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물/고려시대 인물 37

안축(安軸)

안축(安軸) [생몰년] 1287년(충렬왕 13) - 1348년(충목왕 4) [고려문과] 충선왕(忠宣王) 5년(1313) 계축(癸丑) 충선왕 5년 계축방(癸丑榜)/합격연령 27歲 -------------------------------------------------------------------------------------------------------------- 고려말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당지(當之), 호는 근재(謹齋). 아버지는 석(碩)이다. 고향 순흥의 죽계(竹溪: 지금의 豊基)에서 세력기반을 가지고 중앙에 진출한 신흥유학자층의 한 사람으로, 탁월한 재질로 학문에 힘써서 글을 잘하였다. 문과에 급제하여 금주사록(金州司錄)·사헌규정(司憲糾正)·단양부주부(丹陽府注簿)를 지내고,..

류순(柳珣)/청백리

●류순(柳珣) 1335(충숙왕 4)~1398(태조 7)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시호 정평(靖平). 문과에 급제한 뒤 감찰어사(監察御史-고려의 從六品))가 되고, 우사의대부(右司議大夫-고려의 正四品)) · 경상도 안렴사(按廉使) ·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 · 밀직부사 등 내료직을 맡아 공민왕의 측근에서 일하였다. 1389년(공양왕 1) 예문관대제학이 되고, 양광도도관찰사로 재직 중 1392년 조선 개국으로 유배되었다가, 다시 등용되어 완산부윤 ·정당문학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使)에 이르러 원종공신이 되었다. 1395년(태조 4) 조선개국에 따른 고명(誥命:왕의 즉위 승인문서)과 인신(印信)을 청하기 위해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명나라에 갔다가 표전문(表箋文)에 무례한 문자가 있다는 이유로 억류당..

삼불망 - 신간소개

■책소개 우종철의 역사소설. 내우외환에 시달리던 고려왕조와 백성을 구하는데 일생을 바친 구국의 정치가, 익재 이재현. 그는 입성 책동[부원배들이 고려를 원나라의 일개 성(省)으로 하려는 음모]을 붓 한 자루로 막았으며, 네 차례나 수상을 역임하면서 반원운동을 성공시켜 100년 가까운 '원 간섭기'를 종식시키고 고려의 자주성을 회복시킨 민족의 위인이다. 고려 사직을 구한 불멸의 명신, 이재현을 소설로 담아냈다 ● 목차 1 서설(序說) 2 몽골에 놀아 난 충렬·충선왕 부자 3 네 소년의 결의 4 어린 신동(神童)의 첫사랑 5 죽음을 불사한 지부상소(持斧上疏) 6 평생의 지존(至尊)을 만나다 7 연경의 만권당(萬卷堂)에서 7년을 보내다 8 대륙을 여행하며 중국을 배우다 9 미래를 위한 발탁, 34세의 지공거(..

고려 제31대 공민왕

■ 공민왕 [생몰년] 1330년(충숙왕 17)∼1374년(공민왕 23). 고려 제31대왕. 재위기간 1351년∼1374년. 본관은 개성(開城). 이름은 전(顓), 초명은 기(祺), 몽고식 이름은 빠이앤티무르(伯顔帖木兒), 호는 이재(怡齋)·익당(益堂). 충숙왕과 명덕태후 홍씨(明德太后洪氏) 사이의 둘째 아들이다. 비(妃)는 원나라 위왕(魏王)의 딸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이며, 그밖에 혜비이씨(惠妃李氏)· 익비한씨(益妃韓氏)·정비안씨(定妃安氏)·신비염씨(愼妃廉氏)가 있다. 일찍이 강릉대군(江陵大君)에 봉하여졌으며, 1341년 원나라에 가서 숙위(宿衛)하였으며, 1344년(충목왕 즉위)에 강릉부원대군(江陵府院大君)에 봉하여졌다. 1349년 원나라에서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를 비로 맞이한 2년 뒤, 원..

이종학(李鍾學)

■ 이종학(李鍾學) ◇1361년(공민왕 10)∼1392년(태조 1) ◇ 고려문과 : 우왕(禑王) 2년(1376) 병진(丙辰) 우왕 2년 병진방(丙辰榜) ------------------------------------------------------------------------------------------------------------------------------------ 고려의 문신으로. 본관은 한산(韓山). 자(字)는 중문(仲文), 호(號)는 인재(麟齋). 이곡(李穀)의 손자이며, 이색(李穡)의 둘째 아들이다. 1374년(공민왕 23) 성균시에 합격하고, 1376년(우왕 2) 문과에 동진사(同進士)로 급제하여 장흥고사(長興庫使)에 제수되었다. 그뒤 관직이 밀직사지신사(密直司知申事)에 이..

