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선조문집

용재유고(慵齋遺稿)

야촌(1) 2010. 7. 3. 20:30

용재유고(慵齋遺稿)

 

1824년(순조 24) 초간본으로 간행(刊行)된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전기 문신·학자 李宗準의 慵齋先生遺稿 卷頭에 金熙周, 李在緝의 序文이 있고, 卷末에 李種杞, 金道和, 權相翊, 盧相稷의 跋文이 있다.

 

본문에는 詩, 疏, 啓, 跋, 墓碣, 行狀, 行錄, 墓碣, 上梁文, 摭遺, 補遺 등이 수록되어 있다. 크기는 20.4(가로) X 28.7cm(세로)이다.

 

 

 

 

 

 

 

 

 

 

 

 

 

 

 

 

 

 

 

 

 

조선  1454년(세조 元年)∼1499년(연산군 5) 때의 문신·학자인 이종준(李宗準)의 시문집. 1책 목판본으로 1824년(순조 24) 후손 이창욱(李昌郁)이 편집하고, 권사협(權思浹)과 이순빈(李淳賓)이 교정하여 초간본(初刊本)을 간행함

 

[시대] 조선후기
[간행연도] 1824

[세계] 경주이씨 월성군파 후손(慶州李氏 月城君派)

 

 

권수제  慵齋先生遺稿
판심제  慵齋遺稿
간종  목판본
간행년  1824年刊
권책  世譜圖ㆍ目錄ㆍ本集 합 1책
행자  10행 20자
규격  21.3×16.5(㎝)
어미  上下二葉花紋魚尾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도서번호  奎4282
총간집수  한국문집총간 16

 

 

저자

성명  이종준(李宗準)
생년  1454년(세조 元年)
몰년  1499년(연산군 5)
 仲勻
 慵齋, 慵軒, 浮休子, 尙友堂, 太庭逸民, 莊六居士
본관  慶州
특기사항  金宗直의 문인

 

 

가계도(월성군 후)

 

25世 이승직[李繩直(大司憲)]

         ㅣ

         └---李時敏(生員)  26世

                  ∥

            安東權氏(縣監 權啓經의 女)

                           ㅣ

                           ㅣ---------李崇準(忠順衛)  27世

                           ㅣ

                           ㅣ---------李宗準
                           ㅣ            ∥

                          ㅣ          安東權氏

                           ㅣ             ㅣ

                           ㅣ            └-----------李德淵(參奉)

                           ㅣ---------李弘準(進士)

                           ㅣ

                           ㅣ---------李公準(訓導)

                           ㅣ

                           ㅣ----------女

                            l               ∥

                          ㅣ           琴啓(縣監)                          

                           ㅣ

                           ㅣ----------女

                           ㅣ              ∥   

                           ㅣ         權碩衡(司果)

                           ㅣ

                           └----------女

                                           ∥

                                    李堣(參判)  *송재집(松齋集)

 

 

 

기사전거 : 世譜圖에 의함

-------------------------------------------------------------------------------------------------------------------------------------

 

