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 2038

이기영 (李琪榮) - 의병활동

■ 이기영(李琪榮), /35世/경주이씨 국당공파 ◇이명 : 이만보(李萬補), 이만영(李萬榮) ◇생년 : 1849. 07. 29 ◇졸년 : 1922. 11. 22 ◇주소 : 전라북도 익산시 팔봉면(八峰面) 석암리(石岩里) 351번지 ◇훈격 : 건국포장(2015년) ------------------------------------------------------------------------------------------------------------------------------------- 공훈내용 1907년 음력 10월부터 11월경까지 전북 익산군(益山郡)에서 아들 이규홍(李圭弘)이 창의하자 재산을 매각하여 군자금으로 제공하는 등의 활동을 하였다. 이기영은 아들 이규홍이 1906년 4월 25일 ..

이집로 간찰(李集魯簡札) 2점

순조 7년(1807) 정묘 식년시에 급제한 이집로(李集魯)선생의 간찰 2점. ◈ 이집로(1769-?) 선생의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예재(禮在)이다. 나주진병마첨절제사(羅州鎭兵馬僉節制使)를 지낸 통 훈대부(通訓大夫) 이후원(李厚源)의 아들로 39세에 순조(純祖) 7년(1807) 정묘(丁卯)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다. ◈ 상 태 : 양호. 크 기 : 24.5cm x 42cm등 (세로 x 가로) 크 기 : 24.5cm x 42cm등 (세로 x 가로)

생곡 이인환 선생 간찰

생곡 이인환(生谷 李寅煥) 경기도 관찰사와, 이조판서 등을 역임한 조선 후기의 진천 출신 문신 이인환(李寅煥) 선생의 정축(1699)년 간찰 한 점으로 전체 배접이 되어있으며 가운데 부분 약간 손상 외 상태 양호하다. 이인환(李寅煥.1633~1699)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문백(文伯), 호는 생곡(生谷).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의 후손이다. 증조부는 이대건(李大建)이고 할아버지는 벽오(碧梧) 이시발(李時發)이며, 아버지는 지제교(知製敎)·이조판서를 지낸 이경휘(李慶徽)이고, 어머니는 심대복(沈大復)의 딸이다. 큰아버지 이경연(李慶衍)에게 입양되었다. 동생으로 매산(梅山) 이인혁(李寅爀)·이인욱(李璘煜)·이인찬(李寅燦)·이인희(李寅熹)·이인식(李寅烒)이 있다. 28세 때인 1660년(현종 1) ..

蘭樵 李公行狀[乙未暮春]

公姓李。諱正斗。字景七。蘭樵其號也。鼻祖諱謁平。降 于慶州 瓢巖下。是爲六部大人之一。而佐羅祖。爲開 國元勲。其後有諱開。佐敬順王。封江陽君。及麗朝受 禪。廢爲陜川户長。子孫仍著籍焉。累傳。至諱景芬。金 紫光錄大夫尙書左僕射。諱云皓。版圖判書。是生諱 斯昉。入本朝。官永川郡事。三傳。至諱樑材。光陵 丁亥。以北評事兼三水郡事。立殣於施愛之變。再傳。 至諱忠。承政院左承㫖。是生諱守謙。號敬窩。厚 陵 叅奉。贈禮曹叅議。與沈巽齋。朴思菴。金黃岡。鄭松江 諸賢。爲道義交。是生諱得男。以栗谷李先生薦。除軍 資監奉事。三傳。至諱慶殷。養德山林。含章自貞。是生 諱昌叟。以文行。重於世。戊申變。炳幾潔身。聲討逆黨。 출처 : 임재집(臨齋集-徐贊奎 著)

이문좌(李文佐) - 문과 및 인물요약

■ 이문좌(李文佐) [문과] 성종(成宗) 14년(1483) 계묘(癸卯)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1[壯元]위(1/33) ◇문과시험답안 : 표(表):의당이필청사직환산(擬唐李泌請辭職還山). [논(論)]:고기직설독하서(皐夔稷卨讀何書). ◇선발인원 : 33명[甲科 3名/乙科 7名/丙科 23名] ◇전력(前歷) : 생원(生員) ◇관직(官職) :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 [생원] 성종(成宗) 11년(1480) 경자(庚子) 식년시(式年試) [생원]1등(一等) 5위(5/100) ◇선발인원 : 100명[一等 5名/二等 25名/三等 70名] ◇전력(前歷) : 유학(幼學) [인물요약] [자(字)] 현도(顯道) [호(號)] 세촌(細村) [생년(生年)] 신사(辛巳) 1461년(세조 7) [졸년(卒年)] 신해(辛亥) 1491년(..

이문좌(李文佐)

■이문좌(李文佐) 조선전기 안협현감을 역임한 문신으로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현도(顯道), 호는 세촌(細村). 증조는 이진(李進)이고, 할아버지는 이권생(李權生)이다. 아버지는 감무 이계상(李繼祥)이다. 공(公)은 일찍이 김일손(金馹孫)·권오복(權五福) 등과 더불어 김종직(金宗直)에게 나아가 학문을 닦았다. 1483년(성종 14) 생원으로 춘당문과(春塘文科)의 갑과 장원(壯元)으로 급제하여 문명을 떨쳤다. 그렇지만 안협현감(安峽縣監)에 임명되어 당시 사람들이 모두 애석하게 여겼으며, 무오사화(戊午史禍)의 후유증으로 크게 중용되지 못하고 전적에 머무르다 문명을 펼쳐보지 못한체 향년 31세의 나이에 졸하였다. 예천의 인산서원(仁山書院)에 제향되다. [참고문헌] 성종실록(成宗實錄) / 국조방목(國朝榜目) ..

충무공 이수일(1554~1632) 장군 유품(교지)

작성일 : 2011. 01. 23(일) ↑병신 1596년 8월 27일(양력 10월 17일) 교지 ↑계사 1593년 음력 7월 26일 ↑을미 1595년 음력 1월 8일 ↑갑오 1594년 음력 11월 8일 ↑계사 1593년 음력 3월 10일 ↑무신 1608년 ↑을축 1625년 음력 7월 10일 ↑정사 1617년 음력 10월 9일 ↑을사 1605년 음력 11월 8일 ↑정사 1617년 음력 7월 7일 ↑임진 1592년 음력 10월 6일 ↑갑자 1624년 음력 5월 일 ↑계미 1583년 음력 9월 일 ↑정유 1597년 음력 5월 4일 교지 ↑임자 1612년 음력 2월 20일 교지 ↑임진 1592년 음력 6월 초 ↑을유 1645년 음력 6월 10일 ↑정경부인 전주이씨 부(祔) ↑을사 1605년 음력 8월 7일 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