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 2038

경복궁 신무문 편액 유필과 고성 현령 선정비 소개 글

경복궁 신무문 편액 고성현령 선정비 ‘경복궁 신무문 편액 유필’과 ‘고성현령 선정비 소개 글’ 오늘날 경복궁의 신무문(神武門)을 밖으로 나가면 바로 청와대(靑瓦臺)가 마주 보입니다. 신무문은 1433년(세종 15)에 건립되고 이름은 조선전기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서거정(徐居正)이 작명한 건축물인데,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경복궁이 전소되면서 사라졌다가 1865년(고종 2) 대원군 이하응(李昰應)의 경복궁 중건과 함께 다시 세워졌습니다. 이곳은 원래 경복궁의 후원으로 왕 또는 문관들이모여 글을 지으며, 연회를 하였던 융문당(隆文堂)과 그리고 무과 과거시험의 활쏘기경연, 군사들의 교체훈련 및 사열 때, 사용하였던 융무당(隆武堂)을 비롯하여 옥련정(玉蓮亭) 등의 건물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경농..

공조판서 이현직 시장(工曹判書李顯稷諡狀)

■ 工曹判書李公顯稷諡狀 [생몰년] 1797년(정조 21)∼1876(고종 13) 許傳 撰 公諱顯稷字伯衡。李氏慶州之世。始祖諱謁平。沙梁部大人。翊戴羅祖。肇基王業。爲三韓大匡佐命功臣。自是爲東方著姓。有若三韓功臣諱金書。左司諫諱周復。俱新羅名臣也。有若左僕射諱翮。政承文僖公諱世基。平章事月城府院君文孝公菊堂諱蒨。三重大匡月城君諱敬中。俱高麗名臣也。至諱廷俌。仕我朝爲京畿觀察使。入淸白選。奕世簪組。六傳至諱廷馨吏曹參判副提學世子副賓客。壬辰宣武一等勳。號知退堂。潛心性理之學。所著書甚多。東閣雜記,黃兔記事行于世。是爲公八世祖也。子潚察訪。子慶相。仁祖丁丑。以侍講院文學。陪從昭顯世子及鳳林,麟坪兩大君于瀋陽。八年而歸。孝廟宴勑使于別舘。副勑鄭命壽甚倨傲。公嚴辭叱之。時人比之李石灘。號默庵。曾祖諱鐽。素有鞱略。歷敭捆鉞。官至副摠管。祖諱溥萬。始以二子貴贈嘉義。後以公貴。又贈吏判。考諱..

이학영(李鶴榮)

■ 이학영(李鶴榮) □초명 : 이학주(李鶴周) □자(字) : 윤명(允鳴) □생졸년 : 1824(순조 24)~미상 □시대 : 조선 후기 □본관 : 경주(慶州)/국당공 후 문정공파 □활동분야 : 관리 [과거] 음관 : 무보(武譜) 1824년(순조 24)~미상. 조선 말기 관리. 자는 윤명(允鳴)이고, 본명은 이학주(李鶴周)이다. 본관은 경주(慶州)이고, 거주지는 한양이다. 감역(監役) 이숙(李潚)의 후손으로, 고조는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이달(李鐽)이고, 증조부는 이부만(李溥萬)이며, 조부는 훈련원정(訓鍊院正) 이격(李格)이다. 양부는 이현대(李顯大)이고, 양모는 권철(權喆)의 딸이다. 생부 판서(判書) 이현직(李顯稷)과 생모 진사 정홍사(鄭鴻師)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두 명을 두었는데, 첫째 ..

이학영(李鶴榮)

■ 이학영(李鶴榮) [인물요약] □처명 : 이학주(李鶴周) □생몰년 : 1824(순조 24)∼미상 □본 관 : 경주(慶州) □자 : 윤명(允鳴) □시 대 : 조선 후기 □성 격 : 무신 [과거내용] □음관 : 문음진신보(文蔭縉紳譜) 무보(武譜)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이현대(李顯大) [생부(生父)] 성명 : 이현직(李顯稷) 관직 : 어장(御將/御營廳의 從二品) 판서(判書) [조부/養家] 성명 : 이격(李格) 관직 : 훈정(訓正) [조부/生家] 성명 : 이역(李棫) [증조부/養家] 성명 : 이부만(李溥萬) 관직 : ○중(○中) [증조부/生家] 성명 : 이호만(李浩萬) [고조부/養家] 성명 : 이달(李鐽) 관직 : 병사(兵使:병마절도사) [5대조/養家] 성명 : 이언기(李彦基) 관직 : 현감(縣監..

