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 2038

成均進士 龜溪 李中立 墓表 - 국당공 후 제정공파

[생졸년] 이중립「李中立, 1533(중종 28)~1571(선조 4)」 [생원진사시] 명종(明宗) 13년 (1558) 무오(戊午) 식년시(式年試) 1등(一等) 1[장원(壯元)위/26歲 합격. 경주이씨 국당공 후 제정(霽亭) 이달충(李達衷)의 8대손임. ------------------------------------------------------------------------------------------------------------------------------------ 본관(本貫)은 경주(慶州). 자(字)는 강중(强仲). 호(號)는 구계(龜溪). 부(父)는 어모장군(禦侮將軍) 해(瀣). 세거지는 안동 예천(安東‧醴泉). 이황(李滉)의 문인. 1558년 式年試 1등으로 진사에 입격. 당시 요..

處士 李重緖 墓碣銘 幷序 - 평리성암공파

이중서『李重緖 1713(숙종 39) ~ 1756(영조 32)』 處士 月城 李公 墓碣銘 幷序 -정재 류치명 公諱重緖。字孝承。姓李氏。系出慶州。新羅佐命功臣謁平。爲上祖。在麗諱翮。左僕射。入國朝。有諱文佐。從佔畢齋學。以書狀官朝京。劾副使貪汚。東還。爲所擠。外補安峽。以故不及於戊午禍。號細村。五世諱榮門。光海時不就徵。自號東渠逸士。高祖諱亨坤。贈正郞。曾祖諱奎英。別提。祖諱爾一。考諱儀。妣安東權氏。萬準女。生考諱儁。妣晉州柳氏。明漢女。公生以明陵癸巳。幼聦敏穎悟。有聞輒曉解。七歲。從王父暮行。口呼暮從龍山歸。山中路依微。王父心異之。黃龍岡壽一。聞公名。委訪見之曰。此大器。不宜以科學斲喪。欲攜敎之。十一歲。讀中庸。以意逐章分解。長者莫能竆詰。十四。黃公疾且㞃。謂子弟曰。我死無可傳之人。且以書簏。歸之李童子。時權氏無子。不樂家居。往依親黨。公承父命後之。居可十里。日往覲。寒暑不廢..

자헌대부 이지번 묘갈명(資憲大夫李枝蕃墓碣銘)

이지번『李枝蕃, 1649(인조 27) ~ 1731(영조 7)』 資憲大夫李君墓碣銘 癸丑 - 동계 조귀명(東谿 趙龜命,1693~1737) 三代之爲善易。後世之爲善難。士大夫而爲善易。微賤而爲善難。何則。爵祿慶賞之勸。行於古而廢於今。名譽順風之勢。在於尊而不在於卑。若乃居今之世。伏窮閻之中。而能以孝弟砥其行者。可謂兼於所難矣。以余所聞。李君枝蕃。其人也。君字聖汝。慶州人。新羅佐命功臣謁平之後。家世陵替。高祖以下皆不仕。父九智。階通政。母全州梁氏。德仁之女。君性孝。年十七。母病革。三斫指。取血以進。鄕黨稱爲孝兒。任監司有後。隣比嘉之。會一鄕議請旌表。君蹙然曰。吾所以爲此。欲救親也。而親終不救。此吾恨耳。又從而爲市乎。任公執手泣曰。汝純孝也。吾安違孝子心。事遂已。前後執喪。哀毁如一。啜粥至終制。營置祭田。時節上墓。具饌必潔。時物未薦。不先食。篤於友愛。兄弟有染癘者。君自遠徒步往視..

孝子 贈 監察 李公 旌閭記

이지영「李祉榮 ? ~ 18??」 孝子贈監察李公旌閭記 - 익재공파 今上二十一年甲申。命旌故孝子李祉榮之閭。贈司憲府監察。因多士龥也。據啓辭。略曰生世孝家。克趾先庥。定省溫凊。不敎而能。有不安節。輒涕泣不食。一再飯。惟親是視。疾革。嚼指刲股。延已絶之縷。毁逾於禮。幾幾滅性。服闋。猶朔望哀展。風雨不以尼。鄕人士一辭稱至孝。將擧其行於道繡。公瞿然曰。吾於子職不能盡。而又重吾不孝耶。竟尼之。公殆所謂自知不足者歟。其他百行。不但以一孝成名。而平居不以賢知先人。孝子哉若人。君子哉若人。公評在世。皋唳聞天。旌贈遄降於身後七年。有本者如是歟。李氏慶州世家。羅麗奕甚。益齋先生德業文章。百世宗仰。長水公仕國朝。與金佔畢先生有道義契。戊午懲毖。遯湖南之武靈。至今稱衣纓古家。而公紹述之。見今文敎椓喪。滔滔胥淪。而後承於公者。皆讀聖賢而談仁義。吁盛矣。孫鍾澤,曾孫孔雨。以記事之文。不鄙命余。夙昔相從。不敢..

先府君 贈 判書 李天一 行狀 - 제정공파

이천일『李天一 1531년(중종 26) ~ 1603(선조 36)』 先府君贈判書公行狀 -설정 이흘(雪汀 李忔) 李氏之先。出自慶州。新羅初。有諱謁平。事赫居世。策佐命功。其後遠裔有諱居明。生兵部令金現。金現生三韓功臣金書。乃新羅敬順王之婿。敬順旣納土。入朝高麗太祖。太祖妻以樂浪公主。生女歸于金書。金書生潤弘。潤弘生承訓。承訓生周復。周復生偁。偁生侈連。侈連生寵暹。寵暹生春貞。春貞生玄福。玄福生宣用。宣用生升高。升高生得堅。得堅生翮。官至左僕射。僕射生三子。長仁挺門下評理。次瑱。檢校政丞。次世祺。大提學。提學生諱蒨。官評理謚文孝。乃公九世祖也。與門下之子榑樛兄弟。俱以文章名節焜耀一時。而益齋之事業。尤爲卓冠吾東者也。文孝生月城君敬中。其弟有曰培中判書。曰達衷政丞。曰誠中政丞。四難封君。何其赫世軒冕若是之盛耶。月城生諱毓。侍郞。侍郞生諱廷碩。繕工副令。副令生諱侗。伊川監務。監務生諱..

