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고궁,정려,서원 140

육영수 여사 생가

육영수 여사 생가 복원 육영수 여사님은 충북 옥천읍 교동리에서 1925년 11월 29일 아버지 육종관씨와 어머니 이경령 여사 사이에서 1남 3녀 중 셋째로 태어남, 1938년 옥천 죽향초드학교를 졸업 서울 배화여자고등학교에 입학 학창시절 재봉과 수예 솜씨가 뛰어났으며, 요리에도 남다른 솜씨를 발휘. 1942년 배화여자 고등학교를 졸업 교동집으로 돌아와 집안일과 아버지 사업을 도왔으며, 1945년 11월에 옥천여자 중학교 가사 담당교사가 되어 학생들에게 수예, 도화(미술)등을 가르쳤다. 1950년 6. 25전쟁때 피난 온 부산집에서 송채천 소위의 소개로 박정희 소령을 처음 만나 그해 12월 대구에서 결혼 슬하에 1남 2녀를 두었다. 박정희 대통령의 영부인이 되어 서울 남산 어린이집 건립 또 어린이들을 위한..

화산서원(花山書院)

■ 화산서원(花山書院) *경기도 기념물 제46호(1975. 09. 05 지정) *소재지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방축리 산16~1 조선 선조 때의 명신 백사 이항복(李恒福 . 1556~1618)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건립하고 위패를 모신 서원이다. 인조 13년(1635) 건립되었다가 숙종 원년(1675) 임금이 친히 이름을 지어 그것을 새긴 편액을 내린 사액서원(賜額書院)이 되었다. 고종 5년(1868)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없어졌다가 1971년 지방 유림들의 뜻을 모아 복원 되었다 현재 사당과 동.서재. 내삼문. 외삼문 등의 건물이 남아있다.이항복은 선조13년 문과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거처으며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를 모시고 따랐다, 임진왜란이 끝난 뒤 영의정이 되었고 청백리에..

유은정(柳隱亭)

↑유은정(柳隱亭) 경상북도 예천군 유천면 성평리 `유은정(柳隱亭)' 중수 완공 기념식이 2010년 8월 27일 오후 5시 현지에서 열렸다. `유은정'은 경주이씨 국당공파 38세손 이우호(장릉참봉)의 아들 재익이 1936년 세운 정면 3칸, 측면 1.5칸, 방 2개로 큰 바위 위에 지은 팔작지붕 정자이다. 정자 뒤편에는 높이 3m 크기의 듬직한 바위가 있으며 벚나무가 정자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이재익 선생의 손자 기철 씨는 “조상의 숨결이 밴 정자가 오래 전부터 사용하지 않아 허물어져 가는 모습이 안타까워 중수를 위해 10년 전부터 조금씩 준비해왔다”고 말했다. 지난해 10월부터 공사를 시작한 유은정은 2억 5천만원을 들여 기둥과 보만 남기고 부연, 서까래, 마루 바닥을 완전 교체하였다. 또 대들보는 하..

피염정(避炎亭)

↑피염정(避炎亭) [소재지] : 경상북도 영주시 장수면 갈산 1리 [건 축 주] : 이희음(李希音, 1579년~1641년) [건립개요] 영주시 장수면 갈산리에 있으며 1632년(인조10)에 진사(進士) 이희음(李希音)의 건립으로 1729년(영조 5)에 소실(燒失)된 것을 1865년(고종 2)에 중건하였다. 단곡(丹谷) 곽진(郭진)의 기와 순흥(順興) 안연석(安鍊石)의 중건기 및 학사 김응조(金應祖)의 시와 청풍자(淸風子) 정윤목(鄭允穆)의 시가 있다. ●건축이야기 세상살이 열기 까지도 식히길 바램이었던 피염정 영주서 예천으로 통하는 큰 길을 따라 장수면 소재지인 반구(盤邱 : 일명 반두둘)를 거쳐 두어 굽이 산모퉁이를 지나면 장수교(長壽橋)가 나온다. 이 다리에서 큰 길을 벗어나 둑길로 길을 바꾸어 서북..

쌍죽재기(雙竹齋記)

출전>>두암집 쌍죽재기(雙竹齋記) 두암(斗庵) 김약련(金若鍊) [생졸년] 1730(연조 6)~1802(순조 2) 계축년 가을에 문중 사람인 김사묵(金士默)이 개성에서 두암(斗庵)으로 나를 찾아왔다. 서로 악수를 하고 친척간의 우의를 표하였다. "어디에 살고 있습니까?" "제 집 동쪽은 선죽교(善竹橋)와 가깝고, 서쪽은 죽림당(竹林堂)과 가깝습니다." 아! 포은 정몽주 선생의 순절 사적과 익재 이제현의 전장이 고을의 좌우에 있어서, 사람들이 포은· 익재(益齋) 선생을 함께 추모하고, 존경하고 있다. "당신은 무얼 하시면서 사시고 계십니까?" "저의 집은 가난합니다. 채소를 가꾸면서 생활하고 있습니다. 여분이 생기면 여종을 시켜 개성 성중(城中)에 가서 팔게 합니다. 성중은 저의 집에서도 가깝습니다. 또 성..

