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선조문집 141

송와집(松窩集) - 李從允 著

필자 소장본 ■서지(書誌) ◈도서명 : 송와집(松窩集) ◈저자(著者) : 이종윤(李從允) ◈책수(冊數) : 4권 2책 ◈간행연도 : 1964년 ◈크기 : 20.0(가로) x 30㎝(세로) ◈판종(板種 : 석판본(石版本) ◈수서각서(手書刻序) : 1964년 重陽節 眞城后人 이기호(李起鎬) 謹序 ◈소식(小識) : 16代孫 이은우(李殷雨) 경서(敬書) 송와 이종윤(松窩 李從允) 국당공 후 경북 청송 입향조 20世 월성군(月城君) 정견(廷堅)의 손자임. 이종윤「李從允, 1431(세종 13)∼1490(성종 21)」.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가정(可貞), 호는 송와(松窩). 을충(乙忠)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원길(元吉)이고, 아버지는 현감 형(衡)이며, 어머니는 안동권씨(安東權氏)로 직장 ..

모석유고(慕石遺稿)

↑필자 소장본 / 1970년대 간행본. ■ 28世 이극복(李克福) 익재공후 판윤공파/ 22世 퇴우당 휘 연의 후손임 아버지는 가선대부(嘉善大夫) 이윤(李倫)이며,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이다. 조호익(曺好益)의 문인이다 ◈자 : 유사(有司) ◈호 : 모석(慕石)/모의당(慕義堂) ◈생졸년 : 1548년(명종 3)∼1596년(선조 29)./향년 49세(歲) ◈ 관직 : 훈련첨정(訓鍊僉正) ◈활동분야 : 항일/국방/의병장 ◈참전 : 팔공산 전투(임진왜란) ------------------------------------------------------------------------------------------------------------------------------------- ■ 모석유고(慕..

호계선생실기(虎溪先生實記)

■ 호계선생실기(虎溪先生實記) ↑필자소장본/소장일자 2009. 01. 01 ◈문집 : 호계실기(虎溪實記) ◈저자 : 이을규(李乙奎)/22世 ◈표제/책임표시사항 : 虎溪先生實紀 上. 下 / 이규일(李圭馹) 편(編) ◈판 종 : 목판본(木版本). ◈발행사항 : 경주(慶州) : 사목암(思睦庵). 1930년(외정21) 刊行. ◈형태사항 : 2卷 1冊 : 四周雙逸. 半郭. 20Cm x 16cm. 10行 17字 . 註雙行. 內向2葉花紋魚尾 : 29.1Cm x 20Cm. ◈주기사항 : 서(序) : 丙午(1930).........김도화(金道和) ◈발(跋) : 丙午(1930).........이완집(李完集) 호계실기(虎溪實紀)는 16세기의 관인(官人). 학자(學者) 이을규(李乙奎)의 문집이다. 실기(實紀)의 소지(小識)를..

은계시고(隱溪詩稿)- 이명(李 榠)

■ 저자 이 명(李 榠) / 26世 ◈ 판종 : 石版本 ◈ 책수 : 1책(권1-2) ◈ 序 : 壬子(1972)...李從鎬 ◈ 跋 : 後孫 李海雨 ◈ 크기(가로*세로) : 19㎝ x 28㎝ 센티 본 저본은 고려 말 익재 이제현 선생의 후손인 은계(隱溪) 이명(李榠)의 시집이다. 이명「李榠, 1534년(중종 29, 갑오)~1601년(선조 34, 신축)」은 본관이 경주(慶州)로 시조는 이알평(李謁平)이고. 고려 말 대학자요 정치가인 익재 이제현과 조선에 들어와 대사성(大司成) 이원익(李元益) 판서(判書)를 지낸 이선(李瑄), 태상소경(太常少卿) 이지회(李之會) 등이 모두 선조들이다. 선생의 자는 중후(重厚).호는 은계(隱溪). 종부시 정(宗簿寺正)을 지낸 25世 오계(梧溪) 이인부(李仁傅/1611년광해군 3)..

귤산 이유원 노농공묵적(老農公墨蹟) 單帖

귤산 이유원 노농공묵적(老農公墨蹟) 조선말기 영의정을 지내고 봉조하가 된 이유원(李裕元) 선생의 42面 글씨첩 [노농공묵적(老農公墨蹟)] 單帖 크기 : 32 × 34cm 이유원(李裕元), 1814(순조 14)∼1888(고종 25).조선 말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경춘(京春), 호는 귤산(橘山)·묵농(默農). 이조판서 계조(啓朝)의 아들이다. 1841년(헌종 7) 정시문과에 급제, 예문관검열·규장각대교를 거쳐 1845년 동지사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와 의주부윤·함경도관찰사를 지냈다. 고종 초에 좌의정에까지 올랐으나 흥선대원군과 반목하여 1865년(고종 2)에 수원유수로 좌천되었다. 그러나 그해 말 다시 영중추부사로 전임되어 『대전회통』 편찬의 총재관이 되었다. 1873년 흥선대원군이 실각..

