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물/조선시대 인물 244

김홍익(金弘翼) - 병자호란 순절인

■ 김홍익(金弘翼) [생졸년] 1581(선조 14)∼1636(인조 14). 병자호란 시 전사 ● 요약정보 [시 대] 조선중기 [본 관] 경주(慶州) [자(字)] 익지(翼之) [호(號)] 묵재(默齋) [시호(諡號)] 충민(忠愍) [연령] 56歲 [활동분야] 문신/관료. 학자. [과거 및 취재] [생원시] 계축(癸丑) 1613년(광해 5) 증광시(增廣試) 생원(生員) 3등(三等)합격(12위) -------------------------------------------------------------------------------------------------------------------- 1581년(선조 14)-1636년(인조 14).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자(字)는 익지..

최석정(1646 ~ 1715)

■ 최석정(崔錫鼎) [생몰년] 1646년(인조 24)-1715년(숙종 41) [시대] 조선 [별칭] 최석만(崔錫萬) [분야] 문신/관료 >문신-조선후기 >문신, 학자 1646년(인조 24)∼1715년(숙종 41).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초명은 석만(錫萬). 자는 여시(汝時)· 여화(汝和), 호는 존와(存窩)· 명곡(明谷) 이다. 1.가계 및 유년시절 영의정 완성부원군(完城府院君) 명길(鳴吉)의 손자로, 한성좌윤 완릉군(完陵君) 후량(後亮)의 아들 이며, 응교 후상(後尙)에게 입양되었다. 9세에 이미 《시경》과 《서경》을 암송하였고, 12세에 《주역》을 도해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러서 신동으로 인정받았다. 남구만(南九萬)· 이경억(李慶億)의 문인이고, 박세채(朴世采)와 종유(從遊..

점필재 김종직선생 영정

■ 김종직(金宗直) [생졸년] 1431년(세종 13) ~ 1492년(성종 23)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로 자(字)는계온(季溫). 효관(孝盥). 호는 점필재(佔畢齋). 시호는 문충(文忠). 본관은 선산(善山 또는 一善)이다. 아버지는 성균관사예(成均館司藝-正四品) 숙자(叔滋)이고 어머니는 밀양 박 씨로 사재감정(司宰監正-正三品) 홍신(弘信)의 딸이다. 외가(外家)인 밀양(慶南 密陽)에서 태어났다. 1453년(단종 1)에 진사(進士)가 되고, 1459년(세조 5)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하여, 이듬해 사가독서를 했으며 정자(正字). 교리(校理). 감찰(監察). 경상도병마사사(慶尙道兵馬詞事)등을 역임 한후, 경연관(經筵官)이 되었고, 이어서 도승지(都承旨). 이조참판(吏曹參判). 한성부윤(漢城府尹)등을 두루 거..

병자년 등에 전사한 사람의 성명과 사연을 일일이 조사보고하라는계.

*원본2718책/탈 초본128책 ■ 병자년 등에 전사한 사람의 성명과 사연을 일일이 조사하여 들인다는 홍문관의 계. ◈홍문관이 아뢰기를. “병자년ㆍ정묘년에 전사한 사람들을 홍문관으로 하여금 조사하여 들이게 하라고 명하셨습니다. 삼가 성상의 하교대로 《병자록(丙子錄)》 및 《존주휘편(尊周彙編)》의 배신전(陪臣傳) 등 책을 조사하였습니다. 검천(儉川) 싸움에서 공주(公州)의 영장 최진립(崔震立)은 몸에 수십 군데 상처를 입으면서도 한 치도 물러서지 않고 싸우다가 죽었는데, 정무(貞武)라는 시호를 내렸습니다. 연산현감(連山縣監) 김홍익(金弘翼)은 직접 수십 명을 찔렀으나 칼이 부러지는 바람에 화살에 맞아 죽고 말았는데, 이조판서를 추증하고 충민(忠愍)이라는 시호를 내렸습니다. 연산의 관노(官奴) 장사정(張士貞..

구충당 이의립 - 경주이씨 교감공파

우리나라 제철산업 부흥 선구자 ■ 30世 이의립(李義立) /경주이씨 교감공파 [생졸년] 1621년(광해군 13) ~ 1694년(숙종 20) 공의 자(字)는 예겸(禮兼), 호(號)는 구충당(求忠堂) 성(性)은 경주 이씨(慶州李氏)로, 1621년(광해군 13) 5월 18일 당시의 경주부 전읍리(오늘날 울주군 두서면 전읍리)에서 이영부(李榮富)의 아들로 태어났다. 우리나라의 유황 광맥과 비철(砒鐵) 광맥을 최초로 찾아내 제련기술을 정립한 사람이다. 선생의 문집인 구충당집(求忠堂集)에 의하면 공(公)은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화약과 수철(水鐵)을 발굴하기위하여 1646년(효종 24) 가야산(伽倻山), 금강산(金剛山)에 올라 광맥(鑛脈)을 찾았으나 실패했다. 백두산(白頭山), 구월산(九月山), 묘향산(妙香..

