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선조문집

제정선생 문집(霽亭先生文集) 해제(解題)

야촌(1) 2010. 6. 30. 18:44

■ 제정집(霽亭集) 해제(解題)

 

형태서지

권수제 霽亭先生文集
판심제 霽亭先生文集
간종 목판본
간행년 1836年刊
권책 4권 1책
행자 10행 20자
규격 22.5×17.2(㎝)
어미 上下二葉花紋魚尾
소장처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만송문고
소장도서번호 D1-A284B
총간집수 한국문집총간 3

 

저자

성명 이달충(李達衷)
생년 1309년(고려 충선왕 1)
몰년 1385년(우왕 11)
초명 達中
止中, 仲權
霽亭
본관 慶州
시호 文靖
특기사항 金九容 등과 교유

 

가계도

李世基(密直副使)  18世

    │

    └ --------李蒨(僉議參理)  17世

                     ∥

                 朴氏(延昌郡夫人)

                    │

                   └ --------李達衷(이달충)  18世

                                     ∥

                                橫城趙氏(政堂文學 趙文瑾의 女)

                                     ∥             l

                                     ∥           ㅣ--------이준[李竴(密直戶部典書)]19世

                                     ∥           ㅣ

                                     ∥           ㅣ--------이전[李竱(同知密直)]19世

                                     ∥           ㅣ

                                     ∥           ㅣ--------이수[李(오래기다릴수)]

                                     ∥           ㅣ

                                     ∥           ㅣ--------이횡[李竑]

                                     ∥           ㅣ           

                                     ∥           ㅣ--------여[女]

                                     ∥           ㅣ                    

                                     ∥           ㅣ         윤발[尹發]

                                     ∥           ㅣ

                                     ∥           ㅣ--------여[女]

                                     ∥           ㅣ           ∥

                                     ∥           ㅣ        방순[方恂]

                                     ∥           ㅣ

                                     ∥           ㅣ--------여[女]

                                     ∥           ㅣ           ∥

                                     ∥           ㅣ        김명리[金明理]

                                     ∥           ㅣ

                                     ∥           ㅣ--------여[女]

                                     ∥           ㅣ           ∥

                                     ∥           ㅣ        윤승열[尹承烈]

                                     ∥

                               忠州安氏(忠烈公 安祐의 女)

                                     ∥

                              平壤趙氏(尙書 趙千祐의 女)

 

기사전거 : 행장(權相一 撰)에 의함

 

행력

왕력 서기 간지 연호 연령 기사
충선왕 1 1309 기유 至大 2 1 태어나다.
충숙왕 8 1321 신유 至治 1 13 4월, 부친이 섬으로 유배되다.
충숙왕 13 1326 병인 泰正 3 18 登第하다. 史翰을 거쳐 正言이 되다. ○ 관직이 成均祭酒에 이르다.
충혜왕 복위 5 1344 갑신 至正 4 36 6월, 書筵이 설치되자 李齊賢ㆍ李蒨 등과 더불어 번갈아 시독하다.
충목왕 4 1348 무자 至正 8 40 3월, 吏部都監判事가 되다.
충정왕 1 1349 기축 至正 9 41 7월, 부친상을 당하다.
공민왕 1 1352 임진 至正 12 44 10월, 典理判書가 되다.
공민왕 2 1353 계사 至正 13 45 1월, 監察御史가 되다.
~ ~ ~ ~ ~ ~ ~ 名儒로서 密直提學에 擢拜되다.
공민왕 7 1358 무술 至正 18 50 4월, 戶部尙書로서 동북면병마사가 되다.
공민왕 8 1359 기해 至正 19 51 及菴 閔思平의 묘지명을 짓다.
공민왕 15 1366 병오 至正 26 58 겨울, 신돈의 중상으로 柳淑 등과 함께 폄직되다.
공민왕 16 1367 정미 至正 27 59 鷄林府尹이 되다. 〈辭鷄林尹表〉 및 〈鷄林赴任後再辭表〉를 짓다.
공민왕 20 1371 신해 洪武 4 63 전주목사 韓系祥의 청으로 〈全州觀風樓記〉를 짓다.
우왕 11 1385 을축 洪武 18 76 8월 18일, 졸하다. 廣州 齊陵 북쪽에 묻히다. ○ ‘文靖’의 시호를 받다.
세종조 ~ ~ ~ ~ ~ - 손자 李寧商이 문집을 간행하다.
헌종 2 1836 병신 道光 16 - 후손 李德培 등이 詩文을 輯佚하여 중간하다.
- - 1936 병자 - - - 原州에서 鉛活字로 문집을 三刊하다.
- - 1965 을사 - - - 石印으로 문집을 四刊하다.

기사전거 : 고려사ㆍ고려사절요ㆍ行狀(權相一 撰) 등에 의함.

