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발 25

허 난설헌 묘(許蘭雪軒墓)

■ 허난설헌 묘 경기 기념물 제90호 소재지 : 경기 광주시 초월읍 지월리. ↑안동김씨 서운관정공파((書雲觀正公派) 광주선영지 묘역 및 허난설헌지묘 입구 표석이다 ↑이장하기 이전의 허 난설헌의 묘지 모습이다/(2002. 8. 29. 영환(문) 제공) 1985년 중부고속도로 건설로인하여 부득히 현위치에서 좌측으로 약 500m 지점인 안동김씨 선산으로 이장하게 되었다. ↑허난설헌 묘(許蘭雪軒 墓)의 측경(側景) ↑허난설헌 묘(許蘭雪軒 墓) ↑건너 중부고속도로가 보인다. 허난설헌의 묘는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지월리의 중부고속도로 옆 경수산 기슭에 있다. 처음 그녀의 묘는 지금의 위치에서 약 500m 우측에 있었으나 1985년 중부고속도로를 건설하면서 현 위치인 안동김씨 선산으로 이장하게 되었다. 그녀의 묘소 ..

벽오 이시발 선생의 초평 낙향 설

■ 벽오 이시발(碧梧 李時發)선생의 초평(草坪) 낙향설(落鄕設) 1592년(宣祖25年)에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난 때였다. 왜군(倭軍)이 아국(我國)의 방방곡곡(坊坊曲哭)에서 전승(戰勝)의 기세(氣勢)가 유난( 蹂躝)이 심(甚)하여지자 대가(大駕)는 의주(義州)로 파천(播遷)하였으며 끝내는 명(明)나라에 청병(請兵)하였다. 이때 이여송(李如松)이 6만대군을 거느리고 래원(來援)하였다. 명나라에서는 전쟁(戰爭)을 할때 반듯이 지사(地師)를 데리고 와서 지리(地理:산천의 형국을 5행에 부치어 길흉을 살피는것)를 살피게 한 후(後) 진지(陣地)를 구축(構築)하였다. 이때 따라온 지사(地師)가 두사충(杜師忠)이다. 이여송(李如松) 장군(將軍)이 여기서 진(陳)을 치면 어떻냐고 두지사에게 물었다. 두지사는 무..

칭찬과 비난

■ 칭찬과 비난 지은이 : 이시발[李時發, 1569(선조 2) - 1626(인조 4)] 나의 문하에 장생(張 生)이란 자가 있는데 하루는 두려운 듯이 와서 말하기를“”저는 스스로 몸가짐을 언제나 조심 하였고 사람들을 대할 때에도 싫어하는 짓은 한 적이 없었으므로 마을에서 모두 훌륭하다고 칭찬하곤 하였습니다. 그런데 갑(甲)이란 자만은 유독 날 헐뜯고 미워하기를 마지않으니 제가 감히 그에게 원망하는 마음을 갖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 하기에 내가 말하였다. “” 내가 자네에게 말해줄 것이 있으니 앉게나. 자네는 어찌하여 그 사람을 원망 하는가? 그는 자네를 헐뜯는 것이 아니라 바로 칭찬하는 것이요. 자네를 미워하는 것이 아니라 사랑하는 것일세. 자네 스스로 보기에 자네가 몸가짐에 있어서 그 도리를 다하..

남이 나를 헐뜯을때와 칭찬할때.

[해설] 이글은 지금으로부터 약 400년 전 조선시대의 문신 이시발 선생(李時發 先生)의 문집(文集)벽오유고(碧梧遺考)에 남긴 글로서 우리가 일생을 살아가면서 아무리 조심해도 듣게 되는 타인의 험담이나 비난들을 어떻게 받아 들여야 하고 대처해야 되는지를 잘 나타내는 가르침으로 오늘날 우리들은 주변의 비난에 너무 지나치게 예민하고 칭찬에 또한 우쭐대는 현대인들에게 귀담아 들어야 하는 이야기로 소개 하고자 한다. ------------------------------------------------------------------------------------------------------------------------------------------------------ 남이 나를 헐뜯을 때와 칭찬할..

이대건(李大建)/익재공파

■ 이대건(李大建) [생졸년] 1550년(명종 5)~1574년(선조 7) / 향년 24세 [생원진사시] 선조(宣祖) 6년(1573) 계유(癸酉) 식년시(式年試) 2등(二等) 7위 ---------------------------------------------------------------------------------------------- 공(公)의 휘(諱)는 대건(大建)이요. 자(字)는 여립(汝立), 본관은 경주(慶州)로 아버지 증(贈) 이조판서(吏曺判書) 휘 경윤(憬胤)과 어머니 원주이씨 (原州李氏) 병절교위(秉節校尉) 휘 은(垠)의 따님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1550년(명종 5년) 제천서 탄생 하였다. 1568년(선조 1) 증광향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유중영(柳仲郢)이 한 고을의 선비들을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