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고려사(高麗史)

공민왕 16년(1367) 정미년 - 고려사

야촌(1) 2010. 11. 3. 21:27

고려사

공민왕 16년(1367) 丁未

 

●봄 정월

[정해일]

원나라에서 전 요양이문(遼陽理問) 쿠두테무르[忽都帖木兒]를 보내 영릉(永陵 : 충혜왕)에게는 터성선 충숭인병덕 협공인량공신(攄城宣忠崇仁秉德協恭寅亮功臣)의 칭호와 충혜(忠惠)라는 시호를, 명릉(明陵 : 충목왕)에게는 협성보리연덕선혜봉화보경공신(協誠輔理演德宣惠奉化保慶功臣)의 칭호와 충목(忠穆)이라는 시호를, 총릉(聰陵 : 충정왕)에는 수성이정좌리익순보의적경공신(守誠履正佐理翊順保義迪慶功臣)의 칭호와 충정(忠定)이라는 시호를 각각 추서했다.

 

충숙왕의 왕비 바얀쿠둑공주[伯顔忽都公主]1)에게는 숙공휘녕공주(肅恭徽寧公主), 공민왕의 왕비 부다시리[寶塔實里公主]에게는 노국휘익대장공주(魯國徽翼大長公主)라는 칭호를 내렸으며 충혜왕비인 이린지발공주[亦憐眞班公主]2)를 정순숙의공주(貞順淑儀公主)로 책봉했다.

 

[무술일]

땅까지 꼬리를 드리운 혜성이 나타났다.


[병오일]

왕이 공주의 혼전(魂殿)에 행차해 원나라에서 시호를 내려준 사실을 고한 후 잔치를 크게 열었다. 

교방(敎坊)4)에서 새로 만든 악장(樂章)을 연주했으며 왕은 공주의 영정 앞에 앉아 마치 살아 있는 사람을 대음식을 권했다. 이 자리에는 종친과 재추들도 참석했는데 신돈은 왕과 함께 전각 위에 자리를 차지했다.

 

●2월

[경술일]

원나라 황태자가 태부경(太府卿) 대도려(大都驢)를 보내 왕에게 의복과 술을 선물로 주자 왕이 의복 한 벌을 공의 혼전에 내려 주었다.

◇환관 윤충좌(尹忠佐) 가 숙위(宿衛)하는 사람들을 보고 자기에게 절을 세 번 올리라고 지시했다.


[임자일]

왕이 대도려를 위해 잔치를 베풀었다.

 

[계해일]

원나라 사신 고 대비(高大悲)가 와 황제가 왕에게 하사한 채색비단과 금견(錦絹) 5백 50필을 전달하재추들에게도 관품에 따라 같은 물건을 전했다. 당시 원나라 황제는 제주도로 피난하려고 궁궐 창고의 금과 비단을 옮기는 한편 제주를 다시 고려에 예속시킨다는 조서를 내렸다.

 

그때 원나라 목호(牧胡)들이 여러 차례 우리가 파견한 목사(牧使)와 만호(萬戶)를 살해하고 반란을 일으키다가 유(金庾)가 토벌에 나서자 그들은 만호부를 설치해 달라고 원나라에 호소했다. 이에 왕이 원나라 황제에게 이렇게 건의했다.

 

“김유가 제주를 토벌하려 한 것이 아니라 기실은 왜적을 체포하려고 제주지역까지 추격했는데 땔나무를 하목호들이 공연히 의심을 품는 바람에 싸움이 붙었을 뿐입니다. 예전의 관례대로 본국에서 자치적으로 목사와 만호를 파견해 목호들이 기른 말을 골라 바칠 수 있게 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황제가 이 건의를 따랐다.


[경오일]

원나라에서 신돈을 집현전 대 학사(集賢殿大學士)8)로 임명하고 의복과 술을 내려주었다.

 

●3월

[경진일]

전법판서(典法判書) 백한룡(白漢龍)을 원나라에 보내 전 왕과 왕비들을 추봉해 준 데 대해 사의를 표하게 하는 한편 전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 왕중귀(王重貴)는 황제의 생일을 축하하게 했다.


[기축일]

왜적이 강화부(江華府)를 노략질했다.


