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 886

曜日의 紀元과 由來

■ 曜日의 紀元과 由來 日. 月. 火. 水. 木. 金. 土라는 요일(曜日)은 언제부터 어떻게 만들어져 사용(使用)됐고, 우리에겐 언제 전래(傳來)되었나 에 대한 이견(異見)이 많지만, 그 기원(基源)은 고대(古代 ) 바빌로니아에서 처음 유래(由來)됐다는 설(說)이 가장 유력(有力)합니다. 당시 바빌로니아 사람들은 7일에 한 번 재액일(災厄日)이 온다고 믿었다고 전합니다. 기원전(紀元前) 7世紀傾에 메소포타미아 地域의 사람들은 每月 7일, 14일, 21일, 28일에 쉬는 주(週) 7일 制度를 施行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일은 地球가 自轉하는 時間에 따라, 1년은 地球가 太陽 둘레를 일주하는 時間으로 정해졌습니다. 그런데 7日을 1週日로 規定하는 週는 편의상 구분해놓은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週가 쓰..

독도는 우리땅이란 증거[2]

작성일 : 2013. 08. 22 독도는 서기 512년부터 우리영토라는 자료수록들입니다. 1737년 프랑스 지리학자 당빌 [조선왕국전도] 1785년 일본 고지도 1696년 일본정부 1869년 일본 메이지정부 1877년 일본 내무성 1877년 일본 태정관 1898년 대한여지도 1899년 대한전도 1900년 대한제국 칙령 1905년 일본 강제편입 1946년 연합국 독도를 한국에 반환 군령 1950년 [연합국 구일본영토처리에관한 합의서] 1950년 유엔군 한국방공식별구역

대마도(對馬島)의 시초

작성일 : 2013. 08. 22 대마도(對馬島)의 시초 대마도에 사는 사람들을 보면 남자의 말씨나 부녀자의 복장이 우리나라를 닮은 점이 많다. 그들이 왜(倭)를 일컬을 때에는 반드시 일본(日本)이라고 하며 일본 사람들 또한 이들을 대하는 것이 자국(自國)의 내지민(內地民)들 과는 다른 점이 있고, 이 땅에 사는 백성들도 일찍이 한 번도 자신들을 왜인이라고 자처한 적이 없었다. 그리고 호공(瓠公)이 이 섬의 사람으로서 신라에 와서 벼슬한 것을 보면 이곳이 우리나라의 땅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삼국사기(三國史記)》의 신라본기(新羅本紀) 실성왕(實聖王) 무신년(408) 조를 보면 왜인들이 대마도에 군영(軍營)을 두었다고 기록하고 있는데, 만약 이곳이 본래 왜인에게 소속된 땅이었다고 한다면 군영을 두었다는..

우리나라 역대 대통령 재임기간

우리나라 역대 대통령 재임기간 대(代) 대통령 성명 생졸년 재임기간 본관 초대 이승만 (李承晩) 1875.04.18~ 1965.07.19 1948.07.24~ 1952.08.14 전주(全州) 2대 1952.08.15~ 1956.08.14 3대 1956.08.15~ 1960.04.24 과도내각 허 정 (許 政) 1896.04.08~ 1988.09.18 1960.04.20~ 1960.06.16 김해(金海) 〃 곽상훈 (郭尙勳) 1896.10.21~ 1980.01.19 1960.06.17~ 1960.06.22 현풍(玄風) 〃 허 정 (許 政) 1896.04.08 ~ 1988.09.18 1960.06.23~ 1960.08.11 김해(金海) 4대 윤보선 (尹潽善) 1897.08.26~ 1990.07.18 1960..

우리나라 역사 연대표

우리나라 역사 연대표 연대 국 가 구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2500 고조선(단군조선) BC 2333 ~ BC238 2000 청동기 시대 1000 500 철기 시대 400 300 200 100 북부여 BC239-BC58 BC 50 신라 BC 57~935 0 고구려 BC 37~668 신라에 멸망 백제 BC 18~660 신라에 멸망 AD 50 가락(가야) 42~532 신라에 귀순 100 200 300 400 500 600 650 700 통 일 신 라 고려에 귀순 발해 698~926 거란에 멸망 800 850 900 태봉(후고구려) 890~918 고려에 멸망 후백제 892~935 고려에 멸망 950 1000 고려 918~1392 조선에 멸망 1100 1200 1300 1400 조선 1392 ~ 1910 1500..

