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재 이제현 21

우정승 문충공 익재 선생 전[17世]

우정승 문충공 익재 선생 전[17世] 이제현(李齊賢)의 자(字)는 중사(仲思)요. 초명은 지공(之公)이니 검교정승 진(瑱)의 아들이다. 충렬왕(忠烈王) 신축(辛丑) 二十七년(1301)에 나이 15세로 성균시에 장원으로 급제하였고, 또 문과 병과에 급제하여 말하기를 이것으로는 족히 나의 배운 것을 다하지 못하겠다하고 드디어 문을 닫고 공자. 맹자. 사마천(司馬遷=漢나라의 문장가) 한유(韓愈)의 글을 읽었다. 읽기를 이미 익숙한 뒤에 붓을 잡고 글을 쓰면 옛날 작자(作者)의 체법(體法)이 있으니 진(瑱)이 기뻐하여 말하기를 우리 가문을 크게 할 사람은 반듯이 이 아이라고 하였다. 무신(戊申) 34년(1308)에 선발되어 예문관과 춘추관에 들어갔고, 기유(己酉) 충선왕(忠宣王) 원년(1309)에 발탁(拔擢) ..

익재공의 고향 경남 김해로 밝혀져

익재 이제현『1287년(충렬왕 13) ~ 1367년(공민왕 16)』의 고향은 경남 김해(金海)로 밝혀져...... ▲경주이씨 익재공파 보은 장산문중이 국립청주박물관에 기탁한 익재공 영정 지금까지 동암 공과 익재공 부자(父子)분의 고향이 알려진 바는 없습니다. 아래 자료를 통해 밝힙니다. 익재(益齋) 문집 연보(年譜)나 어떤 문헌기록에도 익재공이 태어난 곳은 말하지 않고, 김해군(金海君)에 봉했다는 기록만 있을 뿐입니다. 군호(君號)는 고려와 조선시대에 종실(宗室), 외척(外戚), 공신(功臣)에게 준 작호(爵號)인데 이는 왕위의 안전 및 왕권의 확립을 위해 종친이나 외척, 공신을 우대하여 그들에게 명예와 실리(實利)를 부과하여 공(公), 후(侯), 백(伯)의 작호를 주었습니다. 일반적으로 군호는 봉군(封君..

익재 이제현 선생 약사(益齋李齊賢先生略史)

■ 익재 이제현선생약사(益齋 李齊賢先生略史) [생졸년] 1287년(충렬왕 13)∼1367년(공민왕 16) [고려문과] 충렬왕(忠烈王) 27년(1301) 신축(辛丑) 신축방(辛丑榜) 병과(丙科) 1위(4/33) [고려사마] 충렬왕(忠烈王) 27년(1301) 신축(辛丑) 진사시(進士試) 1등(一等) 2위(2/77) --------------------------------------------------------------------------------------------------------- 고려 말의 문신. 학자·, 문인으로 본관은 경주(慶州), 초명은 지공(之公). 자는 중사(仲思), 호는 익재(益齋)· 역옹(櫟翁).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아버지 동암공(東菴公) 진(瑱)은 고려건국의 삼한벽상..

일본 천리대학교 소장 익재공(諱 齊賢) 진영고찰...

일본 천리대학교 소장 익재공(諱 齊賢) 진영과 19世 직장공(諱 養吾)의 따님 정경부인 조반배위 진영고찰. ↑익재 이제현선생 진영(일본 천리대학도서관 소장) ↑정경부인 조반배위 진영(일본 천리대학도서관 소장) ↑정경부인 하연배위상(河演配位像)/일본천리대학도서관소장 실물크기 : 50.1cm x 35cm 一. 머리말 문화재청이 2015년 10월 국회 동북아 역사왜곡대책특별위원회에 보고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문화재가 세계20여 개국에 총160.342점이 국외 소장되어있다고 한다. 이중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소장품만도 67,708점이나 된다고 하니 과히 충격적이다. 그리고 이중 지금까지 미국, 일본 등 10개국에서 9,749점의 문화재가 환수되었다고 조사되고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초상화(肖像畵=..

“도덕의 으뜸, 문학의 최고봉”이제현의 사상

「정치기획특집」 “도덕의 으뜸, 문학의 최고봉”이제현의 사상 [일요신문]1131호] 승인 2016.01.04. 14:04:10 德·功·言 3가지 장점 갖춘 유가적(儒家的) 인물 [일요서울 | 우종철 논설주간] 이제현(李濟賢, 1287~1367)은 ‘자주성을 잃은 고려’라는 미증유(未曾有)의 민족수난기에 일곱 왕(충렬·충선·충숙·충혜·충목·충정·공민왕) 시대를 거치며 네 번이나 시중을 지낸 경륜의 정치인이요, 대학자요, 시인이요, 역사가이다. 본관은 경주, 초명은 지공(之公), 자는 중사(仲思), 호는 익재(益齋)·역옹(櫟翁),실재(實齋),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이제현은 1287년 이진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고려 건국 초의 삼한공신 이금서(李金書)의 후예인 이진은 신흥관료로 크게 출세하여 재상급인 ..

