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묘갈,묘비,묘표

예조참의 이경선 선생 묘비문.

야촌(1) 2017. 9. 5. 14:33

  증 통정대부 예조참의 행 통훈대부 남포 현감 겸 홍주 진관 병마 절제 도위 이경선 묘비문

(贈 通政大夫 禮曹參議 行 通訓大夫 藍浦 縣監 兼 洪州 鎭管 兵馬 節制 都尉 李慶善 墓碑文)

 

[생졸년] 1600년(선조 33) 5월 2일 ~1636년(인조 14) 12월 27일

[병자호란 참전] 광주 검천(儉川) 전투에서 전사(戰死)함.

[문과] 인조(仁祖) 11년(1633) 계유(癸酉)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7위(10/33)/

[진사시] 인조(仁祖) 2년(1624) 갑자(甲子) 증광시(增廣試) [진사] 3등(三等) 36위(36/100)

--------------------------------------------------------------------------------------------------------------------------------------

공(公)의 휘(諱)는 경선(慶善)이니, 자(字)는 군선(君善)이요. 초휘(初諱)는 경징(慶徵)이고, 성(姓)은 이씨(李氏)니 경주인(慶州人)이다.

 

시조(始祖)의 휘(諱)는 알평(謁平)이니, 신라 좌명공신(新羅佐命功臣)이다. 고려조(高麗朝)에 문충공(文忠公)이요. 세상에서 익재 선생(益齋先生)이라고 추앙(推仰)을 받는 휘(諱) 제현(齊賢)은 공의 12대조(十二代祖)이다.

 

고조(高祖)의 휘(諱)는 발(渤)이니, 증 좌승지(贈左丞旨)요. 증조(曾祖)의 휘(諱)는 경윤(憬胤)이니 증 이조참판(贈吏曹參判)이요. 조(祖)의 휘(諱)는 대건(大建)이니, 증 좌찬성(贈左贊成)이요. 고(考)의 휘(諱)는 시발(時發)이요. 호(號)는 벽오(碧梧), 증 영의정(贈領議政)이다.

 

비(妣)는 정경부인 덕수 이씨(貞敬夫人德水李氏)니 옥산군(玉山君) 휘(諱) 우(瑀/신사임당의 차자/율곡 이이의 동생)의 여(女)다.

 

공은 1600년(선조 33) 경자(庚子) 5월 초(初) 2일에 탄생(誕生)하여 진사(進士)로 25세에 사마시(司馬試)에 합방(合榜) 하였고, 34세에 문과(文科)에 급제(及第)한 영재(英才)이다.

 

그 후 박사(博士). 저작(著作).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 호조좌랑(戶曹佐郞)을 역임(歷任) 한 후 남포현감(藍浦縣監)으로 재임 당시(在任當時) 병자호란(丙丁虜亂)이 발발(勃發)하자 인조대왕(仁祖大王)은 남한산성(南漢山城)으로 파천(播遷)하고, 삼남 근왕병(三南勤王兵)을 징모(徵募) 할 때, 공은 병마 절제 도위(兵馬節制都尉)로 2,432명을 영솔(領率)하고, 수원 산성(水原山城) 양지읍 저(陽智邑底)를 지난 후 호병 대치(胡兵對峙)로 전진(前進) 하지 못하고, 광주 검천(廣州儉川)에서 포진(布陳)하였다.

 

그곳에서 호병(胡兵)과 혈전 중(血戰中) 충청감사(忠淸監司) 정세규(鄭世規)는 절학(絶壑)에 떨어져서 병화(兵禍)를 면(免)하였고, 그 외 장군(將軍)은 모두 전사(戰死) 하였다.

 

공(公)과 연산 현감(連山縣監) 김홍익(金弘翼) 만이 살아서 사졸(士卒)을 지휘 독전(指揮督戰)하며, 필마단기(匹馬單騎)로 선전 선투(善戰善鬪)하여, 적병(敵兵) 수십 명(數十名)을 격살(擊殺)하던 중에 우완(右腕=오른팔)이 적검(敵劍)에 절단(切斷)되자 좌수(左手)로 장검(長劍)을 휘두르며 호병(胡兵)과 용전(勇戰) 하다가 좌완(左腕)마저 검화(劍禍)를 입고, 불행(不行)하게도 장열(壯烈)하게 순절(殉節) 하셨으니 그날이 1636년(인조 14) 병자(丙子) 12월 27일이다.