고조선(단군조선)/단군신화

■ 단군 신화 아득히 먼 옛날, 하늘 나라를 다스리는 환인 임금님이 여러 아들을 불러놓고 물었습니다. "너희들중에 누가 세상에 내려가 인간 세상을 다스리고 싶으냐?" 여러 아들 중에서 환웅이 나서며 말했습니다. "저는 전부터 세상 사람들에게 덕이 되고 복이 되는 하늘 나라의 뜻을 펴서, 보다 아름답고 깨끗한 세상을 만들고 싶었사옵니다. 이제라도 아버님께서 허락해 주시면 내려가 보고자 하나이다." "오, 그러하냐? 땅 위에 어느곳 사람들을 다스리고 싶으냐?" "동방에 사는 무리이옵니다. 그곳 사람들은 마음이 어질고 슬기로워 그들을 다스리면 땅 위의 으뜸이 될 것이라 여겨지옵니다." "기특한 생각이다. 그러면 네가 잘 깨우쳐서 밝고 고운 나라가 되도록 힘써 보아라." 하늘 나라의 환인 임금님은 아들 환웅의 ..

우리나라 역사 연대표[신라] |

신라(新羅, B.C.57~935, 992년간, 총 56대)~박(朴)씨 10왕, 석(昔)씨 8왕, 김(金)씨 38왕 代 왕명 재위 기간 성 약사 1 박혁거세 (朴赫居世), (BC69~AD4) BC57~ AD4 朴 13세에 왕위에 올라 나라 이름을 서라벌이라함. 왕21년에는 수도를 금성(金城)이라 하고 성을 쌓아 국가의 기초를 세움. BC27년 천일창(天日槍)이 왜(일본)땅으로 가고, 신라의 도공이 왜에 건너가서 신라식 도자기 제작. 2 남해차차웅 (南解次次雄), (미상~24) 4~24 朴 박혁거세의 맏아들. 석탈해(昔脫解, 탈해왕)를 사위로삼아 정사를 맏겼다 함. 병선 100여척으로 왜구 격퇴. 3 유리이사금 (瑠璃尼師今), (미상~57) 24~57 朴 남해왕 아들. 6부(部)의 이름을 고치고 성(姓)을 ..

우리나라 역사 연대표[고구려]

고구려(高句麗, B.C 37 ~A.D 668, 705년간, 총28대) 代 왕명 재위기간 약사 1 동명성왕 (東明聖王), B.C 58~B.C 19) B.C37~ B.C19 성은 고(高), 원래 성은 해(解). 휘는 주몽(朱蒙). 해모수의 아들 해부루와 배다른 형제라고도 한다. 동부여(동부여)의 금와의 아들 대소의 모해를 피하여 압록강 연안인 졸본천에 이르러 나라를 세우고 고구려(졸본부여)라 함. 2 유리왕 (榴璃王), 미상~18) B.C19~ A.D18 성은 해(解). 휘는 유리(榴璃). 동명성왕 아들. 왕22년에 도읍을 국내성으로 옮기고 왕33년에 한(漢)나라의 고구려현을 빼앗음. 유리명왕(榴璃明) 3 대무신왕 (大武神王), 4~44) 18~44 성은 해(解). 유리왕 셋째아들. 휘는 무휼(無恤). 동부..

우리나라 역사 연대표[백제]

백제(百濟, B.C 18~A.D660 , 678년간, 총31대) 代 왕명 재위 약사 1 온조왕 (溫祚王), (미상~28) B.C 18~ A.D 29 고구려 동명왕의 세째아들(혹은 둘째). 위례성에 나라를 정하고 나라이름을 백제라함. BC 5년에 서울을 한산(지금의 광주)으로 옮김. AD8년 마한을 병합함. 2 다루왕 (多婁王), (미상~77) 28~77 온조왕아들. 말갈족을 격퇴하고, 농사를 장려하여 백성 생활을 안정 시켰음. 37년 후한의 낙랑군을 멸망시킴. 3 기루왕 (己婁王, (미상~128) 77~128 다루왕의 맏아들. 4 개루왕 (蓋婁王), (미상~166) 128~166 기루왕의 아들. 132년에 북한상성을 쌓음 5 초고왕 (肖古王), (미상~214) 166~214 개루왕의 아들. 신라를 여러번..

우리나라 역사 연대표 [가락(가야)]

가락시대(駕洛, 42~532 , 490년간, 총10대) 代 왕명 재위 약사 1 수로왕(首露王), (42~199) 42~199 42년 알에서 낳아서 곧 즉위. 아유타국(인도의 한 국가) 공주허황옥과 결혼함 2 거등왕(居登王), (미상~253) 199~259 수로왕의 아들. 어머니는 허황옥 3 마품왕(麻品王), (미상~291) 259~291 거등왕의 아들 4 거질미왕 (居叱彌王), (미상~346) 291~346 마품왕의 아들. 5 이시품왕 (伊尸品王), (미상~407) 346~407 거질미왕의 아들 6 좌지왕(坐知王), (미상~421) 407~421 이시품왕의 아들. 금토왕(金吐王), 김질(金叱). 왕비 용녀의 사람들을 관리로 등용하여 시끄러웠다. 후에 왕비를 귀양 보내고 백성을 편안히 다스렸다. 7 취희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