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선조유적. 유물 224

이여주(李汝柱) 묘(墓)

▲개풍 신성리 이여주(李汝柱) 묘(구 지명 : 경기도 개풍군 대성면 대성리) 경기도 개풍군 대성면 대성리(현재 북한의 개성지구 개풍군 신성리)에 있는 조선시대 민묘 유적이다. 1963년 건축공사 때, 발굴되었다. 비문에 의하면 묘의 주인공은 이여주로 1643년(인조 21)에 태어났는데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연안성전투에서 큰 공을 세운 이정암의 4대손(31世)으로 무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있다가 1705년(숙종 31)에 62세로 죽었다. 이 무덤에서 출토된 유물 중 우선 옷을 만든 천의 종류를 보면 운문단(雲文緞). 대단(大緞),공단(貢緞),운문항라((雲文亢羅),고사(庫紗). 명주(明紬) 등이 있다. 이들 천은 황토색,자색,목홍색이 대다수를 차지하며, 무늬는 구름무늬가 많다. 천의 너비는 비단들을 제외하..

사류재 이정암 사우(고양시)

[생졸년] 1541년(중종 36)∼1600년(선조 33) 9월 10일./향년60歲 [문과] 명종(明宗) 16년(1561) 신유(辛酉)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19위/합격연령 : 21歲 [생원진사시] 명종(明宗) 13년(1558) 무오(戊午) 식년시(式年試) 2등(二等) 5위/합격연령 18歲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중훈(仲薰), 호는 사류재(四留齋)· 퇴우당(退憂堂)· 월당(月塘). 서울 출신. 사직서령(社稷署令) 탕(宕)의 아들이며, 이조..

이완 청덕애민선정비

앞면에 목사 이공 완 청덕 선정영세물망비라고 기록되어있다. 소재지 : 경기도 양주 관아지 이완의 송덕비는 방형 대좌에 비신을 세우고, 가첨석 형태의 개석을 올린 형태이다. 비신의 파손이 상당하다. 앞면에는 ‘목사 이공 완 청덕선정영세불망비’라고 새겼으며, 1643년(인조 21)에 세운 것이라고 한다. 이완의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징지(澄之), 호는 매죽헌(梅竹軒)이다. 아버지는 인조반정 공신 이수일(李守一)이며, 어머니는 완산이씨(完山李氏)로 이귀년(李貴年)의 딸이다. 이완(李浣)[1602~1674]은 1624년(인조 2)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아갔다. 인조반정 공신으로 군사력을 장악하고 있던 이서(李曙)의 추천으로 만포첨사(滿浦僉使)가 되었고, 1627년(인조 5) 영유현령을 거쳐 1629년..

처사 경주이공 효행비(處士慶州李公孝行碑)

경남 사천시 용현면 경주이씨의 집성촌인 용정마을 입구에 위치한 경주이씨 성춘(成春)의 효행을 기리는 비석이며 비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휘(諱)는 성춘(成春)이요, 자(字)는 사겸(士謙)으로 영조 30년 갑술년(1754) 12월 21일에 태여나 순조 30년 경인년(1830) 12월 29일 77세로 별세하였다. 부친이 질환이 있어 낮에는 의원과 약을 구하려 다니고 밤에는 목욕재계하고 기도를 드려 그 정성을 다하는데 하루 밤에는 노인이 나타나 부친의 병세를 살펴보고 환약(丸藥) 두알을 주어 이 약으로 봉진(奉進 ; 하루도 쉬지 않고 정성을 다하여 병을 돌 봄)하니 병이 완쾌되었다. 후에 노환(老患)으로 죽음에 이르자 손가락의 피를 입에 넣으므로 수일을 소생타가 돌아갔으며 명혈(名穴 ; 풍수 지리에서 땅의 ..

경주이씨세천비와 죽포대

▲경주이씨세천(慶州李氏世阡) 비 경남 함안군 마천면 의중리 마을에 있는 ‘경주이씨세천(慶州李氏世阡)’ 비는 의중리에서 지리산 둘레길의 의정표 역활을 하는 곳이다. 천(阡)이란 본래의 뜻은 밭 사이에 남북으로 난 좁은 길을 뜻하는 글자인데, 오늘 날엔 농토의 두덕길로 의역(意譯) 되기도 하고, 논밭(田地)을 가리키는 말로도 쓰인다. 천맥(阡陌)의 준말이기도 한 이 천(阡)은 千과 百의 많음을 나타내는 말도 되지만 경주이씨 논밭이란 말도 되고 경주이씨들의 세거지란 말도된다. 하지만 비문의 뜻은 경주이씨 세거지란 뜻으로 봐야한다. 그리고 이곳은 독립운동가 죽포 이규현(竹圃 李圭鉉, 1848~1935)선생의 생거지(生居地)이다. ▲죽포장구소(竹圃杖屨所). 경주이공규현(慶州李公圭玹). 갑진 삼월 일(甲辰 三月 日..

