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674

남연군의 묘(南延君 墓)

남연군 묘(南延君 墓)/충남 기념물 제80호 ↑흥선대원군의 아버지요. 조선의 26대왕 고종의 조부인 남연군(南延君) 이구(李球, 1788~1836)의 묘이다. 이 묘는 대원군 이하응이 풍수지리설에 따라 2대에 걸쳐 천자가 나올 자리라는 말을 듣고 원래 경기도 연천에 있던 남연군의 묘를 이곳으로 옮긴 것이다. 이곳에는 가야사라는 절이 있었는데 절을 불태우고 탑을 부순 후 이장했으며, 이장한지 7년 후에 차남 명복이 태어났는데 그가 곧 철종의 뒤를 이어 12세에 왕위에 오른 고종이다. 그 후 1866년 독일 상인 오페르트가 남연군의 묘를 도굴하려다 실패한 일이 있었으며, 이 일로 대원군이 서양에 대한 배척을 강화하는 쇄국정책을 실시하고 천주교에 대한 탄압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묘는 높은 언덕 위에 자리..

축 " 부활 "

축 " 부활 " 부활의 아침!! 부활은 새로운 질서입니다. 부활은 죽음을 넘어서, 새로이 시작하는 생명입니다. 그래서 부활은 평화입니다. 부활은 나뉘어진 것이 다시 이어지는 것이며, 절망이 변하여 희망을 만드는 것입니다. 부활의 새로운 질서는, 마치 낮과 밤 같은 조화와 균형의 세계입니다. 밀어내고 밀리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새로운 시간입니다. 밤낮은 대립이 아닙니다. 밤낮은 변화입니다. 따라서 부활은 변화를 말합니다. 오늘 아침 새로운 시작을 합시다. 한반도에 진정한 부활의 역사가 이루어지도록 노력합시다. 그러기 위하여 우리 자신이 변화 해야합니다. 부활의 변화 말입니다. 여러분! 부활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글쓴이 : 화이부동(和而不同)/이재정

망우당 곽재우장군 신도비명

■ 망우당 곽공 신도비명 (忘憂堂 郭公 神道碑銘) 공의 휘는 재우(再祐)이고, 자는 계유(季綏)이다. 성은 곽씨(郭氏)이며, 관향은 현풍(玄風)이다. 성균관 사성 곽지번(郭之藩)의 손자요, 황해도 관찰사 곽월(郭越)의 아들이다. 모친은 진양 강씨(晉陽姜氏)인데, 가정(嘉靖) 31년(1552, 명종7) 8월 21일에 공이 출생하였다. 공은 기량과 식견이 남보다 뛰어나고 독서를 즐겼다. 27세에 부친을 따라 경사(京師)에 들어왔는데, 관상 보는 사람이 공을 보고 말하기를, “반드시 훌륭한 사람이 되어 천하에 이름을 떨칠 것입니다.” 하였다. 34세에 정시(庭試) 문과 을과(文科乙科)에 발탁되었으나, 왕의 뜻에 거슬린 글귀 때문에 전부 파방(罷榜)되었다. 다음해 부친이 돌아가자, 상사(喪事)를 마친 뒤에는 과..

보재 이상설선생 순국제90주기 추모행사 개최.

보재 이상설선생 순국제90주기 추모행사 개최 금년은 보재 이상설 선생께서 항일독립 운동을 하시다, 순국 하신지 90주년이고, "헤이그 만국평화회의" 에 특사로 참석 하신지 100주년이 되는 뜻깊은 해입니다. 이에 존경하는 귀하를 모시고 잃어버린 국권회복을 위하여 광복운동에 일생을 바친 선생의 유덕을 추모하는 제향과 기념행사를 개최 하오니 꼭 참석 하시어 자리를 함께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2007년 4월 5일 사단법인 이상설선생기념사업회 회장 이 재 정 -------------------------------------------------------------------------------------------------------------------------------------- 일 시 : 20..

