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도]
17世 손보(孫寶)
장령(掌令)
│
18世 길상(吉祥) + 配 : 溫陽方氏 大提學 方曙의 女
사재감승(司宰監丞)
ㅣ
19世 양오(養吾)─존오(存吾)──존중(存中)─존사(存斯)
직장공 석탄공 진사공 교감공
(直長公) (石灘公) (進士公) (校勘公)
官: 右正言
┌─────┘
20世 래(來)────채(採) *출계 존중 후(出系 存中 后)
대제학공 감찰공
(大提學公) (監察公)
[형태서지] ◈권수재 : 석탄집(石灘集) ◈판심제 : 석탄집(石灘集) ◈간 종 : 목판본 ◈간행년 : 1726년 ◈권 책 : 2권 1책 ◈행 자 : 10행 16자 ◈규 격 : 22.5 × 20.8(㎝) ◈어 미 : 上下二葉花紋魚尾 ◈소장처 :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도서번호 : 811.96-이존오-석-판 ◈총간집수 : 한국문집총간 6 |
[저자] ◈성명 : 이존오(李存吾) ◈생년 : 1341년(고려 충혜왕 복위 2) ◈졸년 : 1371년(공민왕 20) ◈자 : 순경(順卿) ◈호 : 석탄(石灘), 고산(孤山) ◈본관 : 경주(慶州) |
[행력]
왕력 | 서기 | 간지 | 연호 | 연령 | 기사 | ||
충혜왕 복위 |
2 | 1341 | 신사 | 至正 | 1 | 1 | 태어나다. |
충정왕 | 2 | 1350 | 경인 | 至正 | 10 | 10 | 十二徒에 입학하여 학업을 익히다. ○ 驪州에 있는 孤山을 유람하고 〈江漲〉 詩를 짓다. |
공민왕 | 9 | 1360 | 경자 | 至正 | 20 | 20 | 國子進士로서 新京(江華)에서 실시한 東堂文科에 급제하여 水原書記가 되다. |
공민왕 | 11 | 1362 | 임인 | 至正 | 22 | 22 | 史翰에 選補되어 정몽주ㆍ박상충ㆍ이숭인ㆍ정도전ㆍ김구용 등과 교유하며 강론하다. |
공민왕 | 12 | 1363 | 계묘 | 至正 | 23 | 23 | 果川에서 松京으로 돌아오며 〈還朝〉 시를 짓다. |
공민왕 | 13 | 1364 | 갑진 | 至正 | 24 | 24 | 監察糾正으로 옮기다. ○ 〈送李副令使浙江〉 시를 짓다. |
공민왕 | 15 | 1366 | 병오 | 至正 | 26 | 26 | 右正言이 되다. ○ 신돈의 횡포를 탄핵하여 長沙(茂長)縣監務로 폄직되다. |
공민왕 | 17 | 1368 | 무신 | 洪武 | 1 | 28 | 長沙에서 放還되어 공주 石灘에 우거하다. 이에 ‘石灘’으로 자호를 삼다. ○ 〈石灘行〉을 짓다. |
공민왕 | 20 | 1371 | 신해 | 洪武 | 4 | 31 | 5월 12일, 신돈의 用事에 대한 울화로 병이 되어 寓舍에서 졸하다. ○ 開城 大德山 樂師院 북쪽에 장사 지내다. |
조선조 | ~ | ~ | ~ | ~ | ~ | - | 判三司 大司成 鷄林君에 추증되다. |
선조 | 8 | 1572 | 을해 | 萬曆 | 3 | - | 顯義祠(부여)를 창건하다.(義烈祠로 宣額) |
선조 | 41 | 1608 | 무신 | 萬曆 | 36 | - | 忠賢祠(茂長)를 창건하다. |
광해군 | 4 | 1612 | 임자 | 萬曆 | 40 | - | 孔巖書院(공주)을 창건하다.(忠賢書院으로 命額) |
숙종 | 3 | 1677 | 정사 | 康熙 | 16 | - | 驪州에 祠宇를 창건하다.(孤山書院으로 賜額) |
경종 | 1 | 1721 | 신축 | 康熙 | 60 | - | 肅宗이 지은 〈先生忠節贊〉이 「列聖御製」에 포함되어 간행되다. |
영조 | 2 | 1726 | 병오 | 雍正 | 4 | - | 10세손 李裕慶이 유고를 수집편차하여 蔚珍에서 문집을 초간하다.(李裕慶의 跋) |
영조 | 10 | 1734 | 갑인 | 雍正 | 12 | - | 〈補遺〉 1편을 追刻하여 문집을 중간하다.(11세손 李行敏의 跋) |
[편찬및간행]
저자의 시문은 사후에 모두 산실되어 임란이후로는 가문에서조차 척자(隻字=한자, 한쪽)의 유고도 전해지지 못하였다. 이에 10세손 이유경(李裕慶)이 수려(守廬)하는 여가에 널리 문헌을 조사하여 저자의 시문을 모아 「유고(遺藁)」를 편차하였다.
