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 2038

後松 李廷孝 墓碣銘[幷序]

이정효「李廷孝1832(순조 32) ~1917년」 後松李公墓碣銘 幷序 ~ 회당 장석영 吾友李中業。嘗爲李後松諱廷孝。字舜擧。狀其行夫也。非 使人諛人墓者。可銘也。按其狀。公狀貌豊隆。聲如洪鍾。自 幼。聰明强記。無疾遽色。又未嘗有怠惰。容門外優人來戲 雷喧也。獨閉門讀書。若不知也者。甫十二三通四子三經。 遂以詞賦名於世。事親順其志。非遊學赴擧。未嘗離親側。 自外還得一味。必懷而進。細述所經耳自。恐其欲知。兄弟 同居三十年。聯枕共卓人無間。言宗族敦其睦。孤窮無歸 者。皆收置而資其食。朋友接。以信無戲謔之言。久而敬之。 自壬午國變。無意於世。遂廢擧業敎授生徒。成就者甚衆。 性慷慨。身居草莽。不忘畎畝之忠。甲午以後。義兵雲興。而 自歎其年老氣衰不得倂驅。每於風淸月朗之夕。散步庭 除誦武侯出師表、張中丞傳後敍。至鞠躬盡瘁死。而後已 南八男兒。不可不義屈。輒哽咽不成聲。聞閔忠正及諸節 死拍..

덕계처사 이준성 묘표(德溪處士李俊成墓表 )

이준성「李俊成 1570(선조 8) ~ 1633(인조 11)」 德溪處士月城李公墓表 정재 류치명(定齋 柳致明) 찬(撰) 靑鳧山水窈而深。往往有畸人逸士。生老死於其中。若故處士德溪李公其一也。公諱俊成。字秀卿。月城人。濟州牧諱從允。於公爲五世。曾祖迪。安陵參奉。祖璉。軍資奉事。考陽春。贈右尹。妣貞夫人順興安氏。參奉輈女。公生宣廟庚午。卒仁祖癸酉。享年六十四。幼性質實。及長。儼然爲修謹士。厚於宗黨。篤於親故。周事纖悉。鄕有事大小。公摠其凡。鮮有所失。留意善俗。與同里趙主簿遵道,申河陰楫諸公。講信修睦。立契券。爲吉凶費。晩而喜花塲水石。或攜朋命侶。或竆源獨往。翛然有苕霅間想。卒。葬芝峴嚮明原。娶延日鄭氏。光胤女。判決事禮槩孫。生三男。亨遠都事,亨遇,亨運。一女適朴沃。都事男昌緖,昌允,昌業。亨遇以昌允後。亨運男昌禧,昌祚同樞,昌翼,昌祐,昌翰。朴二男。宗栻,宗杓。曾玄以下。不盡錄。..

이종성 간찰(李宗城 簡札) - 백사 5世孫

작성일 : 2008. 10. 23(목) 영의정 오천 이종성 간찰(領議政梧川李宗城簡札) 크기 : 45(가로) x 34센티(세로) ■ 30世 이종성(李宗城) [생졸년] 1692년(숙종 18)∼1759년(영조 35). [문과] 영조(英祖) 3년 (1727) 정미(丁未)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6위 [생원진사시] 숙종(肅宗) 37년 (1711) 신묘(辛卯) 식년시(式年試) 1등(一等) 2위 ------------------------------------------------------------------------------------------------------------------------------------------- 조선시대 영조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字)는 자고(子固)..

이제현 ‘익재난고’

작성일 : 2018. 06. 13 고전의 향연 이제현 ‘익재난고’ 한반도를 둘러싼 강대국들의 힘겨루기에 대한민국은 위태 위태 하다. ‘한반도의 봄’에도 어떤 변수가 발생할지 모른다. 이런 때일수록 강대국들을 이용하는 노련한 외교관이 필요하다. 고려 후기 문신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 1287(충렬왕 13)∼1367(공민왕 16)」 선생이라면 어떻게 하셨을까? □ 나를 돌아보니 ▲이제현 선생 유상(遺像). 《익재난고》 앞부분에 판각되어 있다. 초상화가 오래 보존되지 못할까 걱정되어 문집을 만들 때 새로 새겨 넣었다는 기록이 부기되어 있다. 홀로 공부하여 고루하였으니 도를 들은 것이 자연 늦었도다. 불행은 모두 자신이 만든 것 어찌 스스로 반성하지 않으랴. 백성에게 무슨 덕을 베풀었다고 네 번이나 재상이..

이종욱 묘갈명 병서 - 판전공파

이종욱「李宗郁 1553년(명종 8) ~ 1623(인조 1)」 訓鍊院主簿和軒李公墓碣銘幷序 小訥 盧相稷 撰(소눌 노상직 찬) 公諱宗郁字希文。和軒號也。李氏慶州大家。高麗判事 (康+羽) 之後也。主簿桂蕃始家宜寧。是爲公五世祖也。曾祖興堣縣監, 祖禮弼主簿, 禰宥左承旨。妣金海裵氏。參議冕之女。嘉靖癸丑二月十一日公生。幼有至性。親有命不敢違。纔上學不離長者之側。潛心課讀。旣冠從堂兄芝峰先生登南冥曺先生之門。聞直內方外之要。壬辰擧義勤王。有捍禦之勞。拜訓鍊主簿錄宣武原從勳。難定歸守江湖。築正洞江亭水廻精舍。又有洗心巖戀君臺之鐫。本縣文廟毁於燹。議鄕人曰國家中興。當以敎化爲首務。醵金以起廟宇。及永昌獄起。益杜門自守。架蓄經史屢千卷。以資觀翫。引後進而振發之。嘗與寒岡鄭先生相會於德川。討經義微奧。鄭桐溪, 成浮査, 趙澗松, 李雪壑, 田默軒諸公或相與推重。或賦詩酬酢。天啓癸亥十月..

