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물 702

박정희대통령 연서.

작성일 : 2008. 09. 04 詩人 朴正熙 大統領의 戀書 ■ 당신이 먼 길을 떠나던 날 청와대 뜰에 붉게 피었던 백일홍과 숲속의 요란스러운 매미소리는 주인 잃은 슬픔을 애닯아하는 듯 다소곳이 흐느끼고 메아리쳤는데 이제 벌써 당신이 가고 한달 아침 이슬에 젖은 백일홍은 아직도 눈물을 거두지 못하고 있는데 매미소리는 이제 지친 듯 북악산 골짜기로 사라져가고 가을빛이 서서히 뜰에 찾아 드니 세월이 빠름을 새삼 느끼게 되노라 여름이 가면 가을이 찾아 오고 가을이 가면 또 겨울이 찾아 오겠지만 당신은 언제 또 다시 돌아온다는 기약도 없이 한번 가면 다시 못오는 불귀의 객이 되었으니 아 이것이 천정(天定)의 섭리란 말인가 아 그대여, 어느때 어느 곳에서 다시 만나리. ■ 춘삼월 소묘 (1951년 4월 25일) ..

大韓뉴스

박정희 대통령 최후 일터(일자리) KBS 당진 송신소 방문 이 동영상은 춘하추동방송(http://blog.daum.net/jc21th/17782619)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대한뉴스 1270호 - 대통령 동정(영상 제작일: 1279년 10월 25일 리과뉴 싱가포러 수상 박정희 대통령 예방) 대한뉴스 제1262-3호 박정희 대통렬 서거 영상 제작일: 1979년 10월 30일 박정희 대통령 서거전 마지막 공식일정 영상-삽교천 행사 대한뉴스 제1264-5호 故박정희 대통령 국장(國葬) 영상 영상 제작일: 1979년 11월 9일(1979년 11월 3일 청와대 발인 영상-태극기로 덮인 운구 행렬) 대한뉴스 제1270호-최규하 대통령 새 행정부 출범 영상 제작일: 1979년 12월 20일 최규하 대통령 청와대 집무..

독립운동가 권기옥 지사의 ‘심훈 만장’ 발견.

작성일 : 2019. 04. 03 독립운동가 권기옥 지사의 ‘심훈 만장’ 발견돼 -죽음 애도하는 슬픔 속 시 지어 우리나라 최초 여성 비행사이며 독립운동가 권기옥 지사가 저항시인 심훈선생의 죽음을 애도하며 쓴 만장이 심훈기념관에서 발견됐다. 그들은 다 1901년생이다. 당진시에 따르면 심훈기념관은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기념관 소장자료를 정리 중 심훈 추모시를 발견, 권기옥 지사의 후손을 통해 필체 등 확인을 거쳐 권기옥 지사가 심훈 선생의 죽음을 애도한 추모시임을 밝혀냈다. ‘哭小說家沈先生大燮靈座(곡소설가심선생대섭영좌)’란 추모시는 7언 절구의 한시 초서로 적혀 있었는데, 선생에 대해 어지럽고 속된 세계를 걷지 않은 인물로 표현했고, 권기옥 지사 자신을 ‘狂生(광생)’이란 단어로 낮춰 선생을 높이..

이기택(李基澤) - 정치인

생년 : 1937년 7월 25일, 경상북도 영일군(오늘날 포항시) 졸년 : 2016년 2월 20일(향년 78세) 학력 : 1961년 고려대학교 상과졸 /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 경력 : 대한민국정치인. 국회의원. 민주평통수석부의장(2008. 09) 수상 : 1963년 건국포장 저서 : 돌아오지 않는 다리, /한국 야당사./호랑이는 굶주려도 풀을 먹지 않는다. 국회 대별 및 소속정당(단체) 제7대국회의원(전국) 신민당/1967년 5월 3일 총선 제8대국회의원(부산동래을) 신민당 /1971년 5월 25일 총선 제9대국회의원(부산동래) 신민당 /1973년 2월 27일 제10대국회의원(부산동래) 신민당 /1978년 12월 12일 총선 제12대국회의원(부산남ㆍ해운대) 신한민주당/1985년 2월 12일 총선 제..

서문중(徐文重) 선생 초상화 - 보물1898호

작성일 : 2018. 08. 22(수) 몽어정 서문중 선생 초상화(夢漁亭徐文重先生肖像畵). 초상화 보관 함 서문중[徐文重, 1634(인조 12)∼1709(숙종 35)]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1680년(숙종 6) 정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당상관에 올랐으며, 그 후 판서를 비롯한 여러 요직을 거쳤다. 1698년(숙종 24)에는 우의정에, 1699년(숙종 25)에는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이 되었다. 정치적으로 소론(小論)에 속했으며, 군사제도와 기근구제 등에 많은 업적을 남기는 등 족적이 선명하다. 서문중(徐文重)의 초상(肖像)과 보관 함(函)은 조선시대 시복본(時服本 : 관료들이 평상시 공무복으로 입던 옷) 전신좌상(全身坐像) 가운데 높은 예술성을 잘 보여주는 뛰어난 작품이다. 오사모(烏紗帽)에 담홍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