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직 8

佔畢齋金先生神道碑陰識/墓碣/神道碑銘。

여헌선생속집 제8권 / 비(碑) 갈(碣) 지명(誌銘) ■ 점필재(佔畢齋) 김 선생(金先生) 신도비(神道碑) 음지(陰識) [생졸년] 김종직『金宗直, 1431년(세종 13) ~ 1492년(성종 23)』 장현광(張顯光) 찬(撰) 위의 명문(銘文)과 서(序)는 바로 상공(相公) 홍귀달(洪貴達)이 찬(撰)한 것이다. 선생의 사업(事業)과 문장에 대한 대략이 모두 이 가운데 실려 있으니, 어찌 후인(後人)이 문자(文字)로 번거롭게 덧붙일 것이 있겠는가. 본부(本府)의 사람들이 선생의 덕업(德業)을 흠모하여 옛 마을 앞에 비석을 새겨 세웠는데, 임진년 병란(兵亂)에 보전되지 못하였다. 난리가 평정된 뒤에 고을 사람들은 모두 다시 세울 것을 생각하였으나 여가가 없었는데, 이제 부백(府伯)인 사문(斯文) 이유달(李惟達)..

점필재 김종직 세계도

■ 점필재 김종직 선생 세계도 관향 : 선산김씨(善山金氏) / 一善金氏) 1世 김선궁(金宣弓) 시조공(始祖公) ㅣ 2世 봉술(奉術)--봉문(奉文) ┌──────┘ 3世 흥림(興林)--흥술(興述) ┌──────┘ 4世 성언(成彦) ㅣ 5世 유정 ㅣ 6世 제정(濟正) ㅣ 7世 정용(廷用)--연(衍)--미(美) ┌──────────┘ 8世 지적(之迪)---지영(之塋) ┌──────┘ 9世 용성(用成)--용신(用申)--용여(用呂) ┌─────────────┘ 10世 충의(忠義) ㅣ 13世 광위(光偉) ㅣ 14世 은유(恩宥) ㅣ 15世 관(綰) ㅣ 16世 숙자(叔滋) *관직 : 司藝 강호공(江湖公) ㅣ 谷山韓氏所生 密陽朴氏所生 17世 종보(宗輔)-종익(宗翼)-女(金仲老)-종석(宗碩)-종유(宗裕)-종직(宗直) 문충..

은송정(隱松亭)

고령 은송정(隱松亭)에서 참의공(諱 慶善/藍浦公) 종회개최 혈연의 情은 한결 같고 門中의 연대는 무궁하다. 지난 5월 15일(일) 오전 11시 경북 고령군 쌍림면 합가리 은송정(38世 휘 英雨의 齋室)에서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충청도근왕병의 참모관으로 출전하여 최후의 일각까지 경기도 광주 험천고개(오늘날 경부고속도로 죽전휴계소)에서 청태종의 매부 양굴리의 12만 군사와 격렬히 싸우다 36세에 전사한 참의공(諱 慶善/藍浦縣監/충익공 벽오 시발의 아들)의 문중종회장 재정경기도교육감과, 12대종손 재현 전 대한치과협회장, 차종손 장호(교통대학교수), 재곤부회장, 재근 전 고령농협지부장, 재형 전 고령읍장, 태석고령군화수회장, 명수고령군청장년회장, 필자 등 50여명이 참석한가운데 혈연..

무오당적(戊午黨籍)

■무오당적(戊午黨籍) ●김종직(金宗直) 1431년(세종 13)∼1492년(성종 23) / 향년 62세 김종직의 자는 계온(季溫), 호는 점필재(佔畢齋),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강호(江湖) 숙자(叔滋)의 아들이다. 세조 기묘년에 문과에 오르고 성종(成宗) 때 벼슬이 형조판서에 이르렀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며, 임자년에 죽으니 나이 62세였다. 무오년에 화가 묘(墓: 부관참시를 말함)에 미쳤다. 숙종(肅宗) 때 영의정을 증직하였다. ○ 공이 총각 때 날마다 수만 자(字)를 기억하고 20세 때에는 문명을 크게 떨쳤다. 어세겸(魚世謙)이 공의 시를 보고 찬탄하여, “나는 그의 종 노릇 밖엔 할 수 없다.” 고 까지 말하였다. 계유년에 진사, 기묘년에 문과에 올랐다. 성종(成宗)이 문사들을 뽑았는데 공이 제..