행력

~ ~ ~ ~ ~ ~ - 安東 金溪村에서 태어나다.
~ ~ ~ ~ ~ ~ 13 향시에 응시코자 하였으나 학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하여 부친이 허락하지 않다.
성종 4 1473 계사 成化 9 - 6월, 부친상을 당하다.
성종 6 1475 을미 成化 11 - 모친의 명으로 竹林寺에 들어가 독서하다.
성종 8 1477 정유 成化 13 - 진사시에 합격하다. ○ 서울에 寓居하다.
성종 16 1485 을사 成化 21 - 문과에 합격하다.
성종 17 1486 병오 成化 22 - 內資寺 直長이 되다.
성종 18 1487 정미 成化 23 - 이조 낭관이 되다. ○ 가을, 日本 사신의 護送使가 되어 東萊에 가다. ○ 겨울, 平安評事가 되다. 祥原郡에 이르러 三笑圖에 題詩하다.
성종 19 1488 무신 弘治 1 - 홍문관 교리가 되다.
성종 23 1492 임자 弘治 5 - 湖堂에 들어가 賜暇讀書하다. ○ 홍문관 부수찬이 되다. ○ 疏를 올려 歸覲하다. ○ 〈遺山樂府詩跋〉ㆍ〈酉陽雜爼跋〉을 짓다.
성종 24 1493 계축 弘治 6 - 3월, 사헌부 지평이 되다. ○ 의정부 사인이 되다. ○ 서장관으로 중국에 가서 詩名을 날리다. ○ 李昌臣 등과 함께 司律院에서 律文을 가르치다.
성종 25 1494 갑인 弘治 7 - 義城縣令이 되다. 학교가 퇴폐함을 보고 移建한 뒤 儒望이 있는 사람을 초빙하여 고을의 자제를 가르치게 하다.
연산군 1 1495 을묘 弘治 8 - 사간원 정언으로, 대사간 金克忸ㆍ사간 李宜茂 등과 함께 昭陵의 복위를 청하다.
연산군 3 1497 정사 弘治 10 - 〈前赤壁賦書帖跋〉을 쓰다.
연산군 4 1498 무오 弘治 11 - 관직에서 물러나 향리로 돌아가다. ○ 史禍에 연루되어 江界에 流配되다. 高山驛을 지나는 도중에 宋 나라 李師中의 ‘孤忠自許衆不與’ 一律을 벽 위에 써 붙인 일로 국문을 당하다.
연산군 5 1499 기미 弘治 12 - 죽임을 당하다. ○ 金溪 沙芒洞에 장사 지내다.
중종 2 1507 정묘 正德 2 - 金欽祖ㆍ朴元宗 등의 청으로 表沿沫 등과 함께 復官되다.
인조 26 1648 무자 永曆 2 - 安東의 선비들이 金溪村에 鏡光精舍를 세우고 享祀하다.
효종 6 1655 을미 永曆 9 - 安東 乃城縣에 祠宇를 세우다.
숙종 15 1689 기사 康熙 28 - 李愈吾 등의 상소로 홍문관 부제학에 추증되다.
순조 6 1806 병인 嘉慶 11 - 柳 규가 行狀을 짓다.
순조 24 1824 갑신 道光 4 - 후손 李昌郁이 저자의 동생인 訥齋의 遺稿를 附集하여 문집을 간행하다.(金熙周의 序)
고종 38 1901 신축 光武 5 - 후손 李相晉ㆍ李相昇 등이 목활자로 문집을 중간하다.(崔益鉉의 序)
- - 1911 신해 - - - 후손 李相晉ㆍ李道炯과 金瀅模ㆍ徐翊洙 등이 增補, 編輯하여 문집을 삼간하다

기사전거 : 行狀 및 義城邑誌에 의함

----------------------------------------------------------------------------------------------------------------

 

편찬 및 간행

저자의 문집은 후손 李昌郁이 흩어진 遺文을 모으고 저자의 동생 李弘準의 「訥齋遺稿」를 附集하여 1책으로 만든 뒤, 權思浹ㆍ李野淳의 교정과 편차를 거쳐 1824년에 간행하였다.《초간본》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 성균관대학교 중앙도서관, 한국정신문화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그 뒤 후손 이상진(李相晉)ㆍ이상승(李相昇) 등이 가내(家內)에 전해 내려오던 기록과 조야(朝野)의 여러 유고(遺稿)에서 널리수습( 收拾)한 시문을 추가하여 최익현(崔益鉉)의 서(序)를 받아 1901년(고종 38) 목활자로 간행하였다.《중간본》 현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그리고 1911년에 후손 이상진(李相晉)ㆍ이도형(李道炯)과 김형모(金瀅模)ㆍ서익수(徐翊洙) 등이 저자의 유문(遺文)과 후혀(後賢)의 글을 증보(增補=글의 모자라는 부분을 더 보충함) 편집(編輯)하여 다시 간행하였다. 즉《삼간본》으로서 현재 국립중앙도서관과 성균관대학교 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본서의 저본은 1824年刊 초간본으로 서울대학교 규장각장본이다. 이 중 附集된 「눌재유고(訥齋遺稿)」는 영인에서 제외하였다.

 

구성과 내용

저자의 遺稿는 사화와 병란을 겪는 과정에서 유실되어 남아 있는 것이 많지 않다. 본집은 후손들이 흩어진 遺稿와 관계 기록을 收拾하여 편집한 것으로, 권수에는 序ㆍ世譜圖ㆍ목록이 있고 본집은 詩ㆍ疏ㆍ雜著ㆍ附錄으로 편차되어 있다.


이 중 詩는 權五福ㆍ南孝溫 등 友人과 더불어 吟咏한 詩와 〈題三笑圖〉 등이 실려 있고, 疏는 司憲府의 직책을 사임하는 상소이며, 雜著에는 〈遺山樂府詩跋〉ㆍ〈前赤壁賦書帖跋〉과 妹夫인 琴啓의 〈琴軍威墓碣〉로 모두 3편의 글이 실려 있다. 附錄에는 權五福ㆍ金馹孫 등의 詩ㆍ書와 저자의 行狀ㆍ墓碣銘 및 관계 기록과 저자가 享祀된 鏡光書院ㆍ栢麓里社에 관한 기록이 실려 있다.

 

필자 : 鄭弼溶

자료출처 : 해제 > 용재유고(慵齋遺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