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물/조선시대 인물 244

권철(權轍) - 권율장군의 아버지

■ 영의정 권철(權轍) 생졸년 : 1503년(연산군 9)~1578년(선조 11) 조선전기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으로, 본관(本貫)은 안동(安東)이고, 아버지는 강화부사(江華府使) 권적(權勣)이고, 어머니는 충좌위부사과(衝坐衛副司果) 안탁(安濯)의 딸이다. 조부는 양근군수(楊根郡守) 권교(權僑)이다. 권철(權轍)은 중종(中宗) 29年(1534) 32세(歲)의 나이로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문관(藝文館)의 한림(翰林)으로 뽑혀 벼슬을 시작(始作) 하였다. 이때의 한림(翰林)은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의 별칭(別稱)인데 이들은 항상(恒常) 왕(王)의 측근(側近)에서 사실(史實)을 기록(記錄)하고 왕명(王命)을 대필(代筆)하는 등(等), 권좌(權座)의 최근거리(最近距里)에서 왕(王)의 일거수..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 - 한산인(韓山人)

작성일 : 2011. 04. 06 ■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 ◇1711년(숙종 37)∼1781년(정조 5). ◇[문과] 영조(英祖) 11년(1735) 을묘(乙卯)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28위 ----------------------------------------------------------------------------------------------------------------------------------------------------------------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경문(景文), 호는 대산(大山). 아버지는 태화(泰和)이며, 어머니는 재령이씨(載寧李氏)로 현일(玄逸)의 손녀이며 재(栽)의 딸이다. 안동 일직현에서 출생하였다. 14세에 외..

이빈(李彬)

작성일 : 2010 .03. 21 ■ 이빈(李彬) [시대] 고려 말 [생년] 미상 [본관] 다시 고증 요함 [졸년] 1410년(태종 10) [경력] 회군공신,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 원종공신(原從功臣), 경기우도관찰출척사(京畿右道觀察黜陟使), 사평부좌사(司平府左使), 형조 및 호조판서(1409)를 지냈 다. ------------------------------------------------------------------------------------------------------------------------------------------- 고려 말 조선 초의 무관으로. 본관은 미상(未祥)이다. 1388년(우왕 14) 동북면 부원수로서 요동 정벌(遼東征伐)에서 이성계(李成桂) 등과 위화..

심집(沈諿 )

1569년(선조 2)~1644년(인조 22) 때의 조선의 문신이다. 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자순(子順), 호는 남애(南崖). 승문원판교 심달원(沈達源)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선공감첨정(繕工監僉正) 심자(沈鎡)이고, 아버지는 목사(牧使) 심우정(沈友正)이다. 어머니는 광주 안씨(廣州安氏)로 안여경(安汝敬)의 딸이다. 1596년(선조 29)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에 보직되고, 예문관에 들어가 검열(檢閱)·대교(待敎) 등을 역임하면서 사정(邪正: 옳고 그름)을 논했으나 아버지의 상을 당해 한때 은거하였다. 1601년에 예문관검열로 복관되어 여러 요직을 역임하고 수원판관이 되었는데, 당시 간관이었던 정홍익(鄭弘翼)과 함께 무고를 받은 성혼(成渾)을 변론하다가 옹진현령으로 좌천되었다. 1605년 ..

박필성(朴弼成) - 조선 제17대왕 효종의 사위

■ 박필성(朴弼成) [자(字)] 자는 사홍(士弘), [호(號) 설송재(雪松齋). [생년] 1652년(효종 3) [졸년] 1747년(연조 23) 壽96歲 [본관] 반남(潘南 : 지금의 전라남도 나주) [아버지] 도정(都正) 박태장(朴泰長) ---------------------------------------------------------------------------------------------------------------------------------------------------------------- 조선후기 사은사, 주청사, 영릉도위 등을 역임한 문신으로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사홍(士弘), 호는 설송재(雪松齋). 아버지는 도정(都正) 박태장(朴泰長)이다. 공(公)은 효종의 사위..

조선시대 무관 시호 일람표

작성일 : 2007. 05. 07 ■ 조선시대 무관 시호 일람표 (朝鮮時代 武官 諡號 一覽表) 충무(忠武 9명) 李舜臣(이순신), 金時敏(김시민), 南怡(남이), 李守一(이수일), 金應河(김응하), 鄭忠信(정충신), 李浚(이준), 趙英茂(조영무),具仁垕(구인후) 충장(忠壯 32명) 金德齡(김덕령), 閔栐(민영), 具恒(구항), 南延年(남연년), 南以興(남이흥), 宋德榮(송덕영), 申砬(신립), 朴永緖(박영서), 朴榮臣(박영신), 邊應井(변응정). 魚在淵(어재연), 辛礎(신초), 安原大君(안원대군), 梁大樸(양대박), 沈岱(심대). 李光岳(이광악), 柳琳(유림), 元豪(원호), 尹慶元(윤경원), 禹尙中(우상중), 李聖符(이성부), 李福男(이복남), 李괵, 李重老(이중로), 李義培(이의배), 鄭撥(정발), ..

