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독립운동 26

1910년대 해외 독립운동

[Posted on 5월 22, 2016 by gominheyo] 1910년대 해외 독립운동(만주, 북간도, 북만주, 서간도, 러시아, 중국, 미주, 일본) 1)만주지역 일제의 식민지화 정책이 가시화되는 을사늑약 이후부터 국내에서 활동하던 항일운동자들은 일제의 탄압을 피해 만주의 독립운동기지 경영을 위해서는 가능한 한 많은 한인의 이주가 뒤따라야 하였고, 국내로부터 많은 자금이 공급되어야만 하였다. 아나가 그러한 사업을 효과적으로 추진할 강력한 항일단체도 필요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국외운동은 인적·물적 공급원이 국내에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운동범위가 대국적으로 보면 국내 독립운동의 연장이라 할 수 있었다. 2)북간도지역 국외독립운동기지로 가장 먼저 시도된 곳은 북간도였다. 북간도 지역은 서간도를 포함하여..

건국훈장 대통령장(複章) 추서자

신한촌, 초대성균관관장, 헤이그특사, 李相卨 건국훈장 대통령장(複章) 추서자 강기동(姜基東) 1884 ~ 1911 강무경(姜武景) 1878 ~ 1909 권동진(權東鎭) 1861 ~ 1947 권병덕(權秉悳) 1867 ∼1944. 김경천(金景天) 1888 ~ 1938 김동삼(金東三) 1878 ~ 1937 김상옥(金相玉) 1890 ~ 1923 김성수(金性洙) 1891 ~ 1955 김순애(金淳愛) 1889 ~ 1976 김완규(金完圭) 1876 ~ 1949 김익상(金益相) 1895 ~ 1925 김지섭(金祉燮) 1884 ~ 1928 나석주(羅錫疇) 1892 ~ 1926 나용환(羅龍煥) 1864 ~ 1936 남상덕(南相悳) 1881 ~ 1907 남자현(南慈賢) 1872 ~ 1933 노백린(盧伯麟) 1874 ~ 192..

독립유공자단체현황

■ 국가보훈처 공법단체 현황[2009. 7. 31현재] 구분 단 체 명 설립일자 대표자 회원수 조 직 본 회 지 부 지 회 공 법 단 체 광복회 1973-03-03 김영일 6,642 1 12 13 대한민국상이군경회 1963-08-12 강달신 99,765 1 16 252 대한민국전목군경유족회 1968-08-12 정병옥 49,518 1 16 232 대한민국전목군경미망인회 1963-08-12 유영옥 52,853 1 16 231 대한민국무공수훈자회 1992-04-10 이수희 85,953 1 16 232 재일학도의용군동지회 1989-01-01 김병익 81 1 3 - 4․19민주혁명회 1973-03-03 박윤석 240 1 4 - 4․19혁명희생자유족회 1973-03-03 박정강 142 1 3 - 4․19혁명공로자회..

조국의 독립을 향한 혼불

“조국의 독립을 향한 혼불” 연해주! 이땅은 수많은 애국지사들이 조국의 독립을 위해 혼을 불태운 곳이었습니다. 외교적 노력을 기울이는가 하면 의병을 조직해 일제와 격전을 벌였습니다. 또한 신문 간행을 통하여 대외 홍보전을 이끌며 학교와 각종 단체에서 민족 계몽에도 앞장섰습니다. 3.1만세운동도 연해주에 번진 커다란 등불이었습니다. 그들의 혼을 심지삼아 타올랐던 불꽃은 꺼지지 않은 혼불이 되어, 연해주 땅을 밝히고 있습니다. 출처 : 아시아태평양신학문화연구소> ■ 연해주, 만주, 간도의 지명? 두만강 북쪽이 북간도이고, 압록강 북쪽이 서간도이다. 만주는 원래 지명이 아닌 민족이름입니다. 1635년 청나라의 2대 황제 홍타이지(청 태종)는 '여진'이라 불리던 자기민족을 '만주'라고 부르도록 명합니다. 여진 ..

독립운동의 흔적을 찾아서… ‘슬픈 연해주’

블라디보스톡에 남아 있는 독립운동의 흔적을 찾아서… ‘슬픈 연해주’ BY pichy91 on 2. 2, 2013 연해주, 그 땅은 우리민족에게 수많은 아픔과 애한이 서린 곳이다. 이미 앞에서 이쳐진 땅, 블라디보스톡에서의 우리민족 고구려와 발해가 남긴 유적에 대해 간략히 살펴봤다. 그리고 연해주 이주초기의 역사와 생활상에 대해서도 돌아본 바 있다. 여기서는 조국을 잃고 어쩔 수 없이 블라디보스톡으로 옮겨 독립운동을 할 수밖에 없었던 우리선조들의 활동 상에 대해서 알아보자. ↑블라디보스톡을 근거지로 독립운동을 벌였던 최재형이 당시 살았던 집. 지금은 러시아인이 살고 있으며, 한국정부에서 기념관으로 만들기 위해 구입하려 했으나 거주자가 반대해 성사되지 못했다. ↑최재형의 집이라는 안내문만 붙여, 독립운동의 ..

