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물/조선시대 인물 244

서문중(徐文重) 선생 초상화/보물1898호

↑몽어정 서문중 선생 초상화(夢漁亭徐文重先生肖像畵). ↑초상화 보관 함 서문중[徐文重, 1634(인조 12)∼1709(숙종 35)]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1680년(숙종 6) 정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당상관에 올랐으며, 그 후 판서를 비롯한 여러 요직을 거쳤다. 1698년(숙종 24)에는 우의정에, 1699년(숙종 25)에는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이 되었다. 정치적으로 소론(小論)에 속했으며, 군사제도와 기근구제 등에 많은 업적을 남기는 등 족적이 선명하다. 서문중(徐文重)의 초상(肖像)과 보관 함(函)은 조선시대 시복본(時服本 : 관료들이 평상시 공무복으로 입던 옷) 전신좌상(全身坐像) 가운데 높은 예술성을 잘 보여주는 뛰어난 작품이다. 오사모(烏紗帽)에 담홍색 시복을 착용하고 허리띠인 삽은대(鈒銀..

이맥(李陌)

■ 이맥(李陌) [문과] 연산(燕山) 4년(1498) 무오(戊午) 식년시(式年試) 3등(三等) 7위(17/33) 1455(세조 1)~1528(중종 23) 때의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정부(井夫). 이강(李岡)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좌의정 이원(李原)이다. 아버지는 이지(李墀)이며, 어머니는 정보(鄭保)의 딸이다. 1474년(성종 5)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그 뒤 학문에만 힘쓰다가 1498년(연산군 4) 44세에 식년시(式年試) 병과7(丙科7)의 문과에 급제하였다. 곧 성균관전적에 제수되고,52세 1507년(중종 2) 1월 5일 경기ㆍ황해ㆍ충청도에 어사로 파견 민정을 살피고 동년 사간원 대사간에 임명되었다. 이때에 장숙용(張淑容)이 연산군의 은총을 기화로 호화주택을 짓고 축재에 ..

고한조(高漢祚)

고한조(高漢祚) 고한조(高漢祚)는 1762년(영조 38)에 태어나 기유(己酉) 1789년(정조 13) 27세에 무과(武科)에 올랐다. 그 후 1793년(정조 17) 허식(許湜)의 후임으로 정의현감(旌義縣監)으로 임명되었다가 같은 해 12월 사간원(司諫院)의 상소로 파직되었다가 1793년(정조 17) 제주도에 기근(飢饉)이 심할 때 사비(私費)를 들여 쌀 300석을 사들여 국가에 헌납한 공적으로 1795년(정조 19) 대정현감(大靜縣監)에 제수되었다. 대정현감(大靜縣監) 부임 당시 대정현(大靜縣) 성(城) 안에 서당(書堂)을 시설(始設)하여 열락제(悅樂齊)라 하고 문호(門號)는 진덕(進德)이라 이름 지었다. 또한 그의 아버지 고취선(高就善)은 명월만호(明月萬戶)와 강화부중군(江華府中軍)을 거쳐 강원도감영중..

황윤길(黃允吉)

송당 황윤길(松堂 黃允吉) 黃允吉(中宗 31年, 1536年 ~ 宣祖 25年, 1592年)의 字는 吉哉, 號는 松堂. 本貫은 長水. 黃喜의 5代孫이고, 戶曹判書 黃致身의 曾孫으로, 祖父는 황사경(黃事敬)이고, 아버지는 縣令 황징(黃懲)이며, 어머니는 한경서(韓慶瑞)의 딸 淸州韓氏이다, 夫人은 김확(金鑊)의 딸 安東金氏이다. 1561年(明宗 16年) 式年文科에 丙科로 及第, 1563年正言, 1567年 持平이 되었다. 1585年(宣祖 18年) 黃州牧使를 지내고 兵曹參判에 이르렀다. 1590年(宣祖 23年) 通信正使로 選任되어 副使 金誠一, 서장관 허성(書狀官 許筬)과 함께 隨行員等 200餘名을 거느리고 對馬島를 거쳐 大阪으로로 가서 日本의 關伯豊臣秀吉等을 만나보고 이듬해 봄에 還國하여, 國政을 詳細히 報告하였..