익재 이제현의 저작(著作)

↑보은 장산영당 소장의 익재 영정(충북 유형문화재 제72호) ↑일본 천리대학 소장 이제현의 초상화 고려 후기의 문신이자 유학자인 이제현의 초상화이다. 33살의 이제현이 충선왕과 함께 중국을 유람하던 1319년에 충선왕이 진감여(陳鑑如)라는 원나라 화가를 시켜 그린 것이라 한다. 이제현은 귀국할 때 이 그림을 가져오지 못했다가 21년 후에 우연히 그림을 다시 보게되자 그 감회를 시로 읊었다고 한다. 그림에는 이 시가 그림에 대한 원나라 문장가 탕병룡의 찬과 함께 쓰여 있다. ↑익재집 ■ 역옹패설(翁稗說) ◈저작동기 및 의의 은 고려 말기 문신 이제현이 지은 시화, 잡록 집으로 4권 1책의 목판본이다.고려시대에 이 책이 간행되었을 것으로 추측되나 전하는 것은 없고, 다만 온전한 모습으로 볼 수 있는 것은 萬..

익재집 편찬 및 간행 요약

익재집 편찬 및 간행 요약 익재집(益齋集)은 저자 이제현[李齊賢, 1287년(충렬왕 13)∼1367년(공민왕 16)]의 생전에 막내아들 이창로(李彰路)와 장손 이보림(李寶林)이 편집하고 이색(李穡)의 서(序)를 받아 1363년(공민왕 12)에 처음 간행하였다《초간본》. 그러나 이 초간본은 오늘날 전하지 않는다. 그 후 1432년(세종 14) 세종(世宗)의 명(命)에 의하여 나라에서《역옹패설(櫟翁稗說)》과 함께 강원도 원주(原州)에서 간행하였다《중간본》. 당시 김빈(金鑌)의 발문에 의하면 '간행기구 미면결오(刊行旣久 未免缺誤)' 라고 하여 초간 사실을 추인(追認)하고 있는데 이때, 아울러 초간본에 빠지고 잘못된 부분의 일부를 바로잡은 것으로 보인다. 이 중간본은 현재 일본봉좌문고 조선목록(日本 蓬左文庫 朝..

금천 도산서원(金川道山書院)

■ 금천 도산서원(金川道山書院) [존치기간] 1662년(현종 3)~1868년(고종 5) [소 재 지] 오늘날 황해북도 장풍군 십탄리 서원촌(오늘날 익재공 신도비 위의 산기슭) . [연 혁] 황해도(현재의 황해북도) 금천군에 있던 서원. 1662년(현종 3) 지방유림의 공의로 익재 이제현(益齋 李齊賢)· 이색의 차자인 인재 이종학「麟齋 李鍾學,1361(공민왕 10)~1392(태조 1)」·낙정 조석윤「樂靜 趙錫胤, 1605(선조 38)~1654(효종 5)」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86년(숙종 12)에 ‘道山(도산)’이라는 사액을 받아 선현배향(先賢配享)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었다. 그 후 문헌 고증으로 ..

고려 동암공. 익재공 향사

●16世. 동암공 이진[東菴公 李瑱,1244년(고종 31)∼1321년(충숙왕 8)], ●17世 익재공(益齋公 李齊賢,1287(충렬왕 13)~1367(공민왕 16)] ◇ 일시 : 2013. 05. 05(일) ◇ 장소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근삼리 산51-1 ◇ 참석인원 : 500여명 ↑행사전 산신제향/산신제는 분향은 하질 않습니다. ↑후면에서 찍은 제례상차림 ↑측면에서 촬영한 제례상차림 ↑우리 경주이씨 익재공 집안의 제례 진설법에 따라 조율시이(棗栗枾梨)로 차렸습니다. 즉, 앞줄 맨 좌측부터 대추, 밤, 감, 배, 순으로 차립니다. ↑동암공의 초헌례를 올리는 부산 출신 이필우(李泌雨) 경주이씨 익재공파 대종회장. ↑동암공 초헌례의 대축(大祝)을 독축하는 이희우 축관(祝官). ↑익재공의 초헌례를 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