 

[편찬 및 간행]

 

저자의 文集은 조선 세종조에 손자인 강원도 관찰사 李寧商에 의하여 春川에서 처음으로 간행되었다.《초간본》 고려사 열전에 의하면 ‘公이 저술한 「霽亭集」이 세상에 행하여지고 있다’는 기록으로 보아 당시에 문집이 널리 流傳된 것으로 보이나, 현재 失傳되어 전하지 않고 초간시의 尹淮(1380~1436)의 跋文만이 「東文選」 등에 전하고 있다.


그 이후 후손 李德培가 「東文選」과 「輿地勝覽」 등에서 遺文을 輯佚 편차하고, 宗人인 李祜新ㆍ李喆新 형제가 다시 文選ㆍ風雅 등에서 掇拾 보완한 뒤, 1836년(헌종 2) 후손 李璧秀가 改本과 淨寫를 거쳐 태백산 浮石寺에서 간행하였다. 본서의 저본은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만송문고장본이다.《중간본》

 

현재 이 중간본은 고려대학교 만송문고에 소장되어 있으며, 1909년에는 후손 李宰吉 등이 木板本으로 간행한 바도 있다.《삼간본》1918년에는 1836년(헌종 2)의 중간본을 榮州에서 이를 後刷한 후쇄본이 국립중앙도서관과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후쇄본》

 

1939년에는 李舜榮 등이 原州에서 鉛活字로 간행하였으며《사간본》,

1965년에는 후손 李宰吉 등이 石印本으로 간행한 바도 있다.《오간본》,

 

[구성과 내용]

 

본 문집은 4권 1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권1은 詩, 권2~3은 文, 권4는 附錄이다.권수에는 1832년에 지은 李仁行의 序文과 目錄이 실려 있으며, 서문에서는 舊本의 散佚로 말미암아 후손 李德培가 유문을 수집ㆍ편차하고, 후손 李宗梓의 도움을 얻어 문집을 간행한 경위를 밝히고 있다.

 

권1에는 2편의 賦와 35題(52수)의 시가 실려 있으며, 권미에는 李穀의 시를 차운한 〈次李稼亭穀平海越松亭韻〉 1수를 原韻과 함께 補遺하였다. 시는 오언시ㆍ칠언시의 순으로 편차 하였으며 閑居ㆍ紀行詩가 많은 편이다.

 

이들 대부분의 시들은 「東文選」과 「輿地勝覽」.「靑邱風雅」 등에서 인용한 것으로, 아울러 인용서에 대한 出典을 밝히고 있다.권2에는 表文 7편, 箴 2편, 銘 1편이 실려 있다. 表는 鷄林尹과 政堂의 부임을 사양하는 辭職表를 비롯하여 賀節表로 이루어져 있고, 모두 「東文選」에 실려 있다.

 

箴에는 〈愛惡箴〉과 金九容에게 써준 〈惕若齋箴〉이 실려 있다.권3에는 全州牧使 韓系祥에게 준 〈觀風樓記〉 1편, 關東의 存撫使로 가는 白文寶의 청으로 詩序 대신 써준 〈動齋說〉 1편, 교분이 두터웠던 金九容에 대한 〈題金安廉詩卷後跋〉 및 祭文과 墓誌銘이 실려 있고, 그 외에 서문 2편, 제문과 묘지명 각 1편이 실려 있다.

 

권4는 부록으로 1753년에 權相一이 지은 〈行狀〉, 고려사 열전에 실려 있는 〈本傳〉, 그리고 舊譜 등이 실려 있으며, 이어서 李齊賢ㆍ鄭夢周의 詩와 「東史纂要」.「靑邱集」.「東京雜記」 등에서 저자의 관계 기록을 뽑아 모은 〈追錄〉이 실려 있다. 이 추록에는 尹淮가 지은 초간본의 跋文이 포함되어 있다.권미에는 1836년에 지은 朴時源과 후손 李宗梓ㆍ李璧秀의 跋文이 실려 있다.

필자 : 辛容南

자료 : 제정집(霽亭集)

 

 

1909년 간행본

 

 

 

 

 

 

 

 

 

 

◇초간 : 세종조 손자인 강원도관찰사 이녕적(李寧啇)이 원주에서 간행함.

◇중간본 : 1836년(헌종 2) 후손 이벽수(李璧秀)에 의해 간행함.

◇삼간본 : 1909년에 간행하였다.

◇후쇄본 : 1918년에는 1836년(헌종 2)의 중간본을 榮州에서 이를 後刷한 후쇄본이 국립중앙도서관과 서울대학

                    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사간본 : 1939년 李舜榮 등이 原州에서 鉛活字로 간행하였다.

◇후쇄본(같은 판(版)에서 뒤에 인쇄하여 낸 책) : 1919년 간행함.

◇오간본 : 1965년 석인본으로 간행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