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해(誹諧=새해풍경)’
이하곤(李夏坤, 1677~1724),
적막했던 문 앞에 시종과 말이 가득하니
부족하게나마 상을 차려 신년 손님 대접하네
탁주 마다않는 임 파총(把揔)이요
떡국 맛좋다 하는 김 생원(生員)이네
羅雀門前僕馬闐 나작문전복마전
聊將薄具餉新年 요장박구향신년
不厭濁酒林把揔 불염탁주임파총
絶甘湯餠金生員 절감탕병김생원
이하곤(李夏坤, 1677~1724), 『두타초(頭陀草)』 4책
「새해 아침 장난삼아 배해체로 짓다[元朝戱作誹諧體]」
조선 후기 시인인 이하곤은 어느 해 설을 맞아 7수의 시를 지었다. 시 제목에서 보이는 ‘배해[誹諧]’는 풍자, 농담, 해학의 의미로, 진지하기 보다는 가볍고 유쾌하게 묘사하는 것이 특징이다. 위는 7수 중 세 번째 수이다.
1구의 ‘나성문(羅雀門)’은 참새잡이 그물을 칠만큼 조용한 문이라는 뜻으로 찾아오는 이 하나 없는 상황을 말한다. 평소에는 이처럼 적막한 집이지만 새해 명절만큼은 친지의 방문으로 문전이 북적인다.
주인도 넉넉지 않지만 나름 상을 차려 손님을 맞이하는데 이날 손님상에 없어서 안 되는 것이 술과 떡국이다. 손님 중 파총이라는 무관 벼슬을 지내고 있는 임씨는 술을 택했다. 무인답게 거친 탁주를 마다않고 벌컥벌컥 들이킨다.
한편 또 다른 손님인 김생원은 떡국을 택했다.
주인집 떡국 솜씨가 좋았던지 선비 체면도 잊은 채 한 그릇 뚝딱이다.
다양한 손님들이 북적이는 신년 손님맞이 풍경이 정겨워 보인다.
7수 중 새해 풍경을 묘사한 몇 수를 더 소개해 본다.
풍속과 인정은 설날을 중시하여/
줄을 서가면서 부산하게 세배 다니네/
모두 다 새해 복 받으라 축원하니/
올봄에는 분명 장원급제하겠다.
(土俗人情重歲旦, 紛紛拜謁自成行, 共道新年聊獻祝, 今春應作壯元郞.)
세배를 올리자 덕담을 건넨다. 주로 과거 합격하라는 덕담이었던 모양이다.
요즘으로 치면 명절날 모인 친척에게
“올해는 취직해야지? 올해는 결혼해야지?”
라는 말을 듣는 느낌이려나.
빌려 입은 관과 적삼은 몸에 맞지 않지 않는데 /
비틀비틀 취한 몸 가누며 세 집을 내달리네/
과장된 이야기와 내뱉는 막말은 두서없고/
도처에 사람 만나 술 찾는 소리 시끌벅적
(借着冠衫不稱身, 踉蹌扶醉走三隣, 狂談胡說無倫次, 到處逢人索酒嗔.)
명절이라 나름 차려입고 새해 인사를 돌던 중 집집마다 내놓은 술상에 취해 버렸다.
술기운에 과장되고 거친 말도 마구 내뱉다가도 또 사람을 만나면 술자리를 이어간다.
정신없고 떠들썩하지만 그 분위기 한번 명절답다.
우스워라 동쪽 집에 사는 이 선배/
술에 취해 황소 타고 가다 요 앞 시내에 빠져버렸네/
옷이며 전부 다 젖은 것도 모르고/
집에 돌아와 술주정 부리며 제 마누라 구박하는구나.
(好笑東家李先輩, 醉騎黃犢落前溪, 不省衣冠沾濕盡, 歸來使酒敺厥妻)
명절에 누구를 만나다 보면 술이 빠질 수 없다.
그런데 술이 과하면 꼭 이런 사람 한 명씩은 있기 마련이다.
정초부터 물에 빠진 데다 아내에게 화풀이까지 했으니 새해를 맞은 그 심경이 어떠할까.
요즘과 별반 다를 것 없는 소소한 새해의 풍경이다. 그 속에는 사람과 사람과의 만남이 있다.
매년 다가오는 새해임에도 그때마다 설레는 것은 누군가와의 만남이 기대되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그 만남이 올해도 있을까. 가족, 친척, 친구들과 함께 한 해의 복을 축원하고 맛있는 음식과 술을 즐기던 풍경이 몹시 그리워지는 새해이다.
글쓴이 : 김준섭(한국고전번역원 연구원)
'■ 보학 > 한시(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詩] 경포대(鏡浦臺) (0) | 2021.08.10 |
---|---|
동호정 운(東湖亭韻) (0) | 2021.08.08 |
잔월(殘月=조각달) (0) | 2020.12.19 |
매창 시(梅窓 詩) 모음 (0) | 2020.11.29 |
기생 이매창(妓生 李梅窓)이 남긴 시(詩) (0) | 2020.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