[신묘일]

왕이 연복사(演福寺)에 행차해 문수회(文殊會)를 크게 열었는데 손수 금향로를 받들고 승려의 뒤를 따라 조금피로한 기색 없이 향을 피웠다.


[계묘일]

요양의 평장(平章) 홍보보(洪寶寶)와 지요양연해행추밀원사(知遼陽沿海行樞密院事) 에산테무르[於山帖木兒]가 사자를 보내 왕을 예방하게 했다.

 

●여름 4월

[갑인일]

노비 한 사람이 자기 주인을 배반하고 영안군(永安君)에게 몸을 의탁했는데 도관좌랑(都官佐郞) 견사제(堅思齊)가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라는 판결을 내렸다. 이에 왕이, “영안군은 내가 지시한 영전(影殿) 공사를 감독하고 있는 터에 그 행위가 아무리 법에 어긋난다 하더라도 먼저 나에게 보고해야 옳다. 

 

이렇게 갑작스레 그에게 유죄 판결을 내린 것은 신하로서의 도리에 크게 어긋난 짓이다.”라며 즉시 견사제를 하옥시키게 했다.


[을묘일]

우박이 거세게 쏟아졌다.

◇왕이 신돈을 시켜 평양에 마땅한 궁궐터를 찾아보게 했다.


[경신일]

전교령(典校令) 임박(林樸)을 제주로 보내 그 곳 사람들을 회유하게 했다.


[임술일]

우박이 세차게 쏟아졌다.


[갑자일]

왕이 도보로 봉선사(奉先寺)에 있는 소나무 동산으로 가 격구(擊毬)놀이를 구경했다.


[병인일]

영전(影殿) 공사에 동원된 일꾼들을 돌려보내고 건축 기술자들과 승려만을 남겨두었다. 당시 여섯 도에서 인부 들을 징발했는데 일을 너무 심하게 몰아붙이는 탓에 도망하는 사람들이 끊이지 않자 가뭄이 계속된다는 구실로 돌려보낸 것인데 그 후 곧 비가 내렸다.

 

●5월

[무인일]

장자온(張子溫)11)을 시켜 하남왕(河南王)을 답방하게 했다.


[경진일]

왕이 익비(益妃)·정비(定妃)와 함께 고라리(高羅里)에 행차해 격구놀이를 구경했다. 온갖 놀이판을 벌이게 해 놓백관들이 다들 따라갔는데, 첨의평리 한휘(韓暉)가 기생과 대무(對舞)를 추자 왕이 보고서 “한재상은 참 좋겠군”하고 말했다.


[갑신일]

왕이 태후의 궁전으로 가서 만수무강을 비는 잔을 올렸다.


[병술일]

왕이 국학(國學)을 중창12)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갑진일]

큰비가 쏟아진 덕분에 백성들이 비로소 파종할 수 있었다.


[을사일]

원나라 중서성에서 직성사인 걸철(乞徹)을 시켜 “왜적들은 필시 고려 영토를 거쳐 우리에게로 침구해 들어올 이니 먼저 군사를 동원해 그들을 체포해주기 바랍니다.”라는 내용의 공문을 전달하게 했다.

 

●가을 7월

[병자일]

이강(李岡)13)을 밀직부사(密直副使)로, 염흥방(廉興邦)을 밀직지신사(密直知申事)로, 이운목(李云牧)을 전리판서(典理判書)로 각각 임명했다.


[임진일]

전녹생을 경상도 도순문사로, 김 한귀를 전라도 도순문사로, 지용수를 서부면 도순문사로, 이성림을 동북면 도순문사로 각각 임명했다.


[병신일]

지진이 있었다.


[계묘일=19일]

계림부원군 이제현(李齊賢)이 죽었다.

 

●8월

[병오일]

왕이 문묘(文廟)를 참배한 후 왕륜사에 행차해 영전(影殿)을 둘러보았다.


[을묘일]

원나라에서 직성사인(直省舍人) 산타시리[山塔失里]를 보내 울제이테무르[完者帖木兒]를 좌승상으로 임명한 사실을 알렸다.


