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 2038

통도사 선자비위(扇子=부채)

■ 통도사 선자 바위(이름바위라고도 한다). 122(8-12) 서상붕,조석찬,이현직바위(선자바위 본체 동쪽 4단) ●농상공부주사 서상붕 ●철종 때 기장현감 조석찬 ●헌종 때 부산첨사 이현직 ●경상북도관찰부주사 강준 바위번호122(구역번호8-12) 서상봉,윤석찬,이현직바위(선자바위본체동쪽4단) 38명 연번호 새겨진한자 한글표기 조선왕대 연대 비고 (1) 8명 1724 吳炳坤 오병곤 1725 徐相鵬 서상붕 고종32년 1895 농상공부 주사 1726 申興道 신흥도 1727 申龍或 신용혹 1728 徐義瀚 서의한 1729 金鍾奭 김종석 1730 鄭在吉 정재길 1731 李永基 이영기 (2) 13명 1732 徐世? 서세묵 1733 鄭義斗 정의두 1734 崔有珩 최유형 1735 金相宇 김상우 1736 金啓鎭 김계진 1..

경복궁 신무문 편액 글씨 - 이현직(李顯稷)

일제 강점기 성벽이 무너진 신무문(1920년대 모습) 신무문은 조선 세종 15년(1433년)에 세워져. 성종 6년(1475년)에 방위를 관장하는 사신(四神) 가운데 북쪽을 담당하는 현무(玄武)를 뜻하는 '신무문(神武門)'이라고 이름하였습니다. 그 후 임진왜란 때 경복궁이 화재로 전소되면서 함께 소실되었고, 고종 2년(1865년)에 경복궁 중건과 함께 다시 세워졌습니다. 이 문은 평상시엔 닫아두었다고 합니다. 이것은 음기(陰氣)가 궁궐을 어지럽히는 것을 막기 위해서였다고 하는데, 기우제를 지낼 때나 왕이 신무문 밖 활터 등으로 행차할 때에만 이 문을 이용했다고 합니다. 고종 33년(1896년) 아관파천 때 고종이 이 문을 통해 러시아대사관으로 들어가기도 했습니다. - 천장 (사진 출처: 한겨레신문) 출입구..

공조판서 이현직 간찰(工曹判書李顯稷簡札).

조선 후기의 무신, 이현직「李顯稷,1797년(정조 21)∼1876년(고종 13)」의 본관은 경주(慶州). 자(字)는 백형(伯衡), 호(號)는 오산(梧山)으로, 양부(養父)는 1769년(영조 45) 무과에 올라 총관(摠管)을 지낸 이격(李格, 1748~1812)이고 양모는 안동김씨(安東金氏, 1748~1820)이다. 생부(生父)는 이욱「李稶, 1763(영조 39)~1807(순조 7)」이고 생모는 연안이씨(延安李氏)이다. 1865년 총융사가 되었고, 이듬해 어영대장과 공조판서로 있으면서 경복궁 중건을 감독하였다. 신미양요(1871, 고종 8/6월에 종료)가 거의 끝나갈 때 한성부판윤(1871. 05. 28)에 임명되었다. 간찰의 상태는 양호하며 크기는 가로 39cm, 세로 24cm이다.) ※선생의 종파는 경..

순찰사 이형좌 애휼영세 거사비

작성일 : 2016. 09. 30 순찰사 이형좌 애휼영세 거사비(巡察使 李衡佐 愛恤永卋 去思碑) 강원 문화재/평창 문화재 평창군 방림면 운교리 ↑운교삼거리 "산채뜰" 가게 마당 입구에 있다. ↑巡察使 李 㕣 衡佐 愛恤永卋 去思碑(순찰사 이 공 형좌 애휼영세 거사비) :강원도 순찰사 이형좌가 백성을 돕고 사랑해서 긴 세대 동안 간 것을 생각하는 비. 崇禎 後 二 庚戌 十月 日 立(숭정 후 이 경술 십월 일 립):1730년 음력 10월에 세움. ↑뒤편의 새긴 날짜를 새로 크게 새기면서 "崇禎後" 다음에 "二"자를 빼먹었다. 잘 살펴보면 "崇禎後庚戌" 글자는 크고 잘 못 새겼고, "十月日立" 글자는 작고 잘 새겼다. 출처 : 닥밭골 - 심충성

형조참판증이조판서이공형좌묘갈명 탁본첩(57면)

조선 후기 인천 출신으로 수원부사와 인천부사를 역임한 이형좌『李衡佐,1668(현종 9) ~ 1746(영조 22)』 선생의 묘갈명 탁본첩이다. 총57面으로 구성되어 있다. 크기 : 22 × 39.8cm 이다. 지암 이철보『止庵 李喆輔,1691年(肅宗 17)~1775年(英祖 51)』 撰, 이종백(李宗白) 전자(篆字), 이종덕(李宗德) 書로 1750년에 세운 「李衡佐,1668(현종 9) ~ 1746(영조 22)」선생의 묘갈명 「형조참판증이조판서이공묘갈명(刑曹參判贈吏曹判書李公墓碣銘)」 탁본첩으로 57面으로 이루어져 있다. 크기는 22 × 39.8cm 이다. ■이형좌(李衡佐) [생몰년] 1668년(현종 9)~1746년(영조 22) [진사] 숙종(肅宗) 28년(1702) 임오(壬午)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

贈 判書 李公 衡佐 墓碑銘

작성일 : 2011. 02. 12 이형좌「李衡佐 1668(현종 9) ~ 1746(영조 22)」 --------------------------------------------------------------------------------------------------------------------------------- 贈判書李公衡佐碑銘(증판서이공형좌묘비명) 지암 이철보 찬(止庵 李喆輔 撰) 1691年(肅宗 17)~1775年(英祖 51) 上之四年戊申春。逆冦飈發。三南畿甸俱動。京師戒嚴。維時贈吏曹判書鷄林李公。以蔭沈於原州牧。廟堂方急才乃白之。上曰此時贊畫使等任。非某不可。或曰關東巖阻。此時方伯。非某不可。上乃擢公爲江原道觀察使。俾奠東服。公辭不獲。則慨然上訖。悉罷守營兵歸農。遠斥候嚴津阨。申師律整戎備。一營肅然。旣又詗捕賊黨。..