이성중(李誠中)

■이성중(李誠中) 曾祖는 문하평리(文下評理) 贈 상서좌복사(尙書左僕射) 열헌(列憲)公 諱 핵이고, 祖는 비서교서(秘書校書) 봉익대부(奉翊大夫) 밀직부사(密直副使) 예문관 대제학(藝文館 大提學) 검교정승(檢校政丞) 문희(文喜) 송암(松巖)公 諱 세기(世基)이다. 先考는 추성보리공신(椎誠 輔理功臣) 삼중대광 첨의정승(三重大匡 僉議政丞) 예문관 대제학(藝文關 大提學) 문하시랑(文下侍郞) 동평장사(東平章事) 월성부원군(月城 府院君) 문효(文孝) 국당(菊堂)公 諱 천의 四男이다. 公은 高麗 충혜왕(忠惠王) 辛未1331年 태어나 字는 계저(季著) 諡號는 정순(靖順)이다 충목왕(忠穆王) 丁亥年에 금인관방(金仁琯榜)에 급제하여 한림대언(翰林代言) 호부랑중(戶部郞中) 병부령(兵部令) 상서(尙書)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

보재 이상설선생 순국 제104주기 추모식 거행 - 숭렬사

헤이그 특사 보재 이상설선생 순국 제104주기 추모식 - 진천 숭렬사 코로나 펜데믹으로 최소 인원으로 추모식을 거행 하였습니다. 일시 : 2021. 04. 22(목) 오전 11시 장소 : 숭렬사(도로명 주소 : 진천군 진천읍 이상설안길 10) 제례 : 초헌관 우동교 충북 남부 보훈 지청장 아헌관 : 이동우 경주이씨 익재공파대종회장 종헌관 : 이상래 보재 이상설선생기념사업회 이사장

이시발 신도비(李時發神道碑)

신도비(神道碑)란? 예전에 임금이나 종이품 이상 벼슬아치의 무덤 앞이나 근처 길목에 세워 죽은 사람의 행적(行跡)을 기리는 비석을 이르던 말이다. 『쌍오비각(雙梧碑閣)』 현판(懸板) 비각안에는 두 개의 신도비가 모셔져있는데 좌측의 조금 작은 비가 오촌 이대건『梧村 李大建,1550 ~1574)』 신도비이고 우측의 큰 신도비가 그의 아들 벽오 이시발『碧梧 李時發, 1569년(선조 2)∼ 1626년(인조 4)』 의 신도비입니다. 충북 유형문화재 제142호 오촌 이대건(梧村 李大建)과 벽오 이시발(碧梧 李時發)선생 부자(父子)의 신도비각을 『쌍오비각(雙梧碑閣)』이라 합니다. 부자(父子)의 호(號)에 똑같이 梧(오)자가 들어 있는 것은 두분이 살았던 청주 梧根里(오근리/지금의 장대리)와의 연고 때문 입니다. 벽오..

碧梧夫人 申氏 墓表 – 우암 송시열

■ 정경부인 고령신씨 묘표음기 – 우암 송시열 (貞敬夫人 高靈申氏 墓表) 생졸년 : 1590년(선조 23) ~ 1661년(현종 2)/壽72歲 친구 이군미(李君美: 춘전 이경휘의 자) 형제는 일찍 아버지를 여의었으나 학문(學問)에 조예(造詣)가 깊었다. 사람들은 그 어머니의 가르침이라고들 하였다. 이미 모두가 대과(大科)에 급제(及第)하여 모두 대부(大夫)가 되었다. 사람들은 그 어머니의 복(福)이라고들 말하였다. 이미 군미형제(君美兄弟)는 의(義)로서 임금을 섬기고 몸가짐을 법도(法度)에 맞게 하여 세상(世上)에서 이름난 사람이 되었다. 그러하니 사람들은 또 입을 모아 말하기를 아아! 그 어머니의 슬기로움이 이렇게 되게 하였다고 하였다. 그 슬기로움과 어리석음의 징험(徵驗)을 어떤이는 여러 사람들이 헐뜯..

이의건 묘갈음기(李以健墓碣陰記) - 미수 허목 찬

■ 감찰이군묘갈음기(監察李君墓碣陰記) / 미수 허목 찬 생졸년 : 1562년(명종 17) ~ 1633년(인조 10) 공의 휘는 이건(以健), 자는 성지(誠之), 성은 이씨(李氏),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중고(中古) 시대의 명인(名人)으로 승정원 도승지에 추증된 원(黿)의 4대손이다. 증조부 수(洙)는 군수를 지냈으며, 조부 개윤(愷胤)은 의영고 영(義盈庫令)을 지냈다. 부친 홍업(弘業)은 소경대왕(昭敬大王=선조대왕) 24년(1591)에 지평(持平)으로 있으면서 권세가에게 미움을 받아 경성도호부 판관(鏡城都護府判官)으로 좌천되었다. 이듬해 임진년(1592, 선조 25/임진왜란)에 우리나라가 큰 난리를 겪었을 때, 함경도에서는 백성들이 모두 배반을 하고 왜적의 형세가 갈수록 강해져서 두 왕자가 모두 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