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선(鄭敾)
[생졸년] 1676년(숙종 2)~1759년(영조 35)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원백(元伯), 호는 난곡(蘭谷)·겸재(謙齋). 호조참판에 추증된 시익(時翊)의 맏아들로 한성 북부 순화방(順化坊/오늘날 경기고등학교 부근)에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3대에 걸쳐 현관(顯官)을 배출하지 못해 몹시 가난했으나 성품이 온화하고 부모에게 효도했으며 남과 사귐에 결코 화난 표정을 드러내지 않는 등 점잖은 군자적 풍모를 지녔다.
어려서부터 그림을 잘 그렸기 때문에 어려운 생계를 돕기 위해 이웃에 살던 대신 김창집(金昌集)에게 청하여 그의 권고와 추천으로 도화서에 들어가 관직생활을 시작하게 되었다.
이후 세자를 보위하는 위수(衛率)를 비롯하여 한성부주부·하양현감·청하현감·훈련도감낭청·양천현령 등을 역임했다. 만년에는 첨지중추부사를 거쳐 동지중추부사에까지 올랐다.
그는 높은 화명을 통해 당대의 명류들과 교유했으며, 이병연(李秉淵)·조영석(趙榮祏)·유척기(兪拓基) 등의 노론계 인사들과는 백악산(白岳山:북악산) 밑에 이웃해 살면서 평생지기로 절친하게 지냈다. 말년까지 왕성한 창작활동을 벌였기 때문에 조선시대 화가 중 가장 많은 작품을 남기고 있다.
현재 전하는 작품들은 친자연적(親自然的) 초속의식(超俗意識)과 풍류의식에 기초한 남종화풍(南宗畵風)의 정형산수와 산수 인물 및 진경산수화가 대종을 이루는데, 특히 우리나라 산천을 소재로 그린 진경산수화에서는 현실감 넘치는 독창적인 화풍을 완성하고 성행시킴으로써 한국적 회화 발전에 불멸의 업적을 남겼다.
인왕산과 백악산 등의 바위덩이를 표현하기 위해 넓적한 붓으로 짙은 먹을 여러 번 칠하는 적묵법(積墨法)을 개발하고, 금강산의 개골암 등을 나타내기 위해 예리한 각필(角筆)의 수직준(垂直皴)을 창안했다.
그의 이러한 진경산수화풍은 실경사생의 모범이 되어 당대화가들에게 큰 공감을 불러일으키면서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들 화가는 강희언(姜熙彦)·김윤겸(金允謙)·정황(鄭榥)·장시흥(張始興)·정충엽(鄭忠燁)·김응환(金應煥)·김석신(金錫臣) 등으로 정선파라 불린다(정선파).

↑경교명승첩-독서여가 정선 작 간송미술관
'■ 인물 > 조선시대 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과 왕비들의 소생 자녀현황 (0) | 2020.10.29 |
---|---|
겸재(謙齋) 정선(鄭敾)에 대한 고찰(考察) (0) | 2020.10.13 |
황희(黃喜) (0) | 2020.10.12 |
익안대군 이방의(益安大君 李芳毅) (0) | 2020.10.12 |
채용신(蔡龍臣) (0) | 2020.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