또한 저자의 년보(年譜)를 지어 붙이고, 제인(諸人)의 칭술(稱述) 중에서 긴요한 사실을 뽑아 부록(附錄)을 엮었다. 이때 호남 독우(督郵)인 당질(堂姪) 이행민(李行敏)에게 주어 간행하도록 하였으나 마침 울진(蔚珍)으로 자리를 옮기게 되어 곧 바로 간행에는 이르지 못하였고, 1726년 울진(蔚珍) 임소(任所)에서 당제(堂弟) 이행철(李行喆)ㆍ이행백(李行百)의 도움을 받아 목판으로 간행하였다.《초간본》
그러나 이 초간본은 부록이 소략하였으므로 1734년(영조 10) 이행민(李行敏)이 고성현감(固城縣監)으로 부임하여 〈보유(補遺)〉 1편을 증보하여 추각후쇄(追刻後刷)하였다. 현재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과 간송(澗松)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본서의 저본은 1734년에 간행된 추각후쇄본으로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장본이다. 다만 범례(凡例)와 어제찬(御製贊)의 경우는 초간시의 구범례(舊凡例)와 어제찬(御製贊)이 함께 합편(合編)되어 중복되었으므로 제외하였고, 〈방목(榜目)〉과 〈고산서원사액제문(孤山書院賜額祭文)〉은 착간이 인정되므로 부록목록(附錄目錄)에 따라 순차(順次)를 바로잡았으며, 낙장(落張)된 간기(刊記)는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장서각장본(D3B-1322)에서 보완(補完)하였다.
[구성과내용]
본 문집은 上ㆍ下 2권 1책으로 되어 있으며 상권에는 저자의 유고(遺藁), 하권에는 〈부록(附錄)〉 및 〈부록보유(附錄補遺)〉가 실려 있다. 권수에는 숙종(肅宗)이 지은 〈충절찬(忠節贊)〉, 범례(凡例)ㆍ세계(世系)ㆍ년보「年譜-10세손 이유경 찬(李裕慶 撰)」가 실려 있다. 범례(凡例)에서는 본집(本集)의 체제와 편집방향을 밝혔고, 세계(世系)는 목차에만 편차되었을 뿐 내용은 실려 있지 않다.
상권은 저자의 유고(遺藁)로서 11題(12수)의 시와 1편의 상소문이 실려 있다.
시는 10세에 여주(驪州)를 유람하며 지은 〈강창(江漲)〉시를 제외하고는 모두 「동문선(東文選)」에 실려 있다.
시체별로는 칠언율시 2제, 칠언절구 7제와, 28세 시에 장사(長沙)에서 방환(放還)된 후 공주 석탄(石灘)에 우거하며 지은 〈석탄행(石灘行)〉 1제이다. 상소는 공민왕 15년 전내(殿內)에 설치한 문수회(文殊會)에서의 신돈의 불경(不敬)을 탄핵하는 내용의 〈논신돈소(論辛旽疏)〉이다.
그리고 상권 끝에는 숙종대왕어제찬(肅宗大王御製贊)과 재간(再刊) 시에 개정된 범례(凡例)가 실려 있으나, 어제찬과 초간 시의 범례는 중복 되었으므로 제외하였다. 하권인 〈부록(附錄)〉에는 고선서원(孤山書院)에 소장되어 있던 저자의 전기(傳記)인 〈이장사전(李長沙傳)〉과 「여사제강(麗史提綱)」에서 뽑은 관계 기록 및 제인(諸人)이 칭술(稱述)한 시, 그리고 〈방목(榜目)〉ㆍ〈사액제문(賜額祭文)〉이 실려 있다.
방목(榜目)은 공민왕 9년 강화에서 동당급제(東堂及第)시의 것이며, 〈사액제문(賜額祭文)〉은 1708년 숙종이 고산서원(孤山書院)에 내린 제문이다. 〈부록보유(附錄補遺)〉는 본집이 초간되고 나서 8년 뒤인 1734년에 후손 이행민(李行敏)이 고성현감(固城縣監) 시에 보유(補遺)한 것으로서 이이(李珥)가 지은 〈현의사기(顯義祠記)〉와 〈의열사사액행이(義烈祠賜額行移)〉, 그리고 1679년 조석주(趙錫周)가 지은 〈고산사상량문(孤山祠上樑文)〉이 실려 있다.
권미에는 1726년 초간 시에 10세손 이유경(李裕慶)이 쓴 후기(後記)와 11세손 이행민(李行敏)의 발문(跋文), 그리고 1734년 추각(追刻)하여 간행할 때에 쓴 이행민(李行敏)의 부식(附識)이 첨부되어 있다.
이어 ‘병오지동울진개간(丙午之冬蔚珍開刊)’이란 초간시의 간기(刊記)가 함께 실려 있다.
'■ 경주이씨 > 선조문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헌집(雲軒集) - 李光翼 著 (0) | 2011.12.27 |
---|---|
죽헌집(竹軒集)-이구징(李耉徵) 著 (0) | 2011.12.22 |
松窩先生文集 - 22世 李從允 著/국당공 후 (0) | 2011.12.18 |
경주이씨금석록(慶州李氏金石錄) (0) | 2011.11.16 |
야은서사(野隱書舍) (0) | 2011.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