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선조문집 141

돈와유고(遯窩遺稿)/이사유 저

■ 돈와 이사유(遯窩 李思遊 : 1701(숙종 27)-1759(영조 35) 1701년(숙종 27)-1759년(영조 35)때의 선비로 경상북도 고령군 개진면 양전리에서 성균진사 이성일(李聖一)의 장자(長子)로 태어났다. 자(字)는 백심(伯深), 호(號)는 돈와(遯窩), 관(貫)은 경주(慶州)로. 20세 어린 나이에 일찍 문명이 세상에 널리 알려졌다, 일찍이 서울에 갔을 때, 일가의 대부 담헌(澹軒) 이하곤(李夏坤) 선생이 공이 지은 다수의 시문(詩文)을 보시고 우리 문중에 이렇게 박학함은 드문 일이라고 칭찬 하였으나 끝내 등과엔 나가질 않으니 사람들이 모두 원통해 했다. 저서로 돈와유고(遯窩遺稿) 2권이 있다. ↑필자 소장본/1995년 1월 편집 및 발행인 저자의 7대손 李春熙

한와집(閒窩集) - 李時逸, 著

■ 李時逸, 선생의 『한와집(閒窩集)』 경주이씨 33世로 국당공 후 지퇴당공(知退堂公) 7대손임. 『한와문집(閒窩文集)』은 이시일(李時逸 ; 1731∼1792)의 시문집이다. 이시일의 자는 경안(敬安), 호는 한와(閒窩),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이 책은 1933년 후손들이 편집, 간행하였다. 그의 시(詩) 2수는 벗과의 사별을 아쉬워하는 만장이다. 서(書) 가운데 스승 이홍리에게 보낸 편지는 뒤늦게 학문의 길에 들어서 게을러 성취가 더딤을 자탄하며 분발을 다짐하는 내용이며, 잡저(雜著)의 「대학의설(大學義說)」은 『대학』전편에 걸쳐 가장 중요한 핵심처를 골라 논단한 것으로, 『대학』은 곧 대인(大人)의 학문이니 사리사욕을 버리고 명덕(明德)을 밝힘에 힘쓸 것을 말하였다. 「덕성각연설(德成閣筵說)」은 ..

경주이씨 정민록(慶州李氏鼎珉錄)

작성일 : 2009. 09. 17 경주이씨 정민록(慶州李氏鼎珉錄) ◇표지서명(表紙書名) : 정민록(鼎珉錄) - 慶州李氏 ◇발(跋) : 府使公裔孫李用雨謹跋 ◇간기(刊記) : 歲壬申(1872년) 仲春下澣武塢藏印 ◇편저자 : 이태형(李泰炯)/편집 이용우/교정 이창우 ◇권수 : 全2卷 2冊 ◇판사항 : 목활자본 ◇간행형태 : 1冊(第1冊缺): 四周單변, 半郭26.5 × 17㎝, 10行20字, 上下二葉花紋魚尾; 33.5 × 22.2㎝ ◇간행연도 : 1872년(고종 9) ◇소장처 : [13455]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윤중동 490-8)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전화 : 031-730-8 ◇분류기호 : MF35-9429 ◇청구기호 : B9C9 ---------------------------------..

수백당 문집 - 이회근(李晦根) 저

■ 수백당 이회근[守白堂 李晦根 : 1728년(정조 4) ~ 1809년(순조 9)] 고령군 개진면 양전리 출신으로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성균 진사 이성일(李聖一)의 손자로, 자(字)는 현보(顯甫), 호(號)는 수백당(守白堂)이다. 향시에 4번 장원하고 영조 30년에 사마시에 합격하여 임금께 사은숙배 하니 크게 칭찬 하였다. 시(詩)와 문장(文章)이 출충 하여 당대 이름이 있었다. 저서로수백당 문집( 守白堂 文集) 2권이 있다. 수백당문집(守白堂文集)은 그의 글을 모아서 후손 이춘희(李春熙)가 1995년에 간행(刊行)한 것이다. 김협규(金夾奎)의 서문과 6대손 春熙의 발문이 있다. ↑필자 소장본 : 1995년 1월 편집 및 발행인 저자의 6대손 李春熙 구매일자 : 1996. 12. 03 ↑크기 : 19..