 

익년(翌年) 정월(正月) 19일에 경충공(慶忠公-兄)이 전지(戰地)에 가서 혁낭(革囊)을 보고 시신(屍身)을 찾았으나 피상(被傷)이 대심(大甚)하여 목불인견(目不忍見)의 형편(形便)이었다.

 

즉시 수시(收屍)하여 진천군 덕산면 산척리 직촌(鎭川郡 德山面 山尺里 直村)에 안장(安葬)하였다. 인조대왕(仁祖大王)께서 공의 전공(戰功)을 가상(嘉賞)히 여겨 예조참의(禮曺參議-1637년 5월 26일)의 증직(贈職)을 내리고, 영조대왕(英祖大王)께서 1730년(영조 6) 九월에 정려(旌閭)를 명하여 그해 11월 12일에 용인(龍仁) 공세곡 촌전(貢稅谷村前)에 정려(旌閭)를 건립하였다.

 

배(配)는 숙부인(淑夫人) 해주오씨(海州吳氏) 영의정(領議政) 윤겸(允謙)의 여(女)다. 기해(己酉) 1609년(광해 1)5월 7일 생이요. 기(忌-돌아가신 날)는 3월 초 2일이니, 공(公)의 묘(墓)와 쌍분(雙墳)이다.

 

2남(男)을 두었으나 장남(長男) 인섭(寅燮)은 사마(司馬)니 2자(子)가 있고, 차남(次男) 인형(寅炯)은 진사(進士)니 4자(子) 2녀(女)가 있다. 내 외손증(內外孫曾)은 모두 기록(記錄) 하지 못한다.

 

공은 혁혁(赫赫)한 가문(家門)에 탄생(誕生)하여 선조(先祖)의 유훈(遺訓)을 계승 앙양(繼承昻揚)하였도다.

병란 당시(丙亂當時) 국가 존망지추(國家存亡之秋)를 당(當)하여 용감무쌍(勇敢無雙)하게 호적(胡敵)을 격살(擊殺) 하였도다.

구국 애정(救國哀情)의 일념하(一念下)에 적(賊)과 싸운 위적(偉績)에 어느 누가 상탄(賞嘆)치 않으리오. 적세(敵勢-적의 세력)가 강성(强盛)하여 끝내는 장열(壯熱)하게 순절(殉節) 하였도다.

 

만고불변(萬古不變)의 위훈(偉勳)을 세운 전공(戰功)은 충청감사(忠淸監司) 정세규(鄭世規) 일기(日記)와 나만갑(羅萬甲) 일기에 소상(昭詳)하게 기록(記錄)되어 있다. 고의 충절(忠節)은 불후(不朽)의 영명(令名)으로 천추 귀감(千秋龜鑑)으로, 영원(永遠)히 빛나리로다.

 

무오(戊午, 1978) 조하(肇夏-첫여름)

죽산 후인(竹山後人) 안형열(安亨烈) 근찬(謹撰)

--------------------------------------------------------------------------------------------------------------------------------------

[주해]

 

◇합방(合榜) : 합격

◇파천(播遷) : 예전에, 임금이 전쟁이나 난리를 피하여 도성을 떠나는 일을 이르던 말

◇절학(絶壑) : 깎아 세운 듯이 아스라한 골짜기

◇병화(兵禍) : 전쟁이나 난리로 인한 재앙

◇사졸(士卒) : 군인의 옛말.

◇필마단기(匹馬單騎) : 홀로 적진을 향해 나아가는 용사의 모습을 가리키는 말.

◇격살(擊殺) : 무기 따위로 쳐서 죽임

◇우완(右腕) : 오른팔

◇혁낭(革囊) : 가죽으로 지은 주머니

◇피상(被傷) : 상처를 입음

◇대심(大甚) : 크게 심한 것.

◇목불인견(目不忍見) : 눈으로 차마 볼 수 없음

◇수시(收屍) : 시체의 머리와 팔다리를 바로 잡아 두는 일

◇국가 존망지추(國家存亡之秋) : 나라가 그대로 계속 남아 있느냐 없어지느냐의 다급한 때, 또는 사느냐 죽느냐가 판가

   름 나는 절박한 때.

