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기타 金石文

반구대 암각화(盤龜臺岩刻畵)

야촌(1) 2012. 1. 30. 16:44

 

 

↑울산 반구대 암각화 3D 입체 이미지 복원 수천년 세월 암벽 뚫고 나오다.

 

울산 반구대 암각화에서 최소 4점 이상의 새로운 그림이 추가로 발견됐다. 

사진은 반구대 암각화 전체를 3D 스캔을 통해 채색한 것이다.

[총 75종 200여 점]

 

사진출처 : busan. com국립문화재연구소 제공에  의거  김태권 기자 ktg660@busan.com

-------------------------------------------------------------------------------------------------------------------------------------------

 

■ 울산대곡리 반구대 암각화(蔚山大谷里盤龜臺岩刻畵)

 

국보 제285호인 반구 암각화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 991번지에 소재하여 있으며 울산 태화강의 지류인 대곡천변의 절벽에 290점의 암각화가 새겨져 있다.

 

[지정종목] 국보

[지정종목] 국보 제285호 

[지정일] 1995년 06월 23일 

[소재지]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 991번지

[선사시대]

[종류/분류] 암각화(岩刻畵)

[크기] 가로 약 8m, 세로 약 2m 

-------------------------------------------------------------------------------------------------------------------------------------------

 

울산의 젖줄 태화강 상류 반구대 일대의 인공호(人工湖) 서쪽 기슭의 암벽에 새겨졌다. 

댐의 축조로 평상시에는 수면 밑에 있다가 물이 마르면 그 모습을 보인다. 

 

그 크기는 가로 약 8m, 세로 약 2m이고, 조각은 암벽 밑에까지 부분적으로 퍼지고 있어, 밑에서부터 암각화 상단선까지의 높이는 3.7m쯤 된다. 반반하고 매끈거리는 병풍 같은 바위면에 고래·개·늑대·호랑이·사슴·멧돼지·곰·토끼·여우·거북·물고기·사람 등의 형상과 고래잡이 모습, 배와 어부의 모습, 사냥하는 광경 등을 표현하였다. 

 

이곳에 표현된 동물들이 주로 사냥 대상 동물이고, 이 동물 가운데에는 교미의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것과 배가 불룩하여 새끼를 가진 것으로 보이는 동물의 모습이 보인다. 이 암각화는 당시 사람들이, 동물들이 많이 번식하고 그로 인해 사냥거리가 많게 되기를 기원하면서 만든 것임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춤추는 남자의 모습에서 성기가 과장되게 표현된 것은 인간의 생식능력이 자연의 번식력과 깊은 관계를 가졌다고 생각했던 당시 사람들의 관념을 나타낸 것으로 생각된다. 일본에서는 옛날 산신제(山神祭) 때에 성기를 드러내고 춤을 추었다는 보고가 있다.

 

어로(漁撈)의 행위를 묘사한 고기잡이배와 그물에 걸려든 고기의 모습을 묘사한 것도 실제 그렇게 되기를 바라는 일종의 주술적 행위로 볼 수 있다. 아마도 당시에는 반구대 지역이 사냥과 어로의 풍요를 빌고 그들에 대한 위령(慰靈)을 기원하는 주술 및 제의(祭儀)를 행하던 성스러운 장소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동물의 표현 중에 소위 X레이 화법(畵法)이라고 하는 배 부분의 내장(內臟)을 표시한 것이나 입에서 시작하여 내장까지 닿는 음식을 내장으로 보내는 일종의 생명선의 표현은 동물들의 생명 운영과 그를 위한 기본기관이 들어 있는 부분에 대한 특별한 관심의 한 표현으로 보인다.

 

이 암각화의 연대에 관해서는 신석기시대부터 만들기 시작했다는 설과 청동기시대의 작품이라는 설 등이 있다. 시기가 차이가 나는 표현양식과 내용 등이 있는 것으로 보아 암각그림 모두가 같은 시기에 만들어진 것은 아니고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원하는 그림을 추가하는 등 신앙행위의 장소로서 계속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글 자료 : 네이브 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