역사의 흔적은 앞날을 내다보는 희망의 디딤돌

사진 한 장이 열 편의 글보다 낫다 박도 글/ 우담기념관 엮음 이종찬(lsr) 기자 2005-11-08 17:44 l ⓒ OhmyNews 역사의 흔적은 앞날을 내다보는 희망의 디딤돌 ↑박도, 우담기념관 ⓒ2005 눈빛 한 시대 역사는 그 나라와 그 민족의 모든 것을 줄기차게 이어주는 생명의 숨결이다. 한 시대 역사는 그 나라와 그 민족이 지구촌 위에 쏟아낸 땀방울과 피, 삶과 문화가 고스란이 들어 있다. 한 시대 역사는 그 나라와 그 민족이 살아낸 지난 날의 흔적이자 앞날을 내다보는 희망의 디딤돌이다. 한 시대 역사의 기록은 아무나 대충 쓸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더구나 그 누군가의 편향된 잣대에 의해 분명코 피부로 겪었던 역사의 흔적을 적당히 묻어 버리거나, 이리 구부리고 비틀어서도 아니 된다. 또한 ..

「KBS 광복70주년특집방송 자문모임」

한국의 근대수학, 과학, 교육, 독립운동의 선구자, 보재 이상설선생 「KBS 광복70주년특집방송 자문모임」 ◇일시 : : 2015년 5월 22일(금요일) l 장소 : 서울역 T 園 ◇참석자 : 이재훈(보재선생기념사업회부회장), 이상구교수(성균관대수학과), 박성래박사(한국외국어대사하과명 예교수), 이상훈박사(보재선생후원회장), 이창건교수(광운대학교사회과학대학 학장), 이재웅박사(성균 관대학교 전부총장). 이재승박사(미국/포항공대특임교수), 이민원박사(동아역사연구소장), 윤병석박사 (인하대학교사학과명예교수), 박종윤교수, 손용근교수, 박영민교수, 김채식박사, KBS, PD, 작가, 이재 용기념사업회사무국장. --------------------------------------------------------..

이준열사 사인에 대한 신문 기사 자료.

이준열사 사인(李儁烈士死因)에 또 파문(波紋) 동아일보 1956. 07. 09 기사(뉴스) 이준열사 사인(李儁烈士死因)에 또 파문(波紋) 교과서(敎科書)엔 “자연사(自然死)로 명기(明記) 반세기(半世期) 동안의 열사(烈士)는 어디로 민족의 열사로서 근 반세기 동안을 온 겨레의 “존경의적”이 되고 있던 이준(李儁) 열사! 지금으로부터 사십팔년(四十八年) 전인 1907년 7월 14일 “홀렌드”의 수도 “헤이그”에서 “민족혼의 이슬”로 진 이(李)열사의 사인(死因)에 대하여 한동안 학자들에 의하여 구구한 설이 떠돌던차 최근에 이르러서는 일부 역사서적과 학교 교과서에 까지 이(李)열사는 병사하였다는 것을 밝히게 됨으로서 근 오십년(五十年) 동안 전 민족에게 전해지던 사실(史實)이 뒤집어 질듯이 보여지고 있다. ..

第2回 萬國平和會議 提出 控告詞

第2回 萬國平和會議 提出 控告詞 [해설] 이 글은 고종(高宗)의 밀사(密使)로서 1907년 6월 27일자로 네델란드의 수도 헤이그에서 제2회 만국평화회의 의장과 각국 대표 위원들에게 보낸 이상설(李相卨). 이준(李儁). 이위종(李瑋鍾). 서명의 공고사(控告詞)와 그 부속 문서다. 이 글에서 밀사들은 한국에 대한 일제의 침략, 특히 1905년 11월에 늑결(勒結=을사늑약)된 을사오조약의 불법성을 규탄하였으며, 한국의 국권회복을 위한 세계 각국의 협조를 정당히 요구 하였다. 비교적 장문(長文)의 이 글은 역사적으로 일본의 침략상을 조리 있고, 생생하게 표현하였으며, 또한 한국 독립의 정당성을 명백히 밝혔다. 이 글 가운데서 을사오조약 체결 경위에 관한 부분은 이상설선생이 국내에서 직접 겪은 실담(實談)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