추연 권용현 선생(秋淵 權龍鉉 先生) 유월장(踰月葬) 실황 동영상

추연(秋淵) 권용현(權龍鉉) 선생 유월장(踰月葬) 영남유림 거목...향리 합천에서 지난 8일 별세(1988년 1월 8일 향년89세) 영남유림의 마지막 거목 추연 권용현선생의 장례가 보기 어려운 유가의 전통의식에 따라 유월장인 23일장으로 치러져 관심을 모으고 있다. 유월장이란 기세한 달의 그믐을 넘겨 치르는 장례로 지난 79년 1월 경남 산청에서 치러진 중재 김황 선생의 25일장 이후 8년만에 처음인데 추연선생의 장례는 우리나라에서 마지막 유월장이 될 것 같다. 한국 성리학의 마지막 맥을 이어온 선비로 일컬어지는 추연선생은 지난 8일 상오 경남 합천군 초계면 유하리 335 자택에서 향년 89세로 별세했다. 옛날 중국에서는 천자가 죽으면 9월장, 조선조에선 임금이 붕하면 6월장, 벼슬한 이가 죽으면 3월장..

운와공 이달존 묘표(雲窩公 李達尊 墓表)

■ 이달존(李達尊) 이달존『李達尊 : 1313년(충선왕 5)~1340년(충혜왕 1)』의 자는 천각(天覺)이다. 세계(世界)는 계림(鷄林 : 경주)이다. 조부는 이진(李瑱)이며, 아버지는 이제현(李齊賢)이다. 권부(權溥)의 외손자이고, 백이정(白頤正)의 사위이다. 이달존은 문장과 시를 잘 지었다. 11세에 문음(門蔭)으로 별장에 임명되었으며, 18세에 과거에 급제하였다. 충혜왕이 원나라에 갈 때 부친을 따라 수행하였다. 충혜왕이 복위 후 본국에 오던 중 죽었다. 28세였다. 자식은 5남매이다. 맏아들은 덕림(德林)으로 11세이고, 다음은 수림(壽林)으로 9세이며, 나머지는 모두 어리다. 묘지명은 이곡(李穀)의 문집인 『가정집(稼亭集)』권11과 『동문선(東文選)』권124에 실려 있으며, 1340년(충혜왕 복..

삼천지교(三遷之敎)

■ 삼천지교(三遷之敎) 三(석삼), 遷(옮길 천), 之(갈지), 敎(가르칠 교)字로 맹자의 어머니가 맹자를 가르치기 위하여 집을 세번 옮긴 일을 이름 하여 말한 것이다. 전국시대 유학자(儒學者)의 중심 인물로서 성인(聖人), 공자(公子)에 버금가는 아성(亞聖) 맹자(孟子)는 공자처럼 생이지지(生而知之)했다고 추앙 되지도 않았고, 태어 나자 마자 걸음을 걸으며 천상천하 유아독존(天上天下 唯我獨存), 이라고 했다는 신화도 가지고 있지 않았다. 스승이 유명한 분도 아니어서 증자(曾子)의 문인(門人)에게서 사숙(私淑)했다는 것을 보면, 기초는 스승에게 배웠으나 그의 독특한 이론인 성선설(性善說), 사단설(四端說), 호연지기설(浩然之氣說)은 모두 그의 독학에서 얻은 독창적인 것이다. 맹자는 독학자였기에 노력과 의..

차례라는 설제사 말은 일본말이다.

■ 설 제사에 대하여... 1. 설날 세배는 고려시대 풍속이었다. 설날 아침 일찍 일어나서 어버이에게 세배를 올리고 아침 밥을 먹는 것이 고려시대의 풍속이며 그 당시 조상에게 지내는 제사는 없었다고 한다. 다음은 高麗士人耘谷天錫所作庚午元正詩이다. 鷄鳴起坐整衣襟, 星頭欄干曉霧深. (닭 울음소리에 깨어 자리에서 일어나 옷을 곱게 다듬어 입었더니, 별빛이 난간에 들어와 안개가 깊도다) 時有兒孫來再拜, 油然發動壯年心. (그때 자식·손자들이 와서 세배를 하니, 어른스러워지는 마음이 저절로 갖추어 지더라) 2. '설날제사'는 고종 33년 병신년(1896년)에 오늘날 경북 성주군의 수촌리(樹村里)에서 처음으로 시작되었다고 한다. 그 이름이 '원조절사(元朝節祀)'로 되어서 老石 呂九淵(1865∼1938)의 문집인 『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