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고궁,정려,서원 140

1902년의 서울 궁궐사진

■ 1902년의 서울 궁궐사진들 (서프라이즈/1902년의 / 2009-9-27 08:34) ●잡초가 무성하여 사람이 살지 않는 유령의 집과 같다는 사연에 대한 연구 글에 나오는 사진들이다 ↑경복궁 강녕전(康寧殿) 국왕의 침전(寢殿). 정면 11칸, 측면 5칸의 큰 건물이다. 1592년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1865년 경복궁 중건 때 다시 지었다. 1917년 창덕궁 희정전(熙政殿)이 소실되자 강녕전을 헐어 그 재목으로 중건했다. 현재 경복궁에는 강녕전이 새로 복원됐다. ↑경복궁 집옥재(集玉齋) 경복궁이 중건된 뒤에 건립된 고종의 서재다. 중국풍 건물로 장방형의 높은 석조기단 위에 세워졌다. 중앙에 돌계단이 있다. 왼쪽의 팔각 2층 건물은 서고인 팔우정(八隅亭). 오른쪽으로 언뜻 협길당(協吉堂)이 ..

송천서원(松泉書院)

■ 송천서원((松泉書院) ●요약 1695년(숙종 21)에 옥산면 송천리에 창건되었으며, 김사렴(金士廉)· 최유경(崔有慶)· 이정간(李貞幹)· 박광우(朴光佑)의 위패를 모셨다. 1711년에 사액을 받았으며, 이지충(李之忠)· 조강(趙綱)· 이대건(李大健)· 이제신(李濟臣)· 이인혁(李寅爀)· 최석정(崔錫鼎)· 남구만(南九萬)· 박문수(朴文秀)· 이종성(李宗成)· 이효석(李孝碩)· 김여량(金汝亮) 등을 추가 배향했다. 1871년(고종 8)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없어졌다가, 1975년 지방 유림의 복원계획 공의로 국고 보조금으로, 지금의 위치에 복원했다. ●연 혁 송천서원은 1695년(숙종 21)에 청원군 옥산면 환희리 송천마을에 김사렴(金士廉), 최유경(崔有慶), 이정간(李貞幹), 박광우(朴光佑), 이..

창덕궁 낙선재(樂善齋)와 성정각(誠正閣)

■ 창덕궁 낙선재(樂善齋)와 성정각(誠正閣) 창덕궁에서 낙선재는 자유관람이 안되고, 인터넷예약후 특별관람만 할수있다. 운좋게도 평일이어서인지 자리가남아 예약안하고 들어갈수있었다. 창덕궁은 자유관람,일반관람,특별관람으로 나눌수가있는데, 각자 볼수있는 구역이 다르기 때문에, 모두 보려면 선택을 각각 해야하는 불편함이있다. 목요일의 자유관람때는 낙선재, 성정각을 제외한곳은 다 볼수가 있다. 창덕궁에 있는 낙선재의 위치다. 성정각은 바로 왼쪽이고... ↑창덕궁 성정각(昌德宮 誠正閣) 성정각(誠正閣)은 그나마 사방으로 문을 꼭 걸어닫아 행랑채 너머로 담장 너머로 발돋움을 해야 겨우 중허리까지만 볼 수 있다. 성정각은 본채에 덧붙여 누가 번듯하게 솟아 있다. 남쪽 편에 붙은 편액의 누 이름이 “희우루”인데 동쪽에는..

전국 서원소재지

■ 전국 서원소재지 001. 가호 서원 (佳湖書院) : 경상남도 진주시 이반성면 002. 간곡 서원 (艮谷書院) : 충남 부여군 임천면 구교리 114 003. 갈천 서원 (葛川書院) : 경남 고성군 대가면 갈천리 1146 004. 강고 서원 ( 書院) : 005. 강덕 서원 (康德書院) : 전라남도 강진군 군동면 시목리 006. 강성 서원 (江城書院) : 전남 장흥군 장흥군 유치면 늑룡리 월천부락 007. 강현 서원 (書院) : 008. 검계 서원 (儉溪書院) : 충청남도 천안시 풍세면 삼태리 1구 009. 검암 서원 (儉岩書院) : 충청북도 가덕면 병암리 010. 겸천 서원 (謙川書院) :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죽림리 401 011. 경광 서원 (鏡光書院) : 경북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 012. 경남..

정업원(淨業院)

■ 前代 임금 후궁들의 처소「정업원(淨業院)」 왕조시대의 후궁들은, 모시던 임금이 죽으면 정업원(淨業院)에 거처했다. 정업원은 고려 때부터 있었는데 언제 개경에서 서울로 옮겼는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조선 태종 8년, 공민왕의 후궁이었던 이제현(李齊賢)의 딸 혜화궁주(惠和宮主)가 비구니로서 정업원에 거주하다가 죽었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시대 정업원은 왕실불교의 한 상징이라는 이유로 여러 차례 유학자들로부터 혁파 대상이 되었다. 정업원은 '선조수정실록'에 따르면 궁성 동북쪽에 있었는데, 세종 때, 혁파되었다가 불신자였던 세조에 의해 복립되었으며, 연산군 때 다시 혁파되었다가 명종 때 후궁들의 별처로 삼는다는 명목으로 다시 복립되었다. 선조는 여러 차례의 혁파 건의를 거부하고 존속시켰는데, 광해군의 총애를 받던..