유금강록(遊金剛錄) - 이원(李黿)

■ 유금강록(遊金剛錄) 금강산 유람을 떠나기로 하다. 금강산(金剛山)은 강원도(江原道)의 진산(鎭山)으로, 북쪽으로는 안변(安邊)에 맞닿아 있고, 남쪽으로는 강릉(江陵)에 닿아 있으며, 동쪽으로는 큰 바다에 임하고, 서쪽으로는 춘천(春川)의 경계로 통한다. 흡곡(歙谷), 통천(通川), 고성(固城), 간성(杆城), 회양(淮陽), 금성(金城), 양구(楊口), 낭천(狼川)등 여러 군들이, 동쪽과 서쪽으로 땅을 나누어, 삼백여 리에 뻗쳐있는 내외의 금강산 산록에 들어 있다. 고개를 경계로 삼고, 내외 수참(水站)을 정하여 서쪽을 내산으로 삼고, 동쪽을 외산으로 삼는다. 금강산은 도가와 승려들이 모이는 곳이며, 시인과 문장가가 왕래하며 노닐며 감상하는 곳이다. 나의 먼 조상인 고려 문충공(文忠公) 익재(益齋) 이..

점필재 김종직의 학풍

■ 점필재 김종직의 학풍 김종직은 문장중심· 정치중심인 한당류(漢唐類)의 학풍과, 철학의 이론 부문을 치중하던 송학류(宋學類)의 학풍이 혼합된 시대에 살았다. 이 시기에는 변계량. 윤희. 정인지. 신숙주. 서거정. 양성지(梁誠之)등 많은 거유들이 있었으나, 이들은 순유(醇儒)로 보기 어려운 점도 없지 않다. 김 균(金 鈞). 김 말(金 末). 김 반(金 泮)등의 이른바 경학삼김(經學三金)과 김종직의 부친 김숙자(金叔滋)가 경학에 정통하였다고 하나 이를 뒷받침할만한 문헌이 없어서 그들의 학문과 사상의 깊이를 뚜렷이 알기는 어렵다. 그러나 사림파(士林派)의 거두인 김종직에 대해서는 그의 문집이나 여러 문헌을 통하여 전반에 걸쳐 대체적인 윤곽을 이해할 수 있다. 그의 부친 김숙자는 길재(吉再)의 학풍을 이어받..

점필재 김종직 선생 문적 유품 및 종가문서

점필재 김종직 선생 문적 유품 및 종가문서 / 시호 교지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09호. 수적으로는 『필재당후일기(畢齋堂後日記)』가 있다. 이 책은 김종직이 1482년(성종 13) 11월 1일부터 같은 해 12월 25일까지 기록한 승정원 일기로 44장의 행초로 되어 있다. 문서로는 교지류·서찰·분재기·명문·호구단자·점련문기가 있다. 교지류 로는 교·첩지 28장, 녹패(祿牌) 1장, 증직·증시(贈諡)교지 2장, 김종직의 부인·할머니·증조할머니 증직교지(贈職敎旨) 63장, 김종직 후손교지 83장이다. 서찰로는 1468년(세조 14) 김종직의 어머니, 1470년(성종 1) 김종직의 중형, 1483년 김종직의 전(前) 부인의 것이 있다. 분재기는 1509년(중종 4) 김종직의 계배 남평문씨가 친정 부모로부터 받..

점필재 김종직(佔畢齋 金宗直)

■ 점필재 김종직(佔畢齋 金宗直) [생졸년] 1431년(세종 13)∼1492년(성종 23). [문과] 세조(世祖) 5년 (1459) 기묘(己卯) 식년시(式年試) 정과(丁科) 20위. ---------------------------------------------------------------------------------------------------------------------------------- 김종직(金宗直)은 문장중심· 정치중심인 한당류(漢唐類)의 학풍과, 철학의 이론 부문을 치중하던 송학류(宋學類)의 학풍이 혼합된 시대에 살았다. 이 시기에는 변계량「卞季良, 1369년(공민왕 18)∼1430년(세종 12)」, 윤희· 정인지「鄭麟趾, 1396년(태조 5)∼1478년(성종 9)」.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