◇구국애정(救國哀情) : 위태롭게 된 나라를 구함을 가엾이 여기는 마음. 또는 구슬픈 심정.

◇위적(偉績) : 위대한 공로.

◇상탄(賞嘆) : 칭찬하고 감탄함 2또는 탄복하여 크게 칭찬함.

◇순절(殉節) : 뜻을 굽히지 않고 그것을 지키기 위하여 죽음.

◇만고불변(萬古不變) : 아무리 오랜 세월이 흘러도 변하지 않음.

◇위훈(偉勳) : 뛰어난 공훈이나 업적.

◇불후(不朽) : 훌륭하여 그 가치가 영원토록 변하거나 없어지지 않는 다는 뜻.

◇영명(令名) : 좋은 명성이나 명예.

◇천추귀감(千秋龜鑑) : 길고 오랜세월 동안 거울삼아 본받을 만한 것.

 

[각주]

◇송자대전-宋時烈  著> 宋子大全卷一百九十八 > 墓表 >藍浦縣監贈參議李君墓表[우암 송시열 찬]

◇丙子日記 -鄭世規 著

◇백호전서(白湖全書/윤휴尹鑴 著)  백호전서 제21권[영의정 오공 윤겸(允謙)의 행장.

◇병자록(丙子錄)-나만갑(羅萬甲) 著

◇남한일기(南漢日記) - 정지호/1636년 12월 27일[丁酉]

◇금천일기(衿川日記) - 이주천

◇풍서집[李敏輔,1720~1799) 시문집>豊墅集卷之十八>謚狀/贈吏曹判書金公[弘翼]謚狀

◇성담집(宋煥箕詩文集)>性潭先生集卷之十九>墓碣/縣監贈判書金公[弘翼]墓碣銘 幷序

◇당시 병자란 때의 尊周節義를 이행한 인물로 최진립 등 26인에 대하여 치제하라는 명이 있었다.

   (『英祖實錄』卷86, 英祖31年 12月 20日 己未).

◇석병집(石屛集-李回寶 著,1594-1669)>石屛先生文集卷之五>[丙子南漢日記]/1913년 간행

◇조선왕조실록[원전34집 691면]> 인조실록>인조 15년 정축(1637년)>5월 26일/비국의 건의로 좌영장   최진

    립 등에게 표창하게 하다.

◇조선왕조실록>영조 31년 을해(1755) 12월 20일(기미)

◇승정원일기>인조>인조 13년 을해(1635년)>11월 24일>이비가 최명길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였다 .

◇승정원일기>고종>고종 4년 정묘>9월 15일 >병자년 등에 전사한 사람의 성명과 사연을 일일이 조사하여 들인다

    는 홍문관의 계.

 

↑소재지 : 충북 진천군 진천읍 산척리 산22-18/진천 숭렬사 앞.

 ↑이재정 경기도 교육감이 선생의 12대 손이기도 하다.

 

 

↑이경선선생 충신문 편액

 

↑이경선선생 충신문 /진천 숭렬사 앞

 

※선생은 신사임당의 외손자이고 조선조 5대 정승의 반열에 오른 추탄 오윤겸 선생의 사위이다.

--------------------------------------------------------------------------------------------------------------------------------------

1636년(인조 14) 1월 1일 남포현감에 부임 재직 중, 그해 12월 9일 청나라 태종(2대) 홍타이지가 이끄는 14만의 대군이 압록강을 넘어 조선을 침략한 병자호란이 발발하자 남포현감 이경선은 충청도 관찰사 정세규가 이끄는 충청근왕병의 참모관으로 참전, 경기도 광주 검천전투(廣州儉川戰鬪)에서 적과 장렬히 싸우다 전사하였다.

 

이듬해인 1637년 5월 26일 예조참의(禮曹參議)에 증직(贈職)되고, 1730년(영조 6년) 11월에 왕명으로 후손들이 살던 오늘날의 용인시 기흥읍 공세리 마을 입구에 충신 정려문이 세워졌었다.

 

그 후 왜정시대 일본의 조선인 정신문화 말살정책에 의거 현판만 겨우 수습하고 소실되고 없어졌던 것을 2005년 11월 진천군에서 공의 묘소 아래, 충신정려를 새로이 건립하고 현판은 12대손인 필자(李在薰)가 원판을 탁본해서 과거 진천중학교 교정에 서있던 천연기념 목인 후박나무로 주문 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