[기미일]

재상들이 운암사(雲岩寺)14)에 모여 기생과 풍악을 동원한 거창한 술판을 벌여놓고 정릉(正陵)에 제사를 지냈데 궁궐의 사람들이 죄다 모였다.


[임술일]

왕이 안화사(安和寺)에 행차했다가 돌아오는 길에 영전에 들러 일꾼들에게 거창하게 음식을 내려주었다.

 

●9월

[정축일]

원나라에서 장추시소경(長秋寺少卿) 토오린테무르[篤怜帖木兒]를 보내 코케테무르[廓擴帖木兒]를 총병관에서 파직시키고 황태자로 하여금 전 부대를 총괄 지휘하게 했다는 사실을 알려왔다.


[갑신일]

왕이 도보로 신돈의 집을 찾아갔다.


[신묘일]

왕이 낙산사(洛山寺)에 행차했다.


[기해일]

왕이 백관들을 거느리고 길상사(吉祥寺)에 행차했다가 사흘 동안 박연(朴淵)15)에서 논 다음 환궁했다.

 

●겨울 10월


[기미일]

왕이 신돈의 집에 행차해 술자리를 차려 놓고 그 집의 신축을 축하했다.

◇나하추[納哈出]가 사자를 보내 말을 바쳤다.


[신유일]

왕이 신돈이 거처하는 별채에 들렀다.


[신미일]

전 시중(侍中) 경천흥(慶千興), 지도첨의(知都僉議) 오인택(吳仁澤), 전 평리(評理) 목인길(睦仁吉), 삼사우사(右使) 안우경(安遇慶), 삼사좌사(三司左使) 김원명(金元命), 전 밀직부사(密直副使) 조희고(趙希古)를 장형에 처한후 남쪽 변방 관가의 노비로 삼아 유배시키고 가산을 몰수했다.16)

 

●11월

[무인일]

평리(評理) 한휘(韓暉), 판개성부사(判開城府事) 이순(李珣), 상호군(上護軍) 조린(趙璘)·윤승순(尹承順)17)·유인재(柳仁梓)·강원보(姜元輔), 대호군(大護軍) 한덕경(韓德卿)을 지방으로 유배 보냈다.


[정유일]

지진이 있었다. 좌사의(左司議) 신덕린(申德隣),18) 헌납(獻納) 박진손(朴晉孫), 이준(李竴), 정언(正言) 정리(鄭釐) 안면(安勉)을 파직시켰다.

 

●12월

  초하루 

[계묘일]

일식이 있었으나 하늘이 흐려 관측할 수 없었다.

 

[갑신일]

김속명(金續命)을 평안도 도순문사(都巡問使)로 임명했다.


[을사일]

왕이 도보로 신돈의 집을 찾아 갔다.


[갑자일]

판개성부사(判開城府事) 이색(李穡)으로 하여금 성균관대사성(成均大司成)을 겸직시키고 환관 신소봉(申小鳳)을 도첨의평리(都僉議評理)·상의회의도감사(商議會議都監事)로 임명했다.

 

[原文]

 

十六年春 正月

丁亥元遣前遼陽理問忽都帖木兒, 追錫永陵曰攄誠宣忠崇仁秉德恊恭寅亮功臣, 謚忠惠, 明陵曰恊誠輔理演德宣惠奉化保慶功臣, 謚忠穆, 聰陵曰守誠履正佐理翊順保義迪慶功臣, 謚忠定. 忠肅王妃伯顔忽都公主曰肅恭徽寧公主, 王妃寶塔實里公主曰魯國徽翼大長公主, 封永陵妃亦憐眞班公主爲貞順淑儀公主. 戊戌彗見, 垂地. 丙午幸公主魂殿, 告錫命, 仍設大享. 敎坊奏新撰樂章, 王坐對公主眞, 侑食禮如平生. 宗室·宰樞侍宴, 辛旽與王並坐殿上.