성씨별 강원도 관찰사 배출 현황

■ 姓氏別歷代江原道觀察使 輩出現況 번호 성 명 본관 재임순위 재임시기 생몰년 발령사항 1 姜 澂(강 징) 晋州 117代 중종01(1506) 1466~1536 江原道 觀察使 姜 昱(강 욱) 182代 명종18(1563) 1511~1574 “ 姜士弼(강사필) 196代 선조07(1574) 1526~1576 “ 姜 紳(강 신) 219代 선조26(1593) 1543~1615 “ 姜 籤(강 첨) 241代 선조39(1606) 1559~1611 “ 姜弘重(강홍중) 271代 인조11(1633) 1577~1642 江原監司 姜栢年(강백년) 300代 효종09(1658) 1603~1681 “ 姜 鎬(강 호) 311代 현종10(1669) 1605~ ? 原襄監司 姜 銑(강 선) 358代 숙종31(1705) 1645~1710 江原道 ..

홍여하(洪汝河)

■ 홍여하(洪汝河) [생졸년] 1620(광해군 12)∼1674(현종 15). [문과] 효종(孝宗) 5년(1654) 갑오(甲午)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3위(6/34) [진사시] 효종(孝宗) 5년(1654) 갑오(甲午) 식년시(式年試) [진사] 2등(二等) 18위(23/100) ------------------------------------------------------------------------------------------------------------------------ ●요약정보] [자] 도현(圖見) [호] 목재(木齋) [본관] 부계(缶溪). [거주지] 안동(安東) ●가족사항 [부] 홍호(洪鎬) [조부] 홍덕록(洪德祿) [증조부] 홍경삼(洪景參) [외조부] 고종후(高從厚)[文] ..

이석희(李錫禧)

■ 이석희(李錫禧) [생졸년] 신유(辛酉) 1681년(숙종 7) ~ 계해(癸亥) 1743년(영조 19) [문과] 영조(英祖) 11년(1735) 을묘(乙卯)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7위(10/37) [생원시] 숙종(肅宗) 36년(1710) 경인(庚寅) 증광시(增廣試) [생원] 3등(三等) 27위(57/100) --------------------------------------------------------------------------------------------------------------------------------------------------------------- 신유(辛酉) 1681년(숙종 7) ~ 계해(癸亥) 1743년(영조 19)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

조선의 천재·기인(天才·奇人)

■ 조선시대 천재·기인(天才·奇人) 1. 아홉 번 과거시험에 모두 장원급제한 한국의 천재 이율곡(李栗谷) [생졸년] 1536(중종 31)∼1584(선조 17). 한국의 역사상 현인의 경지에 근접한 인물을 꼽으라면 관점의 차이는 있겠지만 율곡 이이 선생을 꼽는데 주저하지는 않을 것이다. 율곡 선생은 9번 과거시험(생원시, 진사시, 문과 시)에 모두 장원급제 한 인물이다. 우리역사상 전무후무한 일이며 또한 예언자적 능력도 뛰어나 임진왜란을 미리 예견 하고 10만 양병 설을 주장했으며 정치, 경제, 국방 등 모든 분야에 식견이 탁월한 정치가요, 사상가이며, 교육학자였고, 철학자였다. 그의 가문은 유명한 신사임당을 어머니로 둔 뿌리 깊은 천재가문의 집안이었으며 한국판 한국정신사의 큰 산맥인 성리학의 대가로, 여..

홍유손(洪裕孫)

■ 홍유손(洪裕孫) 76세에 처음 장가들고 시화를 즐기며 99세까지 장수했다. [생졸년] 1431(세종 13)∼1529(중종 24). [진사시] 중종(中宗) 5년(1510) 경오(庚午) 식년시(式年試) [진사] 2등(二等) 16위(21/100) --------------------------------------------------------------------------------------------------------------------------------------------------------------- 본관은 남양(南陽=오늘날 수원 화성). 자는 여경(餘慶), 호는 소총(篠䕺)· 광진자(狂眞子). 가세가 청빈하였으나 경(經)·사(史)를 섭렵하고, 방달(放達)한 기질에 얽매임이 없었..

이승건(李承健) - 우봉이씨(牛峰李氏),

■ 이승건(李承健) [생졸년] 1452(문종 2)∼1502(연산군 8)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우봉(牛峰), 자는 자강(自强)이다. 주(周)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관찰사 길배(吉培)이며, 아버지는 감찰 기(圻)이며, 어머니는 지중추부사 유강(柳江)의 딸이다.1474년(성종 5) 생원시에 합격하고, 1480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권지가 되었다. 1482년 주서에 이어 중시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한 뒤 1485년 헌납이 되었다. 1486년 지평, 1487년 홍문관교리로 전주에 내려가 농상(農桑)을 살폈다. 1496년 세자시강원시강관을 역임하고 부제학·동부승지를 거쳐, 1497년 우승지·좌승지·함경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1500년 동지중추부사를 거쳐, 1501년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