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옹패설 9

익재집 보물로 지정(역옹패설과 익재난고 )

↑1432년(세종 14) 원주에서 두 번째로 간행한 익재집 ■ 익재집(益齋集) 보물로 지정 고려시대 최고의 명신(名臣)이요, 대학자인 이제현(李齊賢,1287~1367)선생이 지은 익재난고(益齋亂藁)는 보물 제1892호로 역옹패설(櫟翁稗說)은 보물 제1893호로, 지정됐다고 2016년 2월 22일(월요일) 문화재청이 발표했다. 고려후기 이인로(李仁老,1152~1220)의 파한집(破閑集/說話文學集)과 최자(崔滋,1188~1260)가 엮은 보한집(補閑集/詩話集)과 더불어 고려3대 문학비평서인 역옹패설(櫟翁稗說)은 이제현선생의 나이 56세 때인 1342년(충혜왕 3) 관직에서 물러나 자택에 머물면서 익재난고(益齋亂藁)와 함께 집필한 책이다. 이 책의 《초간본》은 저자 이제현(李齊賢)의 77세 때인 1363년(공..

익재 이제현의 저작(著作)

↑보은 장산영당 소장의 익재 영정(충북 유형문화재 제72호) ↑일본 천리대학 소장 이제현의 초상화 고려 후기의 문신이자 유학자인 이제현의 초상화이다. 33살의 이제현이 충선왕과 함께 중국을 유람하던 1319년에 충선왕이 진감여(陳鑑如)라는 원나라 화가를 시켜 그린 것이라 한다. 이제현은 귀국할 때 이 그림을 가져오지 못했다가 21년 후에 우연히 그림을 다시 보게되자 그 감회를 시로 읊었다고 한다. 그림에는 이 시가 그림에 대한 원나라 문장가 탕병룡의 찬과 함께 쓰여 있다. ↑익재집 ■ 역옹패설(翁稗說) ◈저작동기 및 의의 은 고려 말기 문신 이제현이 지은 시화, 잡록 집으로 4권 1책의 목판본이다.고려시대에 이 책이 간행되었을 것으로 추측되나 전하는 것은 없고, 다만 온전한 모습으로 볼 수 있는 것은 萬..

역옹패설(櫟翁稗說)/益齋 李齊賢 著

고려 말기의 학자 익제 이제현(1287-1367)의 수필집. 이규보,이색과 함께 고려 3대 시인으로 일컬어지는 이제현의 역옹패설은 파한집,보한집과 같이 고려시대 패관문학의 대표적 저술이다. 사서에 나오지 않는 이문,기사,인물평,경론,시문,서화품평 등이 주 내용인데 前集(一-二), 後集(一-二), 拾遺. 李穡이 撰한 益齊墓誌銘으로 구성되어 있다. 宣德壬子(1432) 金鑌 奉敎敬跋. 萬曆庚子(1600) 鷄林府刊. 조선 중기 학자 五友堂 金近(1579-1656) 장서인. 上下內向三葉花紋魚尾. /크기 : 210 x 310mm 이제현(1287-1367) 고려 후기의 대학자, 정치가. 본관 慶州, 字는 仲思, 號는 益齋,櫟翁. 1301년 과거에 합격, 1314년 상왕인 충선왕의 부름으로 원나라 수도 연경의 만권당에..

고려 연대표

고려 연대표 연대 왕 조 내 용 918년 태조 왕건 즉위 이름은 왕건(王建). 신라 궁예의 부하로, 부하에게 옹립되어 송도에 도읍을 정하고 왕위에 오름. 935년 신라와 후백제를 멸망시키고 삼국을 통일함 건국, 연호는 천수(天授)로 정함. 919년 도읍을 철원(鐵原)에서 송악(松嶽)으로 옮김. 920년 신라가 고려로 사신을 보냄. 922년 명주[강릉]의 명주장군(溟州將軍) 김순식(金順式) 고려에 투항 925년 후백제신라20여성을 점령/발해의 신덕(申德)장군 등 500여명 고려에 투항 함. 927년 최치원 고려필경 저술. 견훤(甄萱) 금성에 침입 경순왕을 옹립 930년 울릉도 고려에 곡물 바침 931년 태조 왕건 신라의 금성 방문. 932년 후백제의 주사(舟師-수군) 예성강 부근 공격. 후당에 사신 보냄...