도동영당시고(道東影堂詩稿)

▲필자 소장본[1974년 간행본] ▲도동영당(道東影堂) 도동영당(道東影堂)은 익재 이제현선생 영정을 봉안한 곳으로 매년 음력 2월 중정일에 제향을 올린다. 소재지 : 경남 산청군 신안면 신기리이다. [도서명] 道東影堂奉影時原次詩錄 (單) (도동영당봉영시원차시록) (단) [발행인] 이종홍(李鍾弘) [간행연도] 1974년 [판본] 연활자본(鉛活字本) [크기] 19cm(가로) X 28.2cm(세로) [내용] 卷1에는 後孫 訥菴의 原韻, 여러 수의 次韻이 수록되어 있으며, 卷 2에는 後孫訥菴의 原韻二首와 여러 수의 次韻이 수록되어 있다. [도동영당] 익재 이제현선생 영정 봉안./경남 산청군 신안면 신기리.

용재 이종준선생 유고

초간 : 1824년(순조 24) 재간 : 1911년 필자 소장본 - 1911년[재간본] 간행 [판사항] 목판본(木版本)/三刊 [책의성걱] 시문집(詩文集) [저자사항] 이종준(李宗準). 이홍준(李弘準) 형제. 경주이씨 27世 월성군파(月城君派) [간행인] 후손 이도형(李道炯). 이재윤(李在胤) [발행사항] 경북 [간행연도] 1911년 [크기] 20.4cm(가로) X 28.7cm(세로) [편찬 및 간행] 저자의 문집은 후손 이창욱(李昌郁)이 흩어진 유문(遺文)을 모으고 저자의 동생 이홍준(李弘準)의 「눌재유고(訥齋遺稿)」를 부집(附集)하여 1책으로 만든 뒤, 권사협(權思浹)ㆍ이야순(李野淳)의 교정과 편차를 거쳐 1824년에 간행하였다.《초간본》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 성균관대학교 중앙도서관, 한국정신문화원..

표박기(飄泊記) - 39世 이상정(李相定)

독립운동가 이상정이 10여년 동안 쓴 글을 엮은 ‘표박기(飄泊記)’ 독립운동가 이상정이 1923년 망명 당시부터 1933년까지 10여년 동안 쓴 글을 엮은 ‘표박기(飄泊記, 떠돌아다니며 쓴 기록)이다. “이속에 타는 불 저님은 모르고” 나라 잃은 슬픔 담은 ‘망명가’ 중국 봉천행 기차 안에서 작성 타국으로 떠나는 심정 드러내 부모·고향 그리워한 ‘망향가’ 망명 초기 정착 과정서 쓴 듯 고국으로 돌아갈 날 기다리며 “날아가는 기럭아 너는 알리라” 자유로운 기러기를 부러워해 소남이일우기념사업회가 28일 영남일보에 최초로 공개한 원본자료에서는 이상정 장군의 중국 망명 때의 삶과 함께 나라를 잃은 슬픔과 독립을 향한 그의 결의를 엿볼 수 있다. 또 친아버지 이상으로 여겼던 큰아버지에 대한 존경심과 애틋한 심정이..

학남유고(鶴南遺稿) - 34世 이회경(李晦慶)

간행연대 1900년 초 /책의 크기 20.6cm(가로) x 30.7(세로) ■ 이회경(李晦慶)/34世 경주이씨 교감공 후 23世 도원공(桃源公) 이말동(李末仝)의 11대손이다. □자(字) : 서구(敍九) □호(號) : 학남(鶴南) □생년 : 1784(정조 8) □졸년 : 1866(고종 3) □수(壽) : 83세 □본관 : 경주(慶州) □활동분야 : 유학자 □저서 : 학남유고(鶴南遺稿) ----------------------------------------------------------------------------------------- 조선후기 유학자. 자는 서구(敍九)이고, 호는 학남(鶴南)이다. 본관은 경주(慶州)이고, 거주지는 경상북도 경주(慶州)이다. 호곡(壺谷) 유범휴(柳範休)에게서 학문..

덕봉집(德峰集) - 李鎭宅의 詩文集

■ 덕봉집(德峰集)-李鎭宅의 詩文集 조선시대 덕봉(德峯) 이진택[李鎭宅, 1738(영조 14)~1805(순조 5)]의 문집이다. 본집(本集)은 저자의 아들 복한(復漢)이 가장(家狀)을 지어 금파(琴坡) 이정병(李鼎秉)에게 묘갈명(墓碣銘)을 받아 유적(遺蹟)을 정리하고 저자(著者)의 증손 우영(祐榮)이 수집(蒐集)ㆍ편차(編次)한 고본(稿本)에 저자(著者)의 현손 규일(圭一)과 규승(圭升)이 부록문자(附錄文字)를 증보(增補)하여 이만도(李晩燾)의 교정(校正)을 받아 1902년 목판(木板)으로 간행(刊行)한 초간본(初刊本)이다. 본집(本集)은 원집(原集) 6권, 소회록(疏會錄) 합 3책으로 되어 있다. 권수(卷首)에 이만도가 1902년에 지은 서(序)와 총목록(總目錄)이 있다. 권1은 시(詩)이다. 권2는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