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한시(漢詩)

함경감사 이양구(李養久)를 보내며 -이정구

야촌(1) 2017. 8. 1. 20:19

■ 함경감사 이양구(李養久)를 보내며

    이양구는 벽오 이시발(李時發)의 字임.

 

작자 : 이정구(李廷龜, 1564∼1635/延安人)

 

북관은 근자에 민생이 피폐해졌나니 / 北關比凋瘵
국경의 소요가 아직 그치지 않았어라 / 封疆未蘇息


오랑캐들은 제멋대로 날뛰어 대면서 / 藩羌最充斥
으르렁거리며 틈만 엿보고 있다네 / 狺然窺釁隙


자고로 배반과 복종 번복하는 자는 / 自古乍叛服
방어해야지 별다른 상책이 없거늘 / 禦之無上策


변방의 신하 제멋대로 움직인 것을 / 邊臣欲橫行
조정에서는 멀리서 알기가 어려워 / 廟議難遙度


늙은 장수가 군율을 한번 잃으니 / 老將一失律
전군의 반이 참패를 당하고 말았지 / 全軍半折衄


적과 우리 득실은 대략 비슷하지만 / 得失略相當
왕의 군대로서는 이것이 치욕인 셈 / 王師此爲辱


군대에서 날로 급한 상황 보고하고 / 軍書日報急
병화(兵火)가 오랑캐 사막에서 일어나니 / 磧火連戎漠


나라의 안위가 장수에게 달렸어라 / 安危在付閫
뉘라서 변방의 수비 잘할 수 있을꼬 / 孰能堪鎖鑰


중론이 모두 그대에게로 쏠렸거니와 / 輿情已注意
성상도 본래 그대를 염두에 두셨느니 / 聖算固有屬


생각건대 그대는 문무에 뛰어난 인재 / 惟君文武甚
훤히 빛나는 자태 금옥처럼 빼어나지 / 炯炯秀金玉


나라를 지킬 큰 그릇으로 천거했나니 / 國器方薦砥
국가 위해 일찍이 애쓴 공적이 있어라 / 王家夙勞績


평생에 한 말통 만큼 큰 담을 지니어 / 平生一斗膽
어떠한 위험에도 충성을 다 바쳤으니 / 夷險輸忠赤


오 년 동안 남쪽 번진 맡아 다스릴 제 / 五年鎭南服
우뚝이 서서 강한 도적에 대항하였고 / 屹然強寇敵


서조와 좌할에서 벼슬할 때 / 西曹與左轄
군무(軍務)를 의논하면서 큰 계책 많았어라 / 談兵多石畫


나라 위급할 때 그대가 의당 가야지 / 急難子宜行
지존께서 지금 노심초사하시는 것을 / 至尊方旰食


아득한 저 풍패의 고장에 / 逖矣豐沛鄕
백성들은 가혹한 세금에 시달리니 / 黎民困搥剝


관가로 죄다 실어 보내어 가난하고 / 轉輸府庫貧
전란으로 장정들은 위축된 실정일세 / 瘡痍丁壯蹙


식량 조달에도 방도가 있어야겠지만 / 調糧須有方
병사 점고하는 것 서둘러선 안 되지 / 點兵未宜促


백성 보살피는 것이 온당하게 되면 / 撫摩苟得宜
어질다는 명성이 절로 멀리 퍼지느니 / 仁聲自遠格


쥐새끼처럼 농간 부리는 놈들이야 / 草間狐鼠輩
옳고 그름을 굳이 따져 무엇하리오 / 何須較曲直


기회를 엿보고 적절한 때 움직여 / 相機動以時
일거에 죄다 소탕할 수 있으리 / 一擧可蕩覆


출발하면서 올린 그 상소의 내용 / 臨行上尺疏
하나하나가 모두 지성에서 우러난 것 / 一一皆悃愊


변방 경영할 계책이며 적에 대한 요량이 / 籌邊與料敵
천리 밖에서도 눈에 보듯이 환하였어라 / 千里如在目


아 공은 이미 이러한 식견 얻었으니 / 噫公已得之
응당 배운 학문을 저버리지 않으리 / 應不負所學


남아는 의기를 중히 여기는 법 / 男兒重意氣
늙기 전에 나라 은혜 보답해야지 / 及壯當報國


대궐문 밖에서 한잔 술 권하노니 / 靑門一杯酒
가는 길 아득한 사막으로 이어졌어라 / 別路連沙磧


지는 해가 행차의 깃발을 비추니 / 落日照行旌
이별의 회포는 더욱 서글퍼지누나 / 離懷轉惻惻


어서 가시어 더욱 힘쓰시오 / 行矣更勉旃
이 썩은 선비는 참으로 녹록할 뿐이오 / 腐儒眞碌碌

-------------------------------------------------------------------------------------------------------------------------------------

[주-01] 이양구(李養久)

양구는 이시발(李時發, 1569~1626)의 자이고, 호는 벽오(碧梧)ㆍ후영어은(後穎漁隱)이며, 본관은 경주(慶州)

다.

 

[주-02] 말통만큼 큰 담

삼국 시대 촉(蜀)나라 장수 강유(姜維)가 죽었을 때 보니 담의 크기가 말통만 하였다는 데서 온 말로, 매우 담이 큼

을 뜻한다. 《三國志 卷44 蜀書 姜維傳 註》

 

[주-03] 서조(西曹)

형조(刑曹)와 병조(兵曹)의 별칭인데, 이시발이 병조의 좌랑(佐郞)과 정랑(正郞)을 역임하면서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웠으므로, 여기서는 병조를 가리킨다.

 

[주-04] 좌할(左轄)

좌승(左丞)과 같은 말로, 조선 초기에 삼사(三司)의 종3품 벼슬이었는데, 삼사가 호조(戶曹)에 통합되면서 폐지되

었다. 이시발이 정유재란 때 호조 참의(戶曹參議)로서 명(明)나라 구원병에게 군량을 보급하던 일을 맡았던 것으로

보아 호조 참의를 가리키는 듯하다.

 

[주-05] 풍패(豐沛)의 고장

함경도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선조가 살던 곳이라 하여 한 고조(漢高祖) 유방(劉邦)의 고향인 풍패에 비겨 왕업(王

業)의 발원지로 일컬은 것이다. 함흥(咸興)에 풍패관(豐沛館)이 있다.

 

ⓒ 한국고전번역원 | 이상하(역) |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