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재 이제현 21

한·중 수교 20년 - 사대주의 산맥을 넘어 ② 익재 이제현

‘팍스 몽골리카’시대, 그의 시는 고려를 지키려는 절규였다. [중앙일보]입력 2012.09.29 00:46 / 수정 2012.09.29 00:46 한·중 수교 20년 - 사대주의 산맥을 넘어 ② 익재 이제현 ▲중국 삼국시대 유비와 제갈량이 넘나들었던 험준한 관문인 쓰촨성 검문각(劍門閣). 여기서 당 수도가 있던 장안(지금은 시안)으로 이어지는 길이 ‘촉도’다.절벽에 구멍을 내 나무를 박은뒤 그 위에 길을 낸잔도(棧道)가 곳곳에 남아 있다. 이제현이 충선왕의 명령을 따라 오간 길이다. 지금이야 비행기를 타고 베이징(북경·北京)에 가는 데 한 시간 남짓이 걸릴 뿐이다. 그러나 육로를 따라 개성에서 베이징으로 1600여㎞의 길을 가야 했던 고려와 조선 때는 무려 50일 정도 걸렸다. 길의 험난함을 별도로 계산..

원나라 수도에 세운 만권당은 고려 자주를 위한 외교사령탑.

원나라 수도에 세운 만권당은 고려 자주를 위한 외교사령탑 [중앙일보] 입력 2012.09.15 00:14 / 수정 2012.09.15 00:34 한·중 수교 20년 - 사대주의 산맥을 넘어 ① 고려 충선왕 ↑700여 년 전 고려 26대 충선왕은 원나라 수도 연경(지금의 베이징)에 만권당을 세워 놓고 쓰러져 가는 고려를 살리기 위한 힘겨운 외교 노력을 기울였다. 당시 만권당이 있 었던 자리로 추정되는 베이징 위위 안탄(玉淵潭) 공원의 전경. 사대(事大)의 겉뜻은 ‘큰 나라 섬김’이지만 그 속내는 작은 나라가 큰 나라와 행하는 외교적 교섭이다. 한반도는 주변 열강의 틈바구니에 있다. 따라서 사대는 역사 속의 우리에게 늘 따르는 외교적 형식일 수도 있었다. 중국과의 수교 20주년 특집으로 그 사대의 고달픔 속..

고려 연대표

고려 연대표 연대 왕 조 내 용 918년 태조 왕건 즉위 이름은 왕건(王建). 신라 궁예의 부하로, 부하에게 옹립되어 송도에 도읍을 정하고 왕위에 오름. 935년 신라와 후백제를 멸망시키고 삼국을 통일함 건국, 연호는 천수(天授)로 정함. 919년 도읍을 철원(鐵原)에서 송악(松嶽)으로 옮김. 920년 신라가 고려로 사신을 보냄. 922년 명주[강릉]의 명주장군(溟州將軍) 김순식(金順式) 고려에 투항 925년 후백제신라20여성을 점령/발해의 신덕(申德)장군 등 500여명 고려에 투항 함. 927년 최치원 고려필경 저술. 견훤(甄萱) 금성에 침입 경순왕을 옹립 930년 울릉도 고려에 곡물 바침 931년 태조 왕건 신라의 금성 방문. 932년 후백제의 주사(舟師-수군) 예성강 부근 공격. 후당에 사신 보냄...

이 익재(李益齋) - 이덕무(李德懋)

청장관전서 제34권>청비록 3(淸脾錄三) - 이덕무(李德懋) 著 ■ 이 익재(李 益齋) [생졸년] 1287년(충렬왕 13) 12월 24일[庚辰]∼1367년(공민왕 16) 7월 9일(癸卯日) [고려문과] 충렬왕(忠烈王) 27년(1301) 신축(辛丑) 신축방(辛丑榜) 병과(丙科) 1위(4/33) [고려사마] 충렬왕(忠烈王) 27년(1301) 신축(辛丑) 진사시(進士試) 1등(一等) 2위(2/77) ------------------------------------------------------------------------------------------------------------ 시문학(詩文學)의 대가(大家)로는 언제나 읍취헌『挹翠軒, 박은(朴誾)의 호』을 추앙(推仰)하여 시가(詩家)의 종주로 삼고..

곡령(鵠嶺)에 올라 - 익재 이제현 詩

곡령(鵠嶺)에 올라/詩 -익재 이제현(益齋 李齊賢) 목구멍에는 연기가 피고 땀은 물 흐르듯 / 煙生渴咽汗如流。 열 걸음 걷자면 여덟 아홉 번 쉬게 되네 / 十步眞成八九休。 뒤에서 오는 자 앞 지름을 괴이하게 여기지 말라 / 莫怪後來當面過。 천천히 가도 결국 꼭대기 까지 이를 거야 / 徐行終亦到山頭。 ◇곡령(鵠嶺)은 개성(開城)에 있는 송악산(松嶽山)의 이칭(異稱)이다. 자료 : 익재집 : 익재난고 제1권 > 시(詩) ↑멀리 보이는 산이 개성 송악산이다.

