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익재 이제현 선생 인물평(益齋 李齊賢先生人物評)
[생졸년] 1287년(충렬왕 13) - 1367년(공민왕 16) / 壽80歲
선생의 초명은 지공(之公). 자(字)는 중사(仲思). 호(號)는 익재(益齋). 실재(實齋). 역옹(櫟翁)으로 고려 사회를 대표하는 정치가이자 학자이다. 문하시중(門下侍中)이라는 고려 최고의 관직 까지 올랐으며, 그가 남긴 주옥 같은 수많은 글과 더불어 해박한 식견은 현재는 물론이고 당시 사회에서 존경 받고 있었다.
그가 활동하던 시기는 100여년 간엔 걸친 무인(武人) 지배로 인한 후유증과 함께 원(元)의 정치적 간섭을 받던 시련의 시기였다. 이제현은 이러한 시기에 수차에 걸쳐서 원을 왕래 하기도 하고 표문(表文>신하가 자신의 생각을 임금에게 적어 올리는 글)을 올려 원의 부당한 내정 간섭을 비판하면서 고려의 주권을 보전하기 위해 갖은 노력을 다한 인물이라 평할 수 있다.
-------------------------------------------------------------------------------------------------------------------------------------
온(溫)하기가 봄바람 같고
담(憺)하기가 청공과 같으며
경(敬)으로써 임금을 섬기고
성(誠)으로써 어버이를 섬기고
붕우(朋友) 동료 간에 화목하며
인아(人我)와 친척 간에 눈을 홀기는 일이 없고
돈과 먹는 것에 관한 말을 하는 일이 없고
장성한 자질이면 손님처럼 대하고
관작이 높으면 비록 여대라 해도 높여 주고
독서하기를 좋아하여 항상 책이 옆에서 떠나지 않았다.
[보기]
◇온(溫) : 따뜻함
◇담(憺) : 편안함
◇경(敬) : 공경함
◇성(誠) : 정성
◇봉우(朋友) : 벗, 친구
◇인아(人我) : 남과 나.
-------------------------------------------------------------------------------------------------------------------------------------
● 탕병용(湯炳龍) 선생이 익재 화상에 찬한 글
[原文]
車書其同。禮樂其東。光岳其鍾。爲人之宗。爲世之雄。爲儒之通。氣正而洪。貌儼而恭。言愼而從。恢恢乎容。溫溫乎融。挺挺乎中。於學則充。於道則隆。於文則豐。存心以忠。臨政以公。輔國以功。命而登庸。瞻而和衷。後而時雍。延祐己未九月望日。北村老民湯炳龍。書于錢塘保和讀易齋。時年七十有九。
[국역]
車書其同。禮樂其東。光岳其鍾。
거서(車書)가 같으매 예악(禮樂)이 동으로 왔고 산악(山岳)의 정기 뭉쳤다네.
爲人之宗。爲世之雄。爲儒之通。
만인(萬人)의 종주(宗主)요. 당세(當世)의 영웅이며 유학(儒學)에 통달했도다.
氣正而洪。貌儼而恭。言愼而從。
그 기품 정직하고도 넓으며 그 풍도 엄연하고도 공순하며 삼가는 그 말씨 순하기도 하여라.
恢恢乎容。溫溫乎融。挺挺乎中。
여유 있는 용모에 온화한 화기며 꿋꿋한 중심일세.
於學則充。於道則隆。於文則豐。
충실한 학문에 도덕 또한 높으며 풍부한 문장이로다.
存心以忠。臨政以公。輔國以功。
마음가짐 충성하며 정치함은 공평하고 국가를 보필하여 공을 세웠네.
命而登庸。瞻而和衷。後而時雍。
명을 받고 등용되어 첨망(瞻望)의 대상으로 화충(和衷)하였고, 시옹(時雍)을 맞추었도다.
延祐己未九月望日。北村老民湯炳龍。書于錢塘保和讀易齋。時年七十有九。
연우 기미년(1319) 구월 십오일에 북촌(北村) 늙은이 탕병룡(湯炳龍)은 칠십구세의 나이로 전당(錢塘) 보화독역재(保和讀易齋)에서 쓰다.
[주01]거서(車書)
문화와 제도가 통일됨을 말한다.《中庸》 28章의 “지금 천하의 수레 제도가 같고, 같은 문자를 사용한다.” 한 데서 인용된 말이다.
[주02]시옹(時雍)
백성이 선정(善政)에 감화하여 풍속이 변화됨을 말한다.《書經 堯典》
-------------------------------------------------------------------------------------------------------------------------------------
● 서애 유성룡(西厓 柳成龍)
[생졸년] 1542년(중종 37) ~ 1607년(선조 40)
유성룡은 이 땅에 자기보다 175년 전 먼저 살다간 익재 이제현을 이렇게 평했다.
「옛 부터 일컫는 이른바 불후(不朽)라는 것에 세 가지가 있으니 덕(德)과 공(功)과 언(言)이 곧 거 것이다.
그러나 덕(德)이 있는 자가 공(功) 까지 갖추기 어렵고, 공이 있는 자가 언(言) 까지 갖추기 어렵다.
고려 500백 년 동안에 세상에 그 이름을 떨친 사람은 많다
그러나 처음부터 끝까지 이 세 가지를 겸비하고 시종(始終)이 일치하며, 높이 솟아 나와서 아무도 그 사실을 부인할 수 없을 만한 사람으로는 오직 이제현 한사람이 있을 뿐이다.」
1600년 경주부(慶州府)에서 벽오 이시발(碧梧 李時發)이 간행한 익재집(益齋集) 서문에서
-------------------------------------------------------------------------------------------------------------------------------------
● 형암 이덕무(炯庵 李德懋)
[생졸년] 1741년(영조 17) ~ 1793년(정조 17)
이제현 사후 374년 뒤에 출생한 형암 이덕무(炯庵 李德懋)도 촌티가 나던 동국(東國)의 시(詩) 작품이 익재 단계에 와서야 비로소 중국에 대해서도 내놓을 만하게 되었다고 평가했다.
-------------------------------------------------------------------------------------------------------------------------------------
● 연암 박지원(燕巖 朴趾源)
[생졸년] 1737년(영조 13) ~ 1805년(순조 5)
연암 박지원(燕巖 朴趾源)도 열하일기(熱河日記)에서 이제현을 높이 칭송했다.
「정말 눈으로 보고, 발로 밟은 곳을 읊은 이는 오직 이제현 한 사람 뿐이다.」
------------------------------------------------------------------------------------------------------------------------------------
● 창강 김택영(滄江 金澤榮)
[생졸년] 1850년(철종 1) ~ 1927년(1927)
우리나라 고문(古文)의 전통과 맥락을 독자적으로 체계화시킨 한말(韓末)의 김택영(金澤榮)은 이제현의 시(詩)를 이렇게 평했다.「공묘청준(工妙淸俊)하고, 만상(萬象)을 구비하여 우리나라 한시 사상 제일의 대가이다.」
'■ 경주이씨 > 익재이제현선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益齋의 著作 (0) | 2008.10.02 |
---|---|
익재(益齋)의 문답 (0) | 2008.09.23 |
鄭瓜亭(정과정) (0) | 2008.09.21 |
[역옹패설] 사람으로 읽는 역사 - 김승룡 교수 (0) | 2008.09.05 |
개성 익재선생유적지 답사일정표 (0) | 2008.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