경주이씨 효열각(나주시 다시면 복암리 강암마을)

작성일 : 2012. 04. 05(목/식목일) 경주이씨 평리성암공 후 검교공 후 모산공파 휘 사목 종중 조선시대는 사상적으로 충·효·열을 가장 우위에 둔 사회였다. 고을 수령이 법보다 도덕, 즉 효사상을 우선하여 현명한 판결을 하였고 조정에서도 정윤교의 효심을 기리기 위해 정려를 내려 주었다. 효는 유교의 가족 윤리 중 최대의 덕목(德目). 가부장적 가족제도 하에서 자식의 부모에 대한 헌신과 순종하는 태도를 말한다. 공자(孔子)는 부모를 부양하는 것 이외에, 부모를 '공경'하는 것을 효의 절대적 요건이라 하였다. 『예기』(禮記)에서는, 1)항상 부모의 명령에 따르고, 2)부모에게 잘못이 있을 때는 조금씩 꾸준히 아뢰고, 3)부모가 자신에게 힘든 일을 시켜도 결코 원망하지 않는다는 세 가지 태도를 효의 요..

이경일 동래도호부사 축제혜민비[송덕비]

좌의정 이경일 초상화(서울대 박물관 소장) 사상제방(堤防)과 동래부사(東萊府使) 축제 혜민비[송덕비] 이경일『李敬一,1734년(영조 10)~1820년(순조 20)』의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원회(元會), 호는 청헌(聽軒). 이항복(李恒福)의 6대손으로, 이세장(李世章)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이문좌(李文佐)이고, 아버지는 진사 이종열(李宗說)이며, 어머니는 강석창(姜碩昌)의 딸이고, 도사 이종악(李宗岳)에게 입적[양자] 되었다. 공은 1768년(영조 44) 음덕으로 관직에 나와 온릉참봉(溫陵參奉/온릉은 조선 중종의 원비 단경 왕후 신씨의 능)·덕산현감을 지내고, 1775년 문과정시에 을과로 급제, 예조좌랑·사간원정언·홍문관부수찬· 동래부사(1787. 2∼1788. 9). 대사간·대사성·이조참의·황해도..

망호정기후(望湖亭記後) - 동강(桐江) 이송제(李松齊)

1697년 음력 2월 하순에 망호정 마을에 사시던 동강 이송제 생원께서 쓰신 글인데 제목은 "망호정기후(望湖亭記後)" 입니다. 望湖亭記後 村以亭名識其始也昔我再從大父護君公 移自廘門典居于湖上空地而名基堂曰望 湖亭三年上從者成村因以堂名以村聚村 人子弟習射後園而名其地曰射精峙及其 知命之年有志文學別講精舍而名曰望湖 齊聚陰里之人而其之講學者四十年多有 成就之人其所謂文武幷用之地也卜居三 十年公之子其壻三等科籍以供目下之欽 豈不偉栽公曰吾以望名亭者欲其成吾望 也居是村者學文則望其成材學武則望其 成其事君則望其忠事親則望其孝以至諸 般事以皆望其成矣余聞是言恐後之人徒 知其名之稱以不知其意之在故敢其所聞 之識 歲在丁丑仲春 下澣 再從孫 生員 松齊 謹記 전남 영암군 망호리 입향조인 경주인(慶州人) 이주남 선생께서, 1680년에 쓰신 "망호정기"에 대한 후기글이기..

이양호 부인 남원윤씨 열려문

[정의]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운동동에 있는 이양호(李亮浩, 1805~1823)의 부인 남원윤씨(南原尹氏)의 열행을 기리는 정려각. [건립경위] 경주이씨(慶州李氏) 문중의 효자 이양호의 부인인 남원윤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하여 1851년(철종 2)에 세운 정려각이다. [위치] 청주시내에서 25번 국도를 따라 보은 방향으로 가다 지북교차로에서 좌측의 목련공원길로 약 2㎞ 가량 가면 오른쪽에 경주이씨 국당공파 집성촌인 백운동 마을이 있는데, 마을 입구 왼쪽의 동구나무 옆에 있다. [형태] 정면 1칸, 측면 1칸으로 된 이익공 겹처마 팔작지붕의 목조기와집이다. 약 70㎝ 가량의 주춧돌 위에 둥근 기둥을 세웠는데 모로단청을 하였다. 주춧돌의 하단부는 자연석을 사각으로 다듬었고 윗부분은 팔각 고주 형태를 띠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