈2〉기록은 증산(增刪 :첨삭)하지 않음을 원칙으로 한다.
〈3〉그러나 내용이 너무 호번한 것은 간략히 적는다.
〈4〉기록의 연대는 1392년(태조 1)부터 1906년(광무 10)까지 한다는 등 편집의 대강을 밝혔다.
제 1책은 <교남과방록용방(嶠南科榜錄龍榜)>으로 1392년(태조 2)의 式年試부터 光海君代의 重試 합격자까
지 모두 70여회에 이르는 式年試 및 增廣試의 영남지역 합격자 수백 명을 기록하였다.
기록의 내용은 합격자의 이름·字·號 그리고 합격자의 官職, 혹은 사후 贈職된 경우 贈諡 및 官職)과 父의 이름 및
관직‚ 그리고 거주지 등을 기록하였다. 혹 祭享된 書院의 이름을 밝히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국조방목(國朝榜
目)》의 경우에 보이는 四祖의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제2책은 1623년(인조 1)의 알성시(謁聖試)에서 영조대(英祖代)의 중시(重試)에 이르는 280여회의 영남지역 문
과 합격자를 기록하였다.
제3책은 1776년(정조 1)의 庭試에서 1864년(고종 1)의 重試에 이르는 160여회의 합격자 명단과 간략한 기록이
다.
제4책은 1393년(태조 2)의 식년무과(式年武科)에서 1895년(고종 31)에 이르는 무과(武科) 합격자 명단을 기록
하였다.
제5책은 태조(太祖)부터 고종대(高宗代)에 이르는 수백 번의 생원(生員)·진사(進士)시험의 합격자 명단을 수록
하였다.기록은 합격자의 본관(本貫)·자(字)·호(號) 및 생년(生年)과 부(父)의 이름과 관직을 기록하였다.
제6책은 음서(蔭敍)의 합격자명단으로 중종대(中宗代)에서 고종대(高宗代)에 이르는 명단을 기록하였다.
기록 내용은 음서자의 字· 號· 생년과 父의 이름과 관직(官職) 그리고 거주지 등이다.
권말에 이재호(李㦳鎬)의<발문(跋文)>이 있는데‚ 여기에도 역시 친구 권오환과 함께 설과취사(設科取士)의 명
단이 환국(換局) 이후 혼동됨을 분개하여 秘書局에있는 原本을 참고하여 정리하였다는 책 편집의 首末이 적혀 있
다.
이 책은 조선시대 영남지역의 과거합격자명단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였으므로‚ 과거제도사 연구뿐 아니라 지역사
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 보학 > 문집.고서.문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재문집(木齋文集) - 홍여하(洪汝河) (0) | 2018.09.17 |
---|---|
비난 정감록 진본 (0) | 2018.08.15 |
고문헌, 문적 (0) | 2018.01.22 |
역대 경상도 관찰사 명단 (0) | 2017.10.25 |
삼국사기 발문(三國史記 跋文) (0) | 2017.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