通仕郞行省峴道察訪李弘愨墓碣銘

작성일 : 2010. 10. 09 通仕郞 行 省峴道 察訪 李弘愨 墓碣銘 (통사랑 행 성현도 찰방 이홍각 묘갈명) 명고 정간 찬(鳴皐 鄭幹 撰) 1692년(숙종 18)~1757년(영조 33) 通仕郞行省峴道察訪李公墓碣銘 公之系出月城。自羅初李謁平佐太祖定國。歷勝國迄昭代。前後數千年。簪組蟬聯。譜不絶書。有諱龜山禦侮將軍。諱漢柱展力副尉。諱乙奎魁科承文院校理。是公之三世也。校理公有文章學識。晦齋李文元公嘗作詩勔以道義。又自以爲有三不如。其一謂其多賢子云。妣令人竺山全氏。參奉懷玉之女。以嘉靖丁酉三月六日生公。其質魁梧。其性曠坦。其才敏而其學勤。校理公甚奇愛之。戊辰中進士。屢擧鄕不第。用薦再直集慶殿。由敬陵參奉轉濟用監。例陞奉事。以事罷。久家食無悶。晩有省峴攻駒之命。竟不就。其守祧也。有恩賜書籍藏于家。乙巳十月二十日。卒于寢。十二月二十三日。葬于府北黃洞負卯之原。端人徐..

鶴南 李晦慶 墓碣銘

작성일 : 2009. 06. 02 ■ 34世 이회경(李晦慶) 이회경『李晦慶 ; 1784(정조 8)∼1866(고종 3)』 선생은 경주이씨 교감공 후 23世 도원공(桃源公) 이말동(李末仝)의 11대손이다. 선생의 자는 서구(敍九), 호는 학남(鶴南)이고 양덕(養德)의 아들로 경주사람이다. 그는 유범휴(柳範休)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오로지 학문연구에 일생을 바쳤다. 鶴南李公墓碣銘(학남이공묘갈명) 척암 김도화 찬(拓菴 金道和 撰, 1825~1912) 李氏之先。出自慶州。新羅梁部大人謁平其初祖也。麗季有諱存斯文校勘。至本朝有諱良工曹判書。三世有諱末仝中司馬兩試。始居杞溪。高祖諱道謙以孝行贈敎官。曾祖諱弘禎。祖諱命龍。有弟諱弼龍子養德爲後。先生考也。妣全州柳氏鳳來女。百拙庵禝之後也。先生諱晦慶字叙九。以健陵甲辰十一..

송와집(松窩集) - 李從允 著

필자 소장본 ■서지(書誌) ◈도서명 : 송와집(松窩集) ◈저자(著者) : 이종윤(李從允) ◈책수(冊數) : 4권 2책 ◈간행연도 : 1964년 ◈크기 : 20.0(가로) x 30㎝(세로) ◈판종(板種 : 석판본(石版本) ◈수서각서(手書刻序) : 1964년 重陽節 眞城后人 이기호(李起鎬) 謹序 ◈소식(小識) : 16代孫 이은우(李殷雨) 경서(敬書) 송와 이종윤(松窩 李從允) 국당공 후 경북 청송 입향조 20世 월성군(月城君) 정견(廷堅)의 손자임. 이종윤「李從允, 1431(세종 13)∼1490(성종 21)」.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가정(可貞), 호는 송와(松窩). 을충(乙忠)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원길(元吉)이고, 아버지는 현감 형(衡)이며, 어머니는 안동권씨(安東權氏)로 직장 ..

구봉 이도겸 효행록(九峯李道謙孝行錄)

작성일 : 2010. 03. 26 구봉 이도겸 효행록(九峯李道謙孝行錄) - 명고 정간 찬(鳴皐鄭幹 撰) 30世 이도겸「1667(헌종 9)~1718(숙종 45)」 公諱道謙字好與姓李氏。慶州人。以新羅及梁部大人謁平爲鼻祖。中世失譜。入國朝有諱良官工曹判書。卽公之十世祖也。曾祖諱明翼。祖諱挺善。考諱夏相。妣驪江李氏。童蒙敎官垷之女。晦齋先生之玄孫也。崇陵丁未二月八日。生公于府北杞溪縣里第。公幼有至性。年十四遭外艱。哀毁如成人。事王府君及母夫人。克殫誠孝。定省未嘗廢。甘旨未嘗匱。聲色必和愉。應對必敏謹。其有不安節則晝不離側。夜不解帶。鼎俎必親執。藥餌必先嘗。人不曾見其翔容也。嘗出宿友人家。忽心動不寐。明發亟還。母夫人有微恙云。丁丑丁王府君憂。易慽備至。壬辰母夫人疾病。公斷指灌血得少甦。旣不能救則公孺子啼。水漿不入口者累日。送終諸節。必誠必愼。一遵文公家禮。旣葬結廬墓傍。藉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