홍익(弘益)과 경세(經世)의 실용적 비서실장 이제현 <2>

홍익(弘益)과 경세(經世)의 실용적 비서실장 이제현 1.가요를 통해 백성과 소통의 통로 마련 몽고 통치 당시 식민지배 감시자였던 다루가치들의 횡포는 극심했다. 다루가치(達魯花赤)는 원나라가 고려의 내정을 간섭하기 위해 설치한 민정사찰 담당자였다. 특히 그의 정보원들의 약탈이 더 심했다. 이는 마치 일제 식민통치시대 고등계 형사의 조선 끄나풀이의 악행이 더 심했던 것과 너무나 흡사했다. 그들은 같은 고려 민초의 피를 팔아 원나라 다루가치에게 충성을 보이며 자신의 지위와 재물도 확보했다. 이런 암울한 상황에서도 이제현은 절대 꿈을 잃지 않고 새로운 비전을 만들어 고려를 자주적 독립국가로 만들고자 임금과 함께 무단히도 애를 썼다. 그는 현실의 문제점을 회피하지 않고, 그대로 정책에 반영하여 이를 성공시킴으로써..

■ 기타/칼 럼 2010.02.25

익재 이제현의 사회개혁 <1>

■ 성학목민(聖學牧民)으로 부국부민(富國富民)을 추구 역사가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를 빨리 깨우치지 않거나, 역사의 준엄한 심판을 교훈으로 배우는 데 실패한 국가나 민족은 역사가 절대 가지 말라고 저어하는 그 어두운 질곡의 터널을 계속 반복할 수밖에 없는 한심한 운명에 처하고 만다. 「맹자(孟子)의 인정(仁政)은 반드시 경계(經界)로부터 시작된다.」 한국의 정신문명과 문화의식에 찬란한 창조성과 실용성을 동시에 흐르게 한 을 스스로 박잡(駁雜)한 글로 ‘열매 없는 피' 같은 잡물이라며 ‘인간적 겸손'을 피력한 영원한 고려의 충신이자 지식창조자였던 익재 이제현은 몽고 지배에서 무너져 가던 고려를 혁신하고자 정치와 학문을 실재적으로 융합했다. 그래서 그는 정주학(程朱學)을 기초로 한 ‘제왕학'을 써서 자신의 주..

■ 기타/칼 럼 2010.02.25

칠석(七夕)

■ 칠석(七夕) 익재 이 제 현 끊임없이 바라보아도 만나기가 어렵더니/脈脈相望邂逅難 하늘이 오늘 저녁 한 차례 모이도록 하는구나/天敎此夕一團欒 오작교 밑의 넓은 물 한스러운데/鵲橋已恨秋波遠 원앙금침 위에 밤 어이 견딜까/鴛枕那堪夜漏殘 인간 세상에도 모이면 흩어지지 않을 수 없는데/人世可能無聚散 신선 역시 슬픔과 기쁨 있다네/神仙也自有悲歡 오히려 낫구나 후예(后羿)의 아내가 불사약 훔쳐먹다가/猶勝羿婦偸靈藥 광한궁에서 외롭게 사는 것보다/萬古覊棲守廣寒 [주] 오히려……것보다 : 후예(后羿)는 고대의 활을 잘 쏜 사람이며, 광한궁(廣寒宮)은 달 나라에 있다는 궁전.《淮南子》 覽冥訓에 "후예가 서왕모(西王母)에게 불사약을 구했는데, 후예의 아내인 항아(姮娥)가 훔쳐 가지고 월궁(月宮)으로 달아났다." 하였으므로..

金山寺(益齋 李齊賢)

■ 금산사(金山寺) 익재 이제현(益齋 李齊賢) 舊聞兜率莊嚴勝 (구문도솔 장엄 승) 도솔암 장엄하고 빼어난 경관에 대해 일찍이 들었지만 今見蓬萊氣像閒(금 견 봉래 기상한) 봉래산의 한가한 기상을 오늘에야 구경한다. 千步回廊延漲海(천보회랑 연창해) 천보나 되는 회랑은 넘실거리는 바다로 이어졌고 百層飛閣擁浮山(백층비각 옹 부산) 백 층의 나는 듯 한 누각 산에 안겨 떠있더라. 忘機露宿鐘聲裏(망기로 숙종성리) 세상 잊은 백로는 종소리에 잠들고 聽法龍蟠塔影間(청 법용 반 탑 영간) 법문 듣는 용은 탑 그림자 사이에 서렸더라. 雄跨軒前漁唱晩(웅과 헌 전 어창만) 난간에 걸터앉아 느저막히 어부가를 부르는데 練波如掃月如彎(연파여소월여만) 파도는 쓸어낸 듯 고요하고 달은 활처럼 굽었더라. ○도솔(兜 率) : 욕계(欲界)..

고풍(古風)

■ 고풍(古風) 익재 이제현(益齋 李齊賢 :1287∼1367) 公子遠行役 / 멀리 여행 떠나는 공자 鞍馬光翕혁 / 안장이랑 말이랑 윤나기도 하여라. 憔悴玉樓女 / 시름에 여윈 옥루 위의 여자 忍淚不敎滴 / 눈물짓지 않으려 애써 참네. 念之不可忘 / 생각을 잊을 길 없어 奮飛無羽翼 / 푸드덕 날아 따라가려도 날개가 없네. 寒鍾鳴苦遲 / 차가운 쇠북 소리는 더디기도 하여라. 何時東方白 / 동방은 언제나 밝아 오려나. 三冬天地閉 / 겨울이 깊어 천지가 얼어붙으니 龍蛇蟄幽宮 / 용과 뱀은 깊이 묻혀 잠을 자네 世道多反覆 / 세상길은 번복도 많구나. 君子有固窮 / 군자는 곤궁을 참고 견딜 뿐 虛窓列遠岫 / 빈 창 앞엔 먼 멧부리 늘어섰고 白雲度晴空 / 흰 구름은 개인 하늘을 지난다. 從嗔不迎客 / 욕하건 말건 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