贈 司憲府掌令 李柱萬 墓碣銘 幷序

이주만「李柱萬 1669년(현종 10) ~ 1732년(영조 8)」 贈 司憲府 掌令 李君 墓碣銘 幷序 (증사헌부 장령 이군 묘갈명 병서) 회헌 조관빈 찬(晦軒 趙觀彬 撰) 생졸년 : 1691년(숙종 17)~1757년(영조 33) 松京故都也。山川人物之蕭索久矣。乃有能飭行好義。稱於鄕聞於朝。而至蒙褒贈之典者。曰李君柱萬。字義敬是已。按其狀。李貫慶州。新羅平章事諱謁平。其始祖也。諱龍變。諱鳳。曾祖及祖也。考諱承健。贈左承旨。妣結城張氏。學生孝源之女。君以顯宗己酉九月十七日丁未生。生有美質。孝友根於性。妣久患危證。君方弱齡。能嘗藥。夜則爇香禱天。得延數年。人謂之孝感。居前後喪。血泣幾廢。視兄有疾。君迎館于家。而救視之。三年如一日。常與季同居一室。有長枕大被之樂。視諸姪。無間己子。需婚嫁而不違時。資産業而無失所。羣從之同閈者。幾三十餘家。而無異言。和氣可掬。兄之子。早孤..

매산공 이인혁 이야기

글 : 영암 망호리 이송재(1645~1703) 지난 을축년「乙丑年,1685(숙종 11)」 봄에 나는 우리 경주이씨 대동보(1684년의 甲子譜) 추보(追補)시 기존에 잘못된 부분을 바로 잡기 위해 서울로 올라가[전남 영암에서 서울로] 잠시 머물러 있었는데 여러 선비들이 우리 종친중에서 매산처사(梅山 處士) 이인혁「李寅爀,1634년(인조 12)∼1710년(숙종 36)」이란 분이계시는데 이분으로 말할것 같으면 중국(中國)의 남송(南宋·420~479)시대 황숙도「黃叔度: 황헌(黃憲)의 字」나 당(唐) 나라 때의 원자지「元紫芝: 元德秀의 字,696~754)」와 비길만한 아주 청렴한 분이라며 나에게 일러 주었다. 그래서 나는 시간을 내어 매산공을 찾아 뵙고 인사를 드렸으며 우리는 서로를 마주보며 이리도 늦게 만나게..

慶州李氏 月城君派 家狀, 行狀, 墓碣銘 集成

■ 慶州李氏 月城君派 家狀, 行狀, 墓碣銘 集成 (경주이씨 월성군파 가장, 행장, 묘갈명 집성) ◈21世 月城君 李之秀 / 金紫光祿大夫 月城君 祭壇碑銘 ◈25世 大司憲公 李繩直 / 先祖考嘉善大夫大司憲府君家狀 ◈26世 琴湖公 李時敏 / 先府君家狀 ◈26世 琴湖公 李時敏 / 成均生員琴湖公墓碣銘 ◈26世 琴湖公 李時敏 / 李宗準遺墟碑 ◈27世 訥齋公 李弘準 / 月城李氏家訓 ◈27世 訥齋公 李弘準 / 書自製墓銘後 ◈27世 訥齋公 李弘準 / 自製碑文 ◈27世 訥齋公 李弘準 / 通訓大夫行樂安郡守南公墓碣文 ◈27世 訥齋公 李弘準 / 墓碣陰記 ◈27世 訥齋公 李弘準 / 行狀 ◈27世 慵齋公 李宗準 / 琴軍威墓碣 ◈27世 慵慵齋公 李宗準 / 墓碣銘 ◈27世 慵齋公 李宗準 / 墓誌文 ◈27世 慵齋公 李宗準 / 行狀 ◈27..

이지 대박자 묘갈명 병서(李址 大朴子墓碣銘 幷序)

[인물소개] 이지「李址 1628(인조 6)~1688(숙종 14) 조선중기 때의 학자 이지(李址)의 호(號)는 대박자(大朴子) 또는 벽사(碧沙), 휘(諱)는 지(址)이고. 21世 월성군(月城君) 지수(之秀)의 후손이다. 우애가 극진하고 효행이 지극하였으며, 학문이 깊어 사림으로부터 추앙을 받았다. 용재공 종준의 형인 충순위공(忠順衛公) 이숭준(李崇準)의 5대손으로. 아버지 약곡(藥谷) 이재현(李再炫)의 서자(庶子)로 태어났다. 아버지 약곡(藥谷) 께서는 공이 성가(成家) 하였을 때, 돌아 가셨는데 이에 가사를 맡아 어린 적제(嫡第: 정실의 아우) 달시(達時)를 잘 길러 아버지 후사를 잇게 했다. 이때 공은 부모의 재산을 장부에 기록해서 창고에 넣어두고 장례(葬禮)와 제사(祭祀)는 달시(達時)가 주관하도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