정탁(鄭琢)

■약포 정탁(藥圃 鄭琢) 약포 정탁은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과 함께 이황(李滉)의 제자로 임진왜란을 전후하여 정승의 자리에서 경국제세(經國濟世)의 높은 솜씨를 발휘한 대학자이자 명재상이었다. 정탁의 향리 예천군 예천읍 고평동과 류성룡의 고향 안동군 풍천면 하회동간의 거리는 30리다. 동향 혹은 동문으로서 친분관계는 잘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창황망조(蒼黃罔措)한 임란을 당하여 지혜를 기울이고 대의를 세워서 안으로는 국정의 위난을 수습하고 밖으로는 의적의 총칼을 물리치는 위업을 세운 점에서 가히 쌍벽이라 할 수 있다. 1592년 왜군들이 파죽지세로 한반도를 침공하자 선조와 조정대신들은 국도를 등지고 개성을 거쳐 평양으로, 평양에서, 영변으로 피난 갔다. 여기서 분조(分朝))가 결정되어 선조는 의주로,..

병자호란 순절인(丙子胡亂 殉節人)

[조선왕조실록] 인조 34권, 15년(1637 정축 / 명 숭정(崇禎) 10년) 5월 26일(계사) 1번째기사 비국의 건의로 좌영장 최진립 등에게 표창하게 하다. 비국이 아뢰기를, ❝정세규가 (鄭世規)가 험천(險川)에서 전투를 치룰 때 좌영장 최진립(崔震立), 우영장 심일민(沈逸民), 별장 황박(黃珀), 중군 이건(李楗), 참모관 이경선(李慶善), 방량차사원(放粮差使員) 이상재(李尙載), 군기차사원 김홍익(金弘翼), 심약(審藥) 이시량(李時亮)을 대동하고 갔는데, 심일민은 힘껏 싸우다 화살에 맞아 죽을 뻔하여 벗어났고, 최진립 이하는 모두 진중에서 죽었습니다. 해조에게 표창하고 증직하게 하고 심일민은 관직을 상으로 주게 하소서.❞ 하니, 상이 따랐다. [태백산사고본] 34책 34권 60장 B면 [영인본]..

최진립(崔震立)

■최진립(崔震) [생졸년] 1568년(선조 1) ~ 1636년(인조 14) 경주 최씨는 26파로 나뉘며, 그중 사성공파(최눌)의 손자 정무공 최진립장군은 아래와 같은 공을 세웠다. 사성공 최눌은 조선초기의 청백리이다. 동학창시자 최제우 또한 최진립 장군의 후손이며, 경주 교동의 최부자 또한 최진립 장군의 후손이다. 이 글을 쓰는 나 또한 최진립 장군의 14대 손이며..경주 내남에는 새각당이라는 최진립 장군을 모시는 사당이 있다. 사당 입구 문 아래에 최진립 장군의 보검이 묻혀있다는 전설이 있어, 몇 해전 방송국에서도 오고 한참을 파내려 갔으나 전설의 보검은 발견되지 않아 아쉬웠다.^^ 교동 최부자의 집은 원효대사와 신라 29대 무열왕의 첫째딸인 요석공주가 살던 터인 요석궁이 있던 터이다. 시대 : 조선시..

구국의 지도자 서애 류성룡(西厓 柳成龍)

[역사의 땅, 사상의 고향](27)구국 지도자 서애(西厓) 류성룡 上 ■퇴계 제자로‘ 화합과 조정’의 명수 서애 유성룡(柳成龍:1542~1607)은 선조 40년인 1607년 5월 6일 66세를 일기로 눈을 감았다. 그래서 지난해인 2007년은 서애가 세상을 떠난 400주년으로 대대적인 기념과 추모행사가 열렸었다. 1542년인 중종 37년 10월1일, 서애는 외가인 당시의 의성현 사촌리에서 태어났다. 본래의 고향은 당시는 풍산현, 지금은 안동시 풍산면 서쪽에 자리한 하외라는 마을이었다. 이제는 ‘하회(河回)’로 바뀌어 세상에서 유명한 곳이 바로 서애의 고향이었다. 굽이굽이 흐르는 낙동강, 그 강이 돌면서 만들어진 마을이 서애의 고향이어서 강물이 돌아가는 하회(河回)가 되었고, 마을에서 강 건너 서쪽 절벽의..

조선조 역대 영의정

■ 조선조 역대 영의정(164명) 왕조(王朝) 성명(姓名) 본관(本貫) 生沒年 아호(雅號) 시호(諡號) 태조(太祖) 배극렴(裵克廉) 성주(星州) 1325-1392 필암(筆菴) 정절(貞節) 정도전(鄭道傳) 봉화(奉化) 1342-1398 삼봉(三峰) 문헌(文獻) 정종(定宗) - - - - - 태종(太宗) 권중화(權仲和) 안동(安東) 1322-1408 여천(呂泉) 문절(文節) 이 서(李 舒) 홍주(洪州) 1332-1410 당옹(戇翁) 문간(文簡) 성석린(成石璘) 창녕(昌寧) 1338-1423 독곡(獨谷) 문경(文景) 조 준(趙 浚) 평양(平陽) 1346-1405 우재(吁齋) 문충(文忠) 이 화(李 和) 전주(全州) 1340-1408 이요정(二樂亭) 양소(襄昭) 하 륜(河 崙) 진주(晉州) 1347-1416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