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문집.고서.문헌 154

감여요람(堪輿要覽) - 풍수관련 비서(秘書)

■ 감여요람(堪輿要覽) - 풍수관련 비서(秘書) [책의 내용] 감여요람(堪輿要覽)은 조선시대의 묵서(墨書) 수진본(휴대용 포터블)으로 풍수관련 비서(秘書)와 상례(喪禮), 혼례(婚禮)등의 절첩본 2첩이다. 감여(堪輿: 하늘과 땅)이란 의미로 음양설(陰陽說)에 의(依)하여 집터나 묘자리를 잡는 사람이나 또는 풍수(風水) 지리(地理)에 관(關)한 학문(學問)을 연구(硏究)한 사람들을 감여가(堪輿家)라 하였다. 크기 : 3.8×13cm, 5.6×10.8cm

기효신서절요(紀效新書節要)/병서(兵書)

작성일 : 2013. 01, 06(일) ■ 기효신서절요(紀效新書節要) : 병서(兵書=병법에 관하여 쓴책) 명나라 척계광의 명저 기효신서의 요약 조선 후기 병법의 뿌리는 명나라 척계광(戚繼光ㆍ1528 ~ 1588) 장군이 지은 기효신서라는 책에서 출발한다. 이런 역사적 배경 때문에 조선 후기에 간행된 수많은 군사 관련 서적들 중 대부분은 척계광의 기효신서와 어떤 형태로든 관계가 있다. 기효신서절요(紀效新書節要ㆍ사진)도 마찬가지다. 책 제목 중 ‘절요’라는 낱말은 요약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즉 기효신서절요는 명나라 명장인 척계광이 지은 유명한 병서 ‘기효신서’의 내용 중에서 요점만을 가려 뽑아 편찬한 병서라고 할 수 있다. 기효신서는 내용이 어렵고 회화체 문장과 중국 남부 지방 사투리가 섞여 있어 독해하..

팔거세고(八莒世稿)

◇저자 : 도응(都膺) ◇생졸년 : ◇간행연도 : 1910년 ◇판본 : 목팔자본(木活字本) ◇크기 : 31㎝ㅌ 20.5㎝(가로) x 31㎝(세로) 星州 팔거현에 살았던 도응(都膺=異名은 兪) 선생의 [팔거세고(八莒世稿) 3卷 單冊으로 권두에 庚戌(1910) 上元日前義禁府都事聞韶金道和의 序와 권말에 靑龍(甲辰, 1904)臘月日後孫進士[都]右龍拜撰의 跋이 있다. 저자는 고려 후기의 충신으로. 본관은 성주(星州). 초명은 유(兪), 자는 자예(子藝), 호는 청송당(靑松堂).이다 조선 태조의 죽마지우로서 고려말 찬성사(贊成事)를 지내다가 1392년 조선 건국 후 태조가 특히 옛 정을 생각하여 상장군(上將軍)에 임명하였으나 사퇴하여 받지 않았다. 그 뒤 홍주(洪州=충남 홍성) 노은동(老隱洞)에 은거, 다섯 차례의..

간옹집(艮翁集) - 이헌경(李獻慶) 著

총12책(冊) 1797년(정조 21) 간행 12책/ 크기: 19.5×29.7cm 조선후기 이헌경『李獻慶, 1719년(숙종 45)∼1791년(정조 15)』선생이 쓴 시문집으로. 권두에 1797년에 정범조(丁範祖)가 쓴 서문이 실려 있으며, 권별로 목록이 붙어 있다. 시와 소(疏), 변려문, 상량문 따위의 이헌경의 글이 실려 있다. 본집은 원집 23권, 부록 1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24권 12책이다. -------------------------------------------------------------------------------------------------------------------------------------- ■ 이헌경(李獻慶) 1719년(숙종 45)∼1791년(정조 15) 때..

남포읍지(藍浦邑誌)

1901년에 편찬된 충청남도 남포읍지(지금의 보령시 남포면). 1책. 필사본. 국사편찬위원회 소장. (ⓒ한국학중앙연구원, 유남해) 남포현의 영역은 보령시의 남포면. 미산면. 성주면. 웅천읍. 주산면에 걸쳐 있었다. 고을의 중심지인 읍치는 원래 지도 위에 고읍면(古邑面)이라 표시된 웅천읍의 성동리 일대에 있었는데, 고려말 조선초에 남포면의 읍내리 일대로 옮겼다. 이책 내용의 구성은 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관직(官職)·성씨(姓氏)·산천(山川)·풍속(風俗)·방리(坊里)·전부(田賦)·요역(徭役)·군액(軍額)·성지(城池)·창고(倉庫)·사창(社倉)·봉수(烽燧)·학교(學校)·단묘(壇廟)·능묘(陵墓)·불우(佛宇)·도로(道路)·교량(橋梁)·제언(堤堰)·도서(島嶼)·장시(場市)·어염(漁鹽)·역원(驛院)·고적(古蹟..