익재선생문집(益齋先生文集)

◈ 품 명 : 익재선생문집(益齋先生文集) ◈ 크 기 : 18.5Cm x 28.5Cm ◈ 판 사 항 : 목판본(木板本 ) ◈ 발행사항 : 慶州 : 鷄林府, 肅宗 19(1693)刻, [後刷] ◈ 형태사항 : 10卷3冊 : 四周雙邊 半郭 20.1 x 15.8 cm, 有界, 半葉10行18字 註雙行, 內向2葉 花紋魚尾 ; 30.2 x 20.2 cm ◈ 저 자 : 이제현(李齊賢:1287~1367) ◈ 주기사항 : ◇備考 : 第1-4張 落 ◇益齋는 李齊賢의 號임 ◇刊記 : 崇禎丙子後伍拾染年癸酉(1693)正月鷄林府重刊 ◇重刊識 : 癸酉(1693)...許경書 ◇紙質 : 楮紙 ◇表題 : 益齋先生文集 益齋亂藁. 卷1-10 / 李齊賢(高麗) 著 10권 4책. 저자가 살아 있을 때인 1363년(공민왕 12) 아들 창로(彰路) ..

益齋集 七刊本 木板刻(익재집칠간본목판각)

■ 익재문집 제七간본 목판각(益齋文集弟七刊本 木板刻) 익재집 《칠간본》.은 병인(丙寅) 1926년에 저자의 19대손 이규석(李圭錫)이 하겸진(河謙鎭)의 서(序)를 받아 연활자(鉛活字)로 경북 안동(安東) 노림재(魯林齋)에서 6책으로 간행하였다. ↓아래 목판각은 1926년 안동 노림재에서 6책으로 간행된 익재집 목판각 이다. ↑역옹패설 목판각(櫟翁稗說 木板刻) ↑익재난고 목판각(益齋亂藁 木板刻) ↑발(跋) * 지(誌) * 습유(拾遺) ↑효행록 목판각(孝行錄木板刻) ------------------------------------------------------------------------------------------------------------------------------------- ■ 역..

[역옹패설] 사람으로 읽는 역사 - 김승룡 교수

『역옹패설』 사람으로 읽는 역사 ― 김승룡교수 부산대 한문학과 고려후기 이제현(李齊賢·1287~1367)은 역사가의 눈으로 포착한 당대 공직자의 풍경을 '역옹패설'에 남겨놓았다. 흡사 콩트처럼 제시된 에피소드를 읽다보면 사람들의 표정까지 되살아난다. 그가 제시한 풍경 속으로 들어가 보자. 풍경 하나. 국가대사가 발생하면 정승들은 함께 모여 합의했다. 이것을 '합좌(合坐)'라고 한다. 이 자리에 기홍수(奇洪壽)와 차약송(車若松)이 참석했다. 먼저 차약송이 기홍수에게 물었다. '자네 집 공작새는 안녕하신가?' 기홍수가 대답했다. '그렇네만, 자네 모란 키우는 법이나 좀 알려주게?' 풍경 둘. 원부(元傅)가 문생들과 담소하다가 여론이 궁금했다. 그 가물었다. '나는 재주가 없는데도 외람되이 국정의 수반을 맡았..

益齋公派 世界圖.

경주이씨 익재공파세계도(益齋公派世系圖) 17世 제현(齊賢) │ │ 18世 서종(瑞種)-달존(達尊)-창로(彰路) 밀직공파조 시랑공 운와공 밀직공 (侍郞公) (雲窩公) (密直公) │ ┌─┘ │ │ │ 덕림(德林)-수림(壽林)-학림(學林) 19世 │ │ ┌─┘ ┌───┘ │ │ │ ┌┘ │ │ │ 담(擔) 20世 │ │ │ │ │ │ │ 희(暿) 21世 │ │ │ 청호공파조(淸湖公派祖) │ │ │ │ │ │ │ │ 숭의(崇義)-영도(崇道)-인도(仁道) 20世 │ │ │ ┌──┘┌───┘ │ │ │ │ ┌─┘ │ │ │ │ 빈(彬) 21世 │ │ │ │ │ │ │ │ │ 지하(之夏) 22世 │ │ │ │ │ │ │ │ │ │ │ │ │ │ 산수(山壽) 23世 │ │ │ │ │ │ │ │ │ │ │ │ │ │ 후..

익재 이제현의 저작(著作)

↑益齋 李齊賢先生 畫像(國寶 第110號. ● 익재 초상의 주해. 고려 후기 문신(高麗 後期 文臣)이자 학자(學者)인 익재 이제현(益齋 李齊賢 : 1287∼1367) 先生의 초상화이다. 이제현은 원(元) 나라의 만권당에서 조맹부 등과 교류하며 고려에 신학문과 사상을 소개하고, 성리학을 전파,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호(號)는 익재(益齋), 역옹(櫟翁)으로,『국사』『역옹패설』등을 남겼다. 위의 익재 초상(益齋肖像)은 원나라 화가 진감여가 그린 고려 말의 문신 익재 이제현의 전신 초상화이다. 국보 제110호로 지정되어 있다. 화면 상단에 적혀 있는 화기에 의하면, 이제현이 33세 되던 해인 1319년에 충선왕을 모시고 중국 저장성[절강성]의 보타산 사찰에 강 향하기 위해 갔을 때, 왕명으로 항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