선군이탕묘갈명(先君李宕墓碣銘) - 국당공파

이탕「李宕, 1507(중종 2) ~ 1584(선조 17)」 본관은 경주(慶州), 호는 오재(悟齋), 자는 방옹(放翁)이다. 1507년(중종 1) 10월 경주 이씨 국당공파(菊堂公派)의 파조(派祖)인 월성군 이천의 8대손이다. 동몽교관, 강릉참봉, 직장, 평시서령, 사직서령 등의 벼슬을 지냈다. 낙향 후 은거 생활을 하고. 슬하에 세 아들 이정함, 이정암, 이정형을 두었다. 1584년(선조 17) 8월에 죽었으며 세 아들이 공신의 반열에 오름에 따라 그에 힘입어 사후에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묘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선유동에 있다. --------------------------------------------------------------------------------------------------..

이태화 시장(李泰和 諡狀) - 백사공파

작성일 : 2007. 04. 23 ■이태화「李泰和,1694년(숙종 20) ~ 1767년(영조 43)」 [문과] 숙종(肅宗) 37년(1711) 신묘(辛卯)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1위(11/36)/합격연령 : 18세 [문과시험 답안] 부(賦):언행군자소이동천지(言行君子所以動天地) [전력] 통덕랑(通德郞) [관직] 공조판서(工曹判書) [가족사항] ◈부(父) : 이몽려(李夢呂) ◈생부(生父) : 이몽필(李夢畢) ◈조부(祖父) : 이정(李禎)/文科及第 ◈증조부(曾祖父) : 이제한(李齊漢)/生員 ◈외조부(外祖父) : 박경원(朴慶遠) /본관 : 함양(咸陽) ◈처부 1(妻父) : 윤학해(尹學海) ◈처부(妻父) 2 : 홍만기(洪萬紀)/文科及第/본관 : 豊山 ◈안항(鴈行) : 生家兄>李泰始/文科及第. 조선후기 옥구..

이한교 묘지명(李漢喬 墓誌銘) - 백사공파

작성일 : 2007. 07. 22 ■ 이한교(李漢喬, 1759년(영조 35) ~ 1808년(순조 8) [문과] 정조(正祖) 14년(1790) 경술(庚戌)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1위(11/47) [생원] 정조(正祖) 7년(1783) 계묘(癸卯) 증광시(增廣試) [생원] 2등(二等) 9위(14/100) ------------------------------------------------------------------------------------------------------- [가족사항] ◈부(父) : 이명집(李命集) ◈조부(祖父) : 이종한(李宗翰) ◈증조부(曾祖父) : 이동좌(李東佐) ◈외조부(外祖父) : 남범수(南凡秀) /본관 : 의령(宜寧) ◈처부(妻父) : ◈거주지(居住地) : 포천..

展力副尉李公漢柱墓表

작성일 2013. 06. 27 展力副尉李公墓表 - 정간(鄭榦) (전력부위이공묘표)/생졸년 : 14??~15?? 副尉李公諱漢柱。慶州人。羅祖佐命功臣謁平。其鼻祖也。爾後簪組。譜不絶書。麗末有諱巨裕。官禮儀判書。是生諱元茂。保勝郞將。是生諱云敬。我朝司宰監僉正。是生諱修備。廵衛中郞將。是生諱龜山。禦侮將軍。寔公考也。妣淑人李氏。縣監孟儉女也。公先配林氏無後。再娶昌寧曺氏繼亮之女。生一男曰乙奎。壯元試。承文院校理。校理生五男。長曰弘儉。次曰弘淨萬戶。次曰弘愨察訪。次曰弘魯,弘淳。公墓在府北北軍某向之原。曺氏祔焉。噫世代夐邈。家乘失傳。生卒之年。猶未之詳。况其它乎。雖然在子而校理公。以道義文章。見推於大賢而著名於明時。又其五孫俱有後。迄于今綿延不替。其義方之敎。休慶之積。亦可追想於百載之下云爾。 명고집 > 鳴臯先生文集卷之八> 墓表

상주목사 이광좌 청덕선정비

작성일 : 2009. 11. 06 牧使李侯光佐淸德善政碑 政幷龔黃 丁亥八月 日 - 건립위치 : 공성면 거창리 693-1 - 건립년대 : 1707년 8월 - 규 격 : 117×46 × 14㎝ - 재질형태 : 화강석, 민갓머리 - 목사 이광좌(牧使 李光佐) 상주목사 재임기간은 1705(숙종 31)~1706(숙종 32)이며, 본관은 경주(慶州). 자(字)는 상보(尙輔), 호는 운곡 (雲谷)으로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의 현손(玄孫)으로 아버지는 장령 세구(掌令 世龜), 1694년(숙종 20) 별시문과에 장원급제하였다. 벼슬은 외직으로 상주목사, 전라도, 평안도,함경도관찰사를 역임하였으며, 동지사로 중국을 다녀왔고. 여러 벼슬 을 거쳐 1723년 우의정(右議政), 1725년 영의정(領議政)이 되었으며, 분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