구강서원 강당기(龜岡書院 講堂記)

■ 구강서원 강당기(龜岡書院 講堂記) 우리나라는 해 돋는데, 가까운 지역이다. 수. 화. 목. 금. 토(水火木金土)의 오행(五行)에 있어서는 목(木)에 속하는 땅이요. 춘하추동(春夏秋冬) 사계절(四季節)에 있어서는 춘(春)에 속하는 땅이니, 문명(文明)한 운수가 사방(四方)의 다른 지역(地域) 보다도 앞설 것인데, 오히려 중국(中國) 보다도 뒤 떨어진 것은 무슨 까닭일까? 이는 아마도 지역이 좁고 기운이 맞지 않아서, 삼광(日. 月. 星辰)과 오악(五嶽 : 한국의 이름난 다섯 산을 뜻 한다) 정기(精氣)가 흩어 저 모이지 않는 까닭이 아닌가 한다. 중국으로 말하면, 오제(五帝), 삼왕(三王)으로 부터, 진(秦), 한(漢). 진(晉). 수(隋). 당(唐). 송(宋)을 지나는 동안에 문화와 물질이 거의 전통..

전병순(田秉淳)과 부계정사(扶溪精舍)

부계정사(扶溪精舍) ↑소재지 :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 옥산리 오늘날 이따금씩 수재가 나면 상부전의 마을 회관과 함께 이 곳도 조난대피소로 지정 운영되고 있다. ↑1987년 부계정사(扶溪精舍) 입구에 세운 부계(扶溪) 전병순(田秉淳)선생의 신도비(神道碑)이다. ■전병순(田秉淳) 1816년(순조 16)~1890년(고종 27)의 조선후기의 재야학자(在野學者)로 자는 이숙(彛叔), 호는 부계(扶溪)· 겸와(謙窩), 전석채(田錫采)의 아들로 본관은 담양(潭陽)이다. 그는 동생 전시순(田蓍淳)과 함께 홍직필(洪直弼)의 문인으로 조병덕(趙秉德), 전우(田愚) 등과 교유하였으며, 매문오현(梅門五賢)으로 일컬어졌다. 그리고 평생 동안 경남 함양의 부계정사(扶溪精舍)에서 강학(講學)하며 사도(斯道)를 수호하는데 기여한 ..

북한의 국보 제21호부터 제41호까지

북한의 국보(제21호 부터~제41호 까지) ↑제21호 ~ 박천(博川) 심원사 보광전(心源寺普光殿) 평안북도 박천읍(博川邑)에서 동쪽으로 약 5km 떨어진 심원산(봉린산)의 제일 봉우리를 배경으로 하고, 그 동서 양쪽에 발양산과 부흥산이 둘러선 아늑한 곳에 박천 심원사가 자리잡고 있다. 심원사(心源寺)에는 중심건물인 보광전과 전등루, 향로각 등이 관리, 보존되고 있는데 보광전은 막돌로 면을 맞추어 쌓은 기단위에 정면 3간(10.85m), 측면 2간(7.2m)으로 세운 합각집으로 9세기에 처음 지었으나, 지금 남아 있는 것은 1368년에 고쳐 지은 건물이다. 이 건물은 고려말기의 특징을 잘 갖추고 있는 귀중한 건물로서 우리나라 중세건축술 발전의 한 과정을 집약적으로 보여 준다. ↑제22호 ~ 묘향산의 보현사..

개성 서소문 상량문 대의(開城西小門上樑文 代擬) 

담인집(澹人集 券之十六) 신좌모 저[申佐模 ,1799(정조 23) ~ 1877(고종 14)] ■ 開城西小門上樑文 代擬 譬如衆星北極。隆上京之藩籬。是爲半月西門。壯故都之鎖鑰。華扁特揭。麗醮增光。盖聞爲城郭扃鐍以守之。內嚴外禦。使商賈行旅願出也。有譏無征。周西都之邑岐淢豊。盖重基迹之攸肇。秦東門之踐華跨渭。足見襟喉之斯存。顧玆松京。麗氏虎踞之基。聖祖龍興之地。神崧其鎭。禮成其浸。可見軆勢之崇深。穆淸之殿。敬德之宮。尙想軌跡之宏達。睠彼內城故址。寔我本朝始營。創夏正更革之初。週圍凡二十里。逮漢陽定鼎以後。廢壞殆四百年。名都大州。蕩无防限。頹垣敗堞。棄爲邱墟。肆我后軫綢繆之謨。而微臣膺修繕之命。募游手而計傭給價。不役本府一丁。審向背而集事赴功。適値舊中八癸。遂乃去帷盖而不避熱濕。親版鍤而與共甘辛。當以身先。拊循乃其職耳。弗遑自逸。奔湊敢言勞乎。於是民咸感奮發誠。家願趨赴効力。抱..

개성눌리문상량문 대의(開城訥里門上樑文 代擬)

■ 개성눌리문상량문 대의 (開城訥里門上樑文 代擬) 신좌모(申佐模) 찬[생졸년] 1799 (정조 23) - 1877(고종 14) 負鵠嶺而五冠聯延。鎭玆北固。傍蜈穴而兩扇張翕。扃于西偏。出入共由。開闔從便。顧玆都察大峴。爰有訥里小門。內而橋曰朱雀洞曰廣明。最近管理營牙纛。外則關爲靑石鎭爲礪炭。素稱要害處喉襟。盖本朝未遑周營。創內城而壯鑰。而半月仍襲秦故。綰西路而固扃。第漢都自鼎遷乎。伊晉堞無復存者。中間之歲月悠遠。魚齒全平。上下之風雨洗磨。虹腰半缺。奚但都邑之荒廢。居人嗟傷。抑亦關防之疎虞。識者竊歎。何幸聖后感故都之念。爰畀微臣繕遺堞之任。廢興無常。慨辛朝之自墜。成毁有數。喜癸年之重回。東南門之新舊相仍。築斯城某從至某。北西樓之遠邇均適。設是闑間於其間。穹扉谽谺。中容高車大盖。飛甍縹緲。上爲曲檻層欄。兩路之使華相望。誰能出不由也。九街之商貨並湊。寧復入而閉焉。蓋修廢亶由睿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