사류제집(四留齋集)/이정암(李廷馣) 著

본 문집의 저본은 후손 여주(汝柱)가 수집, 편차한 정고본(定稿本)을 여주의 아들 성룡(聖龍)이 1736년에 간행한 초간본으로, 7권, 부록5권, 보유(補遺) 합5책(384판)의 목판본(木板本)이다. 本 影印底本은 서울大學校 奎章閣藏本(圖書番號 : 奎5285)으로서 半葉은 10行 20字이고 半郭의 크기는 22.3×17.3(㎝)이다. [도서명] 사류제집(四留齊集) [시 대] 조선(朝鮮) [책 수 ] 총12권 5책 [크 기] 가로 20.8cm x 세로 32 cm [도서구분] 문집류(文集類) 사류제집은 임란시 황해로 일대에서 왜군을 토벌했던 이정복의 문집으로 의병 투쟁 내용이 그 주를 이루고 있고, 왜와 우리나라의 투쟁사 개괄, 의병장 대첩비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책은 의병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그 가치가..

덕봉집(德峯集). 산술신서(算術新書).

■ 덕봉집(德峯集). 산술신서(算術新書) 경매 구입. 2008년 06월 28일(토요일) 늘 흠모해 오던 선현의 고서 2권을 오픈라인 경매장에서 낙찰 받고선 저자분을 직접 뵈 온듯 형용할수 없어리 만큼 감회가 깊었다. ●덕봉집(德峯集)=1902년 발행 이진택(李鎭宅 ), 저 덕봉 이진택(1738∼1805)선생의 유문을 현손 이규일이 수집하여 1902년에 간행한 문집으로, 목판본 6권 3책으 로 시(詩).소(疏). 계(啓). 서(書). 잡저(雜著). 지(識). 설(說). 축문(祝文). 제문(祭文). 비문(碑文). 행장(行狀). 전 (傳). 상량문(上樑文) 및 부록 등이 실려있다. ● 산술신서(算術新書)=1908년 발행 보재 이상설( 溥齋 李相卨), 저 보재 이상설 [溥齋 李相卨, 1870.12.7~ 1917..

계묘 사마 동방계회 도첩.

'계묘사마동방계회도첩'(癸卯司馬同榜契會圖帖) 이대건 : 1573년(宣祖 6) 계유(癸酉)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2등(二等) 7위 ------------------------------------------------------------------------------------------------------------------------------------- 조선 중기 문신 이시발(李時發.1569-1626)이 1603년에 작성한 발문(跋文)이 들어 있는 '계묘사마동방계회도첩'(癸卯司馬同榜契會圖帖)이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 전해지는 계회도로는 연대가 오래된 작품이라는 점이 주목된다. 동방(同榜)이란 같은 시험에 나란히 이름을 올린 합격자 명단을 말함이니 요즘으로 말하면 고시 합격 동기생들이다..

서계 이득윤선생 문인록

서계 이득윤선생 문인록 1. 이시발(李時發) : 본관>慶州, 1569(선조 2)∼1626(인조 4). 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벽오(碧梧),또는 후영어은 (後潁漁隱). 문과급제, 형조판서, 시호는>충익 2. 이덕수(李德洙) : 본관>韓山, 1577(선조 10)∼1645(인조 23). 자는 사로(師魯), 호는 이유당(怡愉 堂). 문과 급제, 이조참의 3. 신지익(申之益) : 본관>아주(鵝州), 벼슬은>참봉/ 효자 신심(申鐔)의 아버지이고, 효자 신협(申鋏)의 숙부이다. 충북 청원군 미원면 화창리에 삼효각(三孝閣)이 있다. 4. 신지제(申之悌) : 본관>아주(鵝州), 1562년(명종 17) ~1624년(인조 2), 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순부(順夫).호 는 오봉梧峰)·오재(梧齋). 경북 의성 출신. 문과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