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묘지명(墓誌銘) 76

정약현 묘지명(丁若鉉 墓誌銘) - 다산 정약용선생 맏형

[생졸년] 정약현『丁若鉉, 1751년(영조 27) ~ 1821년(순조 21)』 ■ 선 백씨 진사공 묘지명 (先 伯氏 進士公 墓誌銘) 정약용 찬(丁若鏞 撰) 공은, 휘(諱)는 약현(若鉉)이고 자는 태현(太玄)이다. 우리 정씨(丁氏)의 본관은 압해(押海)이니 지금 나주(羅州)에 예속되었다. 고려 때에 무관(武官)이 연달아 9세(世)를 이어 내려왔다. 시조 윤종(允宗)은 종3품 대장군이니 당시의 부장(副將)이다. 아조(我朝)에 들어와서 문직(文職)이 연달아 9세를 이어 내려왔다. 그 사이에 은사(隱士) 연(衍)이 있으니 우리 태조가 혁명하던 초기에 은둔(隱遯)하여 벼슬하지 않고 위로 조상을 잇고 아래로 후손을 열어줌으로써 우리 정씨의 복을 돈독히 하였다. 이로부터 이후로 승문원 교리(承文院校理) 자급(子伋),..

다산 자찬 묘지명(茶山 自撰 墓誌銘) - 광중본(壙中本)

■ 다산 정약용 자찬 묘지명(茶山丁若鏞自撰 墓誌銘) - 광중본(壙中本) 이는 열수(洌水) 정용(丁鏞)의 묘이다. 본명을 약용(若鏞), 자를 미용(美庸), 호를 사암(俟菴)이라 한다. 아버지의 휘(諱)는 재원(載遠)이니, 음직(蔭職)으로 진주 목사(晉州牧使)에 이르렀다. 어머니 숙인(淑人)은 해남 윤씨(海南尹氏)이다. 영종(英宗) 임오년(1762, 영조 38) 6월 16일에 용(鏞)을 열수(洌水 한강의 별칭) 가의 마현리(馬峴里)에서 낳았다. 용(鏞)은 어려서 매우 총명하였고 자라서는 학문을 좋아하였다. 22세(1783, 정조 7)에 경의(經義 과문 육체(科文六體)의 하나)로 생원(生員)이 되고,01여문(儷文)을 전공하여 28세(정조 13, 1789)에 갑과(甲科) 제2인으로 합격하였다. 대신(大臣)의 선..

추탄 오윤겸 묘지명(楸灘 吳允謙 墓誌銘)

■ 영의정 충정 오공 묘지명 (領議政 忠貞 吳公 墓誌銘) 戊子年(1708, 숙종 34) 약천 남구만 찬(藥泉 南九萬 撰) 우리 인조대왕이 중흥하시던 때는 실로 내가 귀로 듣고 눈으로 본 세대이니, 그 당시 의정부에 있던 제공(諸公)들을 하나하나 헤아려 보면 혼조(昏朝)에서 절개를 세운 분은 윤 해창(尹海昌)이고 국가에 큰 공을 세운 분은김 승평(金昇平)이며, 유학자의 오랜 명망이 있는 분은 신상촌(申象村) 신흠(申欽))이고 문장으로 나라를 빛낸 분은 이월사(李月沙) 이정귀(李廷龜)이다. 그리고 우리 추탄 선생(楸灘先生) 오공(吳公)으로 말하면, 한 가지 일을 가지고 이름할 수 없고, 한 가지 재능을 가지고 칭찬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덕행(德行)의 과목(科目)으로 돌리는 것이다. 안에 쌓인 것은 온화하여..