왕과 왕비들의 소생 자녀현황

■왕과 왕비들의 소생 자녀현황 왕호(王號) 왕(王)과 왕비(王妃) 및 왕자녀(王子女) 시조(始祖) 이한(李翰)-신라(新羅) 사공(司空), 묘(墓)는 전주(全州)에 있음 태조(太祖)의 4조(四祖) 목조[穆祖=태조(太祖)의 고조(高祖)]=명(名) 안사(安社), 덕릉(德陵) 재(在) 함흥(咸興), 비(妃) 평창이씨(平昌李氏) 안릉(安陵) 덕릉(德陵)과 동원(同原) 익조(翼祖=태조의 증조)-명 행리(行里), 지릉(智陵) 재 안변(安邊), 비(妃) 등주최씨(登州崔氏) 숙릉(淑陵) 재 문천(文川). 도조(度祖)=태조의 조), 명 춘의(椿義), 희릉(羲陵) 재 함흥, 비(妃) 문천박씨(文川朴氏) 순릉(純陵), 재 함흥. 환조(桓祖)=태조의 부), 명 자춘(子春 ), 정릉(定陵) 재 함흥, 비(妃) 영흥최씨(永興崔氏)..

겸재(謙齋) 정선(鄭敾)에 대한 고찰(考察)

■ 겸재(謙齋) 정선(鄭敾)에 대한 고찰(考察) 정선(鄭敾)은 1676(숙종 2)∼1759(영조 35). 조선후기의 화가이다. 본관은 광산(光山)이고 자는 원백(元伯)이다, 호는 겸재(謙齋)·겸초(兼艸)·난곡(蘭谷)이라고 한다. 아버지는 시익(時翊)이고, 어머니는 밀양박씨(密陽朴氏)이다. 2남 1녀 중 맏아들이고 그의 선세(先世)는 전라남도 광산·나주 지방에서 세거한 사대부 집안이었다고 한다. 그리고 얼마 후에 경기도 광주(廣州)로 옮기고, 고조부 연(演)때 서울 서쪽[西郊]으로 다시 옮겨 살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정선(鄭敾)은 13세 때, 아버지를 여의고 늙은 어머니를 모시게 되었다고 한다. 어려서부터 그림을 잘 그렸다고 하며 김창집(金昌集)의 도움으로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위수(衛率: 왕세자를 따..

정선(鄭敾)

■ 정선(鄭敾) [생졸년] 1676년(숙종 2)~1759년(영조 35)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원백(元伯), 호는 난곡(蘭谷)·겸재(謙齋). 호조참판에 추증된 시익(時翊)의 맏아들로 한성 북부 순화방(順化坊/오늘날 경기고등학교 부근)에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3대에 걸쳐 현관(顯官)을 배출하지 못해 몹시 가난했으나 성품이 온화하고 부모에게 효도했으며 남과 사귐에 결코 화난 표정을 드러내지 않는 등 점잖은 군자적 풍모를 지녔다. 어려서부터 그림을 잘 그렸기 때문에 어려운 생계를 돕기 위해 이웃에 살던 대신 김창집(金昌集)에게 청하여 그의 권고와 추천으로 도화서에 들어가 관직생활을 시작하게 되었다. 이후 세자를 보위하는 위수(衛率)를 비롯하여 한성부주부·하양현감·청하현감·훈련도감낭청·양천현령 등을 역임..

황희(黃喜)

■ 황희(黃喜) 1363년(공민왕 12)~1452년(문종 2) 때의 조선전기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수(壽) 90이다. 본관은 장수(長水). 초명은 수로(壽老). 자는 구부(懼夫), 호는 방촌(厖村). 황석부(黃石富)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황균비(黃均庇)이고, 아버지는 자헌대부 판강릉대도호부사(資憲大夫判江陵大都護府使) 황군서(黃君瑞)이며, 어머니는 김우(金祐)의 딸이다. 개성 가조리(可助里)에서 출생하였다. [생애] 1376년(우왕 2) 음보로 복안궁녹사(福安宮錄事)가 되었다. 1383년 사마시, 1385년 진사시에 각각 합격하였다. 그리고 1389년에는 문과에 급제한 뒤, 1390년(공양왕 2) 성균관학록에 제수되었다. 1392년 고려가 망하자 일정 기간 은둔생활을 하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