조간(趙簡) - 고려후기 문신

■ 조간(趙簡) [고려문과] 충렬왕(忠烈王) 5년(1279) 기묘(己卯) 충렬왕 5년 기묘방(己卯榜) 고려 후기인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김제(金堤). 1279년(충렬왕 5)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서적점녹사(書籍店錄事)에 보임되었고, 이듬해 왕이 문신들에게 시부(詩賦)를 시험할 때 또 수석을 차지하였으므로 황패(黃牌)를 받고 내시(內侍)에 소속되었다. 1288년에 국학직강(國學直講)으로 왕명에 의하여 새로운 악곡을 작곡하기도 하였다. 벼슬이 점차 올라 보궐(補闕)이 되었을때 아버지의 상을 당하여 3년간 시묘하자, 왕이 이를 가상하게 여겨 기거주(起居注)로 특진시켰고, 다시 첨의사인(僉議舍人)으로서 경상안렴사(慶尙按廉使)에 보임되었다. 1298년에는 좌사의(左司議)로 과거를..

민족의 자존심, 이제현

이제현「李齊賢 : 1287(충렬왕 13)~1367(공민왕 16)」은 천품이 후덕하고 진중했으며 또한 학문이 깊고 넓어 그의 이론과 벌이는 일은 무엇이든 다 볼만한 것이 있었다. 원(元)의 부마국(駙馬國), 고려(高麗)고려 말 강대해진 원(元)의 내정 간섭으로 고려는 25대 충렬왕(忠烈王 : (1236~1308) 부터 반드시 왕의 시호(諡號)에 충(忠) 자를 붙여야 했다. 이후 고려는 25대 충렬왕(忠烈王)→충선왕(忠宣王 : 1275~1325)→충숙왕(忠肅王 : 1294~1339)→충혜왕(忠惠王 : 1315~1344)→충목왕(忠穆王 : 1337~1348)→제 30대 충정왕(忠定王 : 1337~1352)까지 굴욕의 역사는 계속되었다. 그 기간 고려는 태자(太子)가 원(元)의 연경(燕京 : 오늘날의 베이징)에..

문공유(文公裕)/고려 의종때의 문신이며 필예가(筆藝家)

■ 문공유(文公裕) [생졸년] 미상∼1159년(의종 13). [고려문과] 예종(睿宗) 7년(1112) 임진(壬辰) 예종 7년 임진방(睿宗 七年 壬辰榜) ------------------------------------------------------------------------------------------------------------------------------------- 고려인종 때의 문신으로, 본관은 남평(南平). 개명(改名)은 고수(顧壽), 자는 항적(亢迪)으로,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익(翼)의 아들이고 공인(公仁)· 공원(公元)과 조계종대선사(曹溪宗大禪師) 가관(可觀)의 동생이며, 김국진(金國珍)·민수(閔脩)·김원석(金元碩)·김장(金璋)은 매제이다. 한안인(韓安仁)의 사위로 극겸(..

고려왕기(∥)

↑고려 제20대왕 신종(紳宗, 1144~1204) ■ 신종(紳宗) 고려 제20대왕 신종(紳宗 : 재위 1197~1204)의 휘(諱)는 탁(晫), 초명(初名)은 민(旼), 자는 지화(至華), 시호는 정효(靖孝), 인종과 공예태후 임씨(恭睿太后 任氏)의 다섯째 아들이자 의종과 명종의 막내 동생이다. 1154년(의종 8) 평량후(平凉侯)에 책봉되었다가 최충헌(崔忠獻)형제가 명종을 폐하고 왕으로 추대하여 대관전(大觀殿)에서 즉위하였으며, 1198년, 산천비보도감(山川裨補都監)을 두었고 관서(關西) 민가의 안대(安碓)를 금지하였다. 같은 해 만적의 난이 일어난 것을 비롯하여 이듬해에는 명주(강릉)와 동경(경주), 뒤이어 진주와 전주, 합주(합천) 등지에서 민란이 계속 일어났다. 1199년에 최충헌이 문무관의 인사..

고려왕기(ㅣ)

↑고려 태조 왕건(高麗 太祖王建 877년~943년) ■ 태조 왕건(太祖王建) 고려 제1대 태조왕(재위 918~943)의 성은 왕(王), 휘(諱)는 건(建), 자는 약천(若天), 시호는 신성(紳聖), 본관은 개성(開城)으로, 금성태수(金城太守) 융(隆)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위숙왕후(威肅王后) 한씨(韓氏), 895년(진성여왕 9) 아버지를 따라 궁예(弓裔)의 휘하에 들어가 898년(효공왕 2) 정기대감(精騎大監)이 되고 900년 광주(廣州). 충주(忠州)등을 공취하여 그 공으로 아찬(阿粲)의 벼슬을 받았다. 903년에는 궁예의 영토를 확장하여 알찬(閼粲)에 승진되고 계속하여 전라도. 경상도 지방에서 견훤(甄萱)의 군사를 진압 하였다. 913년 시중(侍中)이 되었고 918년 세력이 강대해짐에 따라 난폭한 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