 

二月

庚戌皇太子遣大府卿大都驢, 賜王衣酒, 王以衣一襲, 賜公主魂殿. 宦者尹忠佐, 令宿衛, 向忠佐三拜. 壬子王宴大都驢. 癸亥元使高大悲來自濟州, 帝賜王綵帛·錦絹五百五十匹, 宰樞亦有差. 時帝欲避亂濟州, 仍輸御府金帛, 乃詔以濟州, 復屬高麗. 時牧胡, 數殺國家所遣牧使·萬戶以叛, 及金庾之討, 牧胡訴于元, 請置萬戶府. 王奏, “金庾實非討濟州, 因捕倭, 追至州境, 樵蘇牧胡, 妄生疑惑, 遂與相戰耳. 請令本國, 自遣牧使·萬戶, 擇牧胡所養馬以獻, 如故事.” 帝從之. 庚午元以辛旽爲集賢殿大學士, 賜衣酒.

 

三月

庚辰遣典法判書白漢龍如元, 謝恩, 前同知密直司事王重貴, 賀聖節. 己丑倭掠江華府. 辛卯幸演福寺, 大設文殊會, 王手擎金爐, 逐僧行香, 略無倦容. 癸卯遼陽平章洪寶寶, 知遼陽沿海行樞密院事於山帖木兒, 遣使來聘.

 

夏四月

甲寅有奴背其主, 托永安君思濟者, 都官佐郞堅思濟決還其主. 王曰, “永安監我影殿役, 雖所爲實非禮, 當申聞. 遽決與彼, 豈臣子義乎?” 卽下思濟獄. 乙卯大雨雹. 命辛旽, 相宅于平壤. 庚申遣典校令林樸, 宣撫濟州. 壬戌大雨雹. 甲子王步至奉先寺松岡, 觀擊毬. 丙寅命放影殿役夫, 止留工匠及僧徒, 時徵發六道丁夫, 督役太急, 逃者相繼, 以久旱放之, 乃雨.

 

五月

戊寅遣張子溫, 報聘于河南王. 庚辰王與益妃·定妃, 幸高羅里, 觀擊毬戱. 大陳百戱, 百官皆從, 僉議評理韓暉, 與伎對舞, 王顧謂曰, “韓宰臣其樂耶?” 甲申王如太后殿, 上壽. 丙戌命重營國學. 甲辰大雨, 民始播種. 乙巳元中書省遣直省舍人乞徹, 牒曰, ‘倭賊入寇, 必經高麗, 宜出兵捕之.’

 

秋七月

丙子以李岡爲密直副使, 廉興邦爲密直知申事, 李云牧爲典理判書. 壬辰以田祿生爲慶尙道都巡問使, 金漢貴爲全羅道都巡問使, 池龍壽爲西北面都巡問使, 李成林爲東北面都巡問使. 丙申地震. 癸卯雞林府院君李齊賢卒.

 

八月

丙午王謁文廟, 又幸王輪寺, 觀影殿. 乙卯元遣直省舍人山塔失里來, 告以完者帖木兒爲左丞相. 己未宰相會雲岩寺, 設大酺, 陳妓樂, 祭正陵, 宮人皆會. 壬戌幸安和寺, 還至影殿, 大餉役徒.

 

九月

丁丑元遣長秋寺少卿篤怜帖木兒來, 告罷廓擴帖木兒惣兵官, 命皇太子, 摠天下兵馬. 甲申王步幸辛旽家. 辛卯幸洛山寺. 己亥王率百官, 幸吉祥寺, 遂遊朴淵, 三日乃還.

 

冬十月

己未幸辛旽家, 置酒落成. 納哈出遣使來, 獻馬. 辛酉幸辛旽別室. 辛未杖流前侍中慶千興, 知都僉議吳仁澤, 前評理睦仁吉, 三司右使安遇慶, 三司左使金元命, 前密直副使趙希古于南裔, 沒爲官奴, 籍其家.

 

十一月

戊寅流評理韓暉, 判開城府事李珣, 上護軍趙璘·尹承順·柳仁梓·姜元輔, 大護軍韓德卿于外. 丁酉地震. 左司議申德隣, 獻納朴晋孫·李竴, 正言鄭釐·安勉罷.

 

十二月

癸卯朔日食, 天陰不見. 甲辰以金續命爲平壤道都巡問使. 乙巳王步幸辛旽家. 甲子以判開城府事李穡, 兼成均大司成, 宦者申小鳳爲都僉議評理商議會議都監事.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