19세기 구주문명진화론.

19세기 구주문명진화론(十九世紀 歐洲文明進化論) 單冊 [도서명] 19세기 구주문명진화론(十九世紀 歐洲文明進化論)/單冊 [크기] 15 × 22cm [참고] 규장각 해제 19세기 유럽의 문명이 발전해 간 내용과 그 의의를 정리한 글로‚ 저자가 陳國鏞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그의 이력은 미상이다. 李埰雨(생몰년 미상)가 국한문혼용체로 번역하였으며‚ 1908년(융희 2)에 경성의 右文館에서 간행하였다. 역자 李埰雨는 20세기 초반 大倧敎의 중진으로‚ 호가 湖隱이고 본관은 보령이다. 1909년 대종교가 조직되자 곧 입교하여 1911년에 知敎‚ 1914년에 尙敎가 되었으며‚ 南一道本司에서 宣範部領·典理大辦 등을 역임하였다. 1923년에는 正敎가 되었으며 總本司 典理의 중책을 맡아 활동하였다. <十九世紀歐洲文明進化論>은..

정감록 해설(鄭鑑錄 解說)-(李西溪家藏訣)

정감록 해설(鄭鑑錄 解說)(李西溪家藏訣) 모두 16쪽. 종서(縱書) 편집겸 발행인 : 신현창(申鉉彰). 서기 1946년 2월 15일 발행. 신세계사(新世界社) 발행. 제목 :원본해설 정감록. 모두 66쪽. 종서(縱書) 펴낸 곳 : 오륜출판사, 펴낸이 : 최호 서기 1969년 10월 30일 발행, 정감록(원문해설) 모두 66쪽, 종서(縱書) 단기 4288년(서기 1955) 5월 27일. 편자(編者) : 창신문화사편집부(昌新文化社編輯部). 발행소(發行所) : 창신문화사(昌新文化社) 鄭鑑錄에 對한 社會學的考察 크기 : 12.3cm(가로) x 18.3cm(tpfh) 종서(縱書) 서기 1948년 4월 5일 발행. 저자(著者) : 최수정(崔守正). 총판매소 : 해방서림(解放書林). 批難 鄭鑑錄 眞本(비난 정감록 진..

비난 정감록(批難 鄭鑑錄)

■ 비난 정감록(批難 鄭鑑錄) 일제강점기 때 발행된 것으로 보이는 비난 정감록(批難 鄭鑑錄 眞本) 입니다. 책에는 간기가 없습니다. 이런 이유로 발행 출판사와 정확한 책 발행연대를 알 수 없습니다. 책을 쓰신 분은 호가 허주(虛舟) 또는 금강어부(錦江漁父) 또 영선(翎仙)이며 성명은 현병주(玄丙周)입니다. 금강어부란 호를 쓰기도 한 것으로 보아 계룡산 가까운 금강근처에 사셨던 분으로 보입니다. 책 서문을 쓴 연대는 1922년입니다. 참고로 이 책 가리방본은 아직 발견됐다는 보고가 없습니다. 비매품으로 발행됐던 책으로 보입니다. 반면 1923년 여러 출판사가 발행한 활자본은 자주 발견되는 책입니다. 책 내용은 조선 5백년이 망한 뒤에 다시 계룡산을 서울로 하는 정씨의 나라가 세워진다는 설이 정감록에 있 었..

현와유고(弦窩遺稿) - 고광선 저

현와유고(弦窩遺稿) - 고광선 저(개항기 유학자)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고광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2년에 16궝 8책으로 간행한 시문집이다. 1962년 박하형(朴夏炯) 등 문인들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재직(宋在直)의 서문, 권말에 박하형의 발문이 있다. [도서내용] 권1에 시 165수, 권2·3에 서(書) 442편, 권4에 잡저 107편, 권5에 서(序) 99편, 권6·7에 기(記) 283편, 권8에 발(跋) 37편, 명(銘) 4편, 찬(贊) 5편, 사(辭) 5편, 혼서(婚書) 1편, 상량문 22편, 축문 11편, 제문 6편, 권9에 비(碑) 57편, 권10·11에 묘갈명 109편, 권12에 묘지명 5편, 묘표 52편, 권13∼15에 행장 103편, 권16에 실적(實蹟)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