고려시대 묘지명

■ 고려시대 묘지명 [도서명] 고려묘지명 집성색인 [저 자] 김용선 편 [출판사] 한림대 아시아문화연구소 [수록내용] ○ 고려시대 묘지명 322점에 대한 원문/번역문 텍스트 수록 ○ 번역문 텍스트 ○ 2,986개의 역주와 주요 색인어 수록 ○ 탁본 이미지 205점 수록 묘지명(墓誌銘)은 무덤 옆에 파묻는 돌이나 도판(陶板)에 죽은 이의 이름, 신분, 행적 등을 기록한 글로 서 묘명(墓銘) 또는 지석(誌石)이라고도 불립니다. 묘지명은 사자(死者)의 일생, 그 인물이 산 시대상, 생활상을 알 수 있는 사학 연구 자료로서 귀중한 가치를 가진 자료입니다. 「고려 묘지명집성」은 활자매체로 간행하였던 원문, 번역문 및 역주와 아울러, 그 동안 저자가 틈틈이 모은 묘지명 탁본이나 원석의 사진자료도 함께 수록하고 있습..

발해의 정혜, 정효공주 묘지명

발해의 정혜(貞惠), 정효공주(貞惠公主墓碑) 묘지명발해 제3대 문왕(文王)인 대흠무(大欽茂)의 둘째딸 정혜공주(貞孝公主 ,737~777) 무덤은 1949년 중국 지린성 둔화현의 계동중학과 연변대학 역사과가 지린성 둔화현 류딩산[吉林省 敦化縣 六頂山)에서 발굴하였다. 일설에 의하면 둔화의 중학교 교장이 학교 운영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고심하던 중근처에 있는 옛날 무덤들에 혹시 보물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파헤쳤다고 한다. 그러다가 글자가 새겨진 돌조각들을 발견하면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던 것이다. 한편 문왕(文王)의 넷째딸 정효공주(貞惠公主,757~792)은 정혜공주의 동생이고 동궁(東宮, 태자)의 누이로 그녀의 무덤은 1980년 길림성 허룽현[和龍縣] 룽터우산[龍頭山]에서 발견되었다. 문화대혁명 당시 ..

자찬묘지명(自撰墓誌銘)

경향신문 >매거진X> 책 2002. 5. 17 [천년벗과의 만남] 스스로 쓴 묘지명 큰 학자인 다산 정약용의 ‘여유당전서’를 검토하다 보면 좀 특이하게 느껴지는 것이 있다. 문집에서는 그 문집 주인공의 생애를 정리한 묘지명이 실려 있게 마련인데 다산의 경우에는 그 묘지명을 자기 자신이 써 ‘자찬묘지명(自撰墓誌銘)’이라는 제목으로 싣고 있기 때문이다. 자신이 지은 묘지명이란 뜻의 이 글은 남이 내 생애를 정리하고 평가하지 않고, 내 스스로 내 생애를 정리하고 자신을 평가한다는 특별한 행위를 담아내고 있다. 다산이 그렇게 자신이 썼다는 점을 밝힌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 묘지명이란 본래 타인이 죽은 자를 위해 쓰는 글이기에 굳이 그 점을 밝히지 않을 수 없었던 까닭이다. 사람이 죽어 무덤에 묻을 때에는 묘지명..

조익(趙翼) 선비(先妣)의 숙인(淑人) 묘지문(墓誌文)

조익 선비(趙翼 先妣)의 숙인(淑人) 묘지문(墓誌文) 아들 조익 찬(子 趙翼 撰) 선비 숙인의 성은 윤씨(尹氏)이다. 그 선조는 해평현(海平縣) 사람이다. 고려조에 수 사공 상서 좌복야(守司空尙書左僕射)가 된 군정(君正)이라는 분이 그 비조(鼻祖)인데, 그 뒤 대대로 저명한 후손들이 배출되었다. 조부 휘(諱) 변(忭)은 군자감 정(軍資監正)인데, 두 아들인 영의정 해원부원군(海原府院君) 문정공(文靖公) 두수(斗壽)와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 문정공(文貞公) 근수(根壽)가 공훈을 세우고 귀한 신분이 되었기 때문에 의정부 영의정에 추증되고 해징부원군(海澄府院君)에 추봉되었다. 고(考) 휘 춘수(春壽)는 아산 현감(牙山縣監)으로 자헌대부(資憲大夫) 의정부 좌참찬에 추증되었다. 비(妣)는 공주 이씨(公州李氏)이다..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 묘지명(墓誌銘)