진주 촉석루기(晋州矗石樓記)

■ 진주 촉석루기(晋州矗石樓記) 누관(樓觀)을 경영하는 것은 정치하는 자의 여사(餘事)이긴 하나 그 흥하고 폐하는 것으로써 인심(人心)과 세도(世道)를 짐작할 수 있다. 세도는 오르내림이 있는 까닭에 인심의 슬픔과 즐거움이 한결같지 아니하고, 누관이 흥하고 폐하는 것도 그에 따르게 된다. 그렇다면 누관 하나가 폐하고 흥하는 것으로써 한 고을의 인심을 알 수 있고, 한 고을의 인심으로써 한때의 세도를 알 수 있는 것이니, 어찌 여사로만 돌리고 작게 여길 수 있겠는가. 나는 이런 말을 한 적이 오래되었는데, 지금 우리 고을 촉석루를 보고 더욱 믿어진다. 누는 용두사(龍頭寺) 남쪽 석벽 위에 있는데, 나는 옛날 소년 시절에 여러 번 올라가 보았다. 누의 규모는 우람하고 넓어 내려다보면 까마득하고, 그 밑으로는..

안동 묵계서원(安東 默溪書院)

↑묵계서원(默溪書院) ↑만휴정(晩休亭) ■ 묵계서원(默溪書院)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묵계리 705. 735-1 ◇문화재지정일 :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19호 이 서원은 보백당(寶白堂) 김계행「金係行, 1431년(세종 13)~1517년(중종12)」과 응계(凝溪) 옥고「玉沽, 1382(우왕 8)~1436(세종 18)」를 봉향하는 서원으로, 1687년(숙종 13)에 창건되었다. 김계행(金係行)의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자는 취사(取斯), 호는 보백당(寶白堂). 김득우(金得雨)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혁(金革)이고, 아버지는 비안현감(比安縣監) 김삼근(金三近)이며, 어머니는 김전(金腆)의 딸이다. 1447년 진사가 되고 성균관에 입학하여 김종직(金宗直) 등과 교유하며 학문을 익혔다. 그 뒤 성주·..

명재 윤증 고택(明齋尹拯古宅)

■ 논산 명재 윤증선생고택(論山 明齋 尹拯先生 古宅) [종 목] 중요민속자료 제190호 [명 칭] 윤증선생고택(尹拯先生故宅) [분 류] 유적건조물/가옥 [수량 및 면적] 2동 [지정일] 1984년 12월 24일 [소재지] 충남 논산시 노성면 교촌리 306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 윤완식 [연락처] 041~735!1215 윤증선생고택(尹拯先生故宅)은 조선조 숙종때의 학자인 윤증(1629∼1714)이 지었다고 전하는 집이다. 후대에 수리가 있었겠지만, 그 세부 기법은 19세기 중엽의 건축 양식을 보이고 있다. 노성산성이 있는 이 산의 산자락에 노성향교와 나란히 남향으로 배치되 있다. 높은 기단 위에 앞면 4칸·옆면 2칸 규모의 사랑채가 있고, 왼쪽 1칸 뒤로 一 자형의 중문간 채가 자리 잡고 있다. 중..

매학정(梅鶴亭)

↑1983년대의 매학정 원경/사진>나무이야기/꽃 이야기 ↑매학정의 원경/사진>나무이야기/꽃 이야기 ● 매학정(梅鶴亭) 이 건물은 고산(孤山) 황기로(黃耆老 : (1521-1567)가 조선 중종(中宗) 28년(1533)에 조부의 뜻을 받들어 지었다고 전하는 정자이다. 철종(哲宗) 13년(1862)에 화재를 입은 것을 7대손 황민술(黃敏述)이 원래의 자리에 다시 지었다. 황기로는 1534년 초시에 합격하여 별좌(別坐)를 지낸 후 관직을 떠나 이 곳에서 자연을 벗삼아서 서예를 즐겼다. 초서를 잘 쓴 그는 초성(草聖)으로 통하였으며 대표작으로는 충주의 '이승지번비(李承旨蕃碑)"이다. 이 정자는 고산(孤山) 기슭에 남향으로 정면 4칸, 측면 2칸으로 이루어져 있다. 화강암으로 쌓은 3층의 기초단 위에 막돌 주춧돌..

김홍익 정려문(金弘翼 旌閭門)

■ 김홍익 정려문(金弘翼 旌閭門) [소재지]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유계리 [유적현황] 유계리 안다리 마을 입구에 있다. 정려는 방형의 시멘트 기단 위에 세운 정면·측면 1칸의건물이다. 초석은 8각 주초석이고 그 위에 원기둥을 올렸 다. 앞과 옆 중앙 윗쪽은 홍살로 처리했다. 겹처마에 팔작지붕에 초익공 양식의 건물이다. 김홍익은 병자호란 때 전사한 충신으로 김홍욱은 그의 형이다. ▲김홍익 충신문 안내판 ▲김홍익 충신 정려문(金弘翼忠臣旌閭門) ▲충신 증자헌대부이조판서겸지의금부사오위도총부도총관 시충민공행통훈대부연산현감 김홍익지문 (忠臣 贈資憲大夫吏曹判書兼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都摠管 諡忠愍公行通訓大夫連山縣監 金弘翼之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