■동춘당 송공 묘지명(同春堂宋公墓誌銘) 숭정[崇禎 : 명 의종(明毅宗)의 연호] 임자년(1672, 현종13) 12월 2일 자(字)가 명보(明甫)인 동춘 선생(同春先生) 송공(宋公) 휘(諱) 준길(浚吉)이 회덕현(懷德縣)의 시골집에서 졸하였다. 공의 치명(治命 유언(遺言)과 같은 뜻)이, “명장(銘狀)이나 뇌문(誄文) 등을 구하지 말고 다만 작은 표석(表石)에 성명(姓名)이나 새겨 두라.”하였으므로 그 손자 병문(炳文)ㆍ병하(炳夏)ㆍ병원(炳遠)ㆍ병익(炳翼) 등이 감히 어기지 못하여 비록 문인(門人)이나 지구(知舊)들이 말하여도 모두 듣지 않았다. 시열(時烈)이 이르기를, “공의 도덕(道德)과 사실(事實)은 이미 사람의 귀와 눈에 익어 있으니 앞으로 오래될수록 더욱 나타날 것이고 또 사관(史官)이 적어 두었..

閔思平 配位 彦陽郡夫人 金氏 墓誌銘 幷序

민사평배위 언양군부인 김씨 묘지명 병서 (閔思平配位 彦陽郡夫人 金氏 墓誌銘 幷序) [생졸년] 1302년(충렬왕 28) ~ 1374년(공민왕 23) 이색 찬(李穡 撰) 부인의 성은 김씨이며, 언양군(彦陽郡)이 본향이다. 고조(高祖)의 휘는 취려(就礪)이니 태사 문하시랑(太師門下侍郞)으로 시호는 위열(威烈)이요, 증조(曾祖)의 이름은 전(佺)이니 태부 문하시랑(太傅門下侍郞)으로 시호는 익대(翊戴)요, 조부의 휘는 변(賆)이니 도첨의 참리(都僉議參理)로서 시호는 문신(文愼)이요, 아버지의 휘는 윤(倫)이니 수성수의 협찬보리공신 벽상삼한삼중대광 언양부원군(輸誠守義協贊輔理功臣壁上三韓三重大匡彦陽府院君)으로 시호는 정렬(貞烈)이요, 어머니는 변한국대부인(卞韓國大夫人) 최(崔)씨이니, 대유(大儒)인 중서령(中書令) 문..

정렬공 김윤 묘지명(貞烈公 金倫 墓誌銘 幷書) - 익재공 사돈

유원 고려국 수성수의 협찬보리공신 벽상삼한 삼중대광 언양부원군 증시정렬김공묘지명 병서 (有元 高麗國 輸誠守義 恊贊輔理功臣 壁上三韓 三重大匡 彦陽府院君 贈諡貞烈金公墓誌銘 幷書) ◇정령공 생졸년 : 1277(충렬왕 3)~1348(충목왕 4) ◇우의정 언양부원군 김윤(金倫)의 六男 휘(諱) 희조(希祖)공이 익재공(益齋公)의 셋째 사위가 되니, 두분은 사돈 지간 이다. 익재 이제현 찬(益齋 李齊賢 撰) 1287년(충렬왕 13)∼1367년(공민왕 16) 공(公)의 성(姓)은 김씨(金氏)요 휘는 윤(倫)이며, 자(字)는 무기(無己)이고 호(號)는 죽헌(竹軒)이며 또 다른 호는 당촌(戇村)으로, 계림(鷄林) 언양(彦陽) 사람이다. 증대부(曾大父)는 황태사 문하시랑평장사(皇太師門下侍郞平章事) 증시(贈諡)위열공(威烈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