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묘지명(墓誌銘)

민사평 묘지명 병서(閔思平 墓誌銘 幷序)

야촌(1) 2017. 11. 6. 18:55

급암집[閔思平]- 묘지명

 

이 묘지명은 찬인 이달충(李達衷)의 문집『제정집(霽亭集)』권3과 『동문선(東文選)』권125에 실려 있으며,1359년(공민왕 8)에 이달충이 지었다.

 

■ 문온공 민사평 묘지명 병서

  (文溫公 閔思平 墓誌銘 幷序

 

고려 고 수성병의협찬 공신 중대광 도 첨의찬성사 상의회의도감사 진현관대제학 지춘추관사 상호군 증시 문온공 민공 묘지명 병서 광록대부 호부상서 한림학사 지제고 이달충이 짓다.[高麗故輸誠秉義協贊功臣重大匡都僉議贊成事商議會議都監事進賢館大提學知春秋館事上護軍贈諡文溫公閔公墓誌銘 幷序 光祿大夫戶部尙書翰林學士知制誥李達衷譔]

 

이달충(李達衷) 撰

 

내가 어려서 대인(大人)선생의 문하에서 배울 때 모시고 담론을 하였는데, 사풍(士風)을 논할 때마다 반드시 ‘어허’ 하고 탄식하며

“지금이 옛날만 못하다.”

라고 하셨다. 나는 ‘완고하셔라, 어찌 꼭 그러하겠는가.’라고 혼자 생각하였는데, 많은 일을 겪은 뒤에야 비로소 그러하다는 것을 믿게 되었다. 선배들의 풍류는 날로 쇠락하여 적막할 뿐 공경하고 본받을 만한 것이 없다.

 

그래서 원로(元老)를 구하고자 하는 마음이 감회에 따라 일어나니 이루 다 탄식할 수 있겠는가. 나는 급암공(及菴公)과 인척간으로 정분이 매우 돈독하였기에 그가 세상을 떠나자 매우 애통해하였다.

 

부인이 묘지명을 지어 줄 것을 거듭 청하시니 감히 비루하다 하여 사양할 수 있겠는가.

공의 휘(諱)는 사평(思平)이요, 자(字)는 탄부(坦夫), 호는 급암(及菴)으로, 충주(忠州) 여흥인(驪興人)이다.

 

고(考)의 휘는 적(頔)이니, 광정대부(匡靖大夫) 밀직사사 진현관대제학 지춘추관사 상호군(密直司使進賢館大提學知春秋館事上護軍)이었고 시호는 문순(文順)이다. 비(妣) 김씨는 선수진국상장군 관고려군만호(宣授鎭國上將軍管高麗軍萬戶) 중대광(重大匡) 상락군(上洛君) 김흔(金忻)의 딸로 영가군부인(永嘉郡夫人)에 봉해졌다.

 

조부의 휘는 종유(宗儒)이니, 중대광(重大匡) 도 첨의찬성사 상호군 판 총 부사(都僉議贊成事上護軍判摠部事)로 치사(致仕)하였고, 시호는 충순(忠順)이다. 증조부의 휘는 황(滉)이니, 조산대부(朝散大夫) 호부 시랑(戶部侍郞)이었다. 

 

대개 선세(先世)에 덕을 베풀고 인(仁)을 널리 펴서 오랫동안 가문을 키워 왔으니, 9대조 휘 칭도(稱道) 봉어공(奉御公) 이하로 대대로 임금을 보필하는 현신(賢臣)들이 있었다. 그 공훈과 업적, 작위와 명성은 성대하여 끊이지 않았거니와 가보(家譜)와 역사책에 실려 있으니 이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기록하지 않는다.

 

공은 원정(元貞) 을미년(1295, 충렬왕 21) 12월 무진(戊辰)일에 태어났다. 다섯 살에 어머니를 여의고 충순공(忠順公)에 의해 양육되었는데, 자질이 뭇사람보다 뛰어나 식견과 도량이 있었다. 태재(大宰) 김 정렬공(金貞烈公)이 평소 사람을 잘 알아본다고 일컬어졌는데, 공을 사위로 삼았다.

 

정렬공은 빈객(賓客)을 좋아하여 당대의 명사들이 그를 좇아 교유하는 이들이 많았는데, 공이 이들을 보고 감발하는 바가 있어 학문이 날로 진보하였다. 임시로 봉선고 판관(奉先庫判官)의 직책을 맡았다가 무관으로 옮겨 산원(散員)이 되고 별장(別將)으로 승진되었지만 무관직을 좋아하지 않아 독서에 더욱 힘을 쏟았다.

 

연우(延祐) 을묘년(1315, 충숙왕 2)에 우리 동암(東菴) 문정공(文定公)이 과거를 주관하여 선발하는 기준이 매우 정밀하니 뽑힌 사람이 정원을 채우지 못했고 선발된 이는 올바르지 않은 이가 없었는데, 공이 이때 합격하였다. 이로부터 10년 동안 공부하며 한가롭게 지냈다.

 

당시에 충숙왕(忠肅王)이 원(元)나라에 오래 머물다가 태정(泰定) 을 축년(1325)에 정식으로 왕위에 올라 고려로 돌아와서 관료들을 신중히 선발하였다. 공은 예문관(藝文館)ㆍ춘추관(春秋館)의 수찬(修撰)에 임명되었다가 좌정언(左正言), 우정언(右正言), 헌납(獻納)을 거쳤는데, 품계에 맞춰 은어대(銀魚袋)와 비삼(緋衫), 금어대(金魚袋)와 자삼(紫衫)을 복식으로 하사받았다.

 

경오 년(1330)에 충혜왕(忠惠王)이 즉위하자 자못 유자(儒者)를 좋아하지 않으니 마음에 신념이 있는 자가 아니면 무관을 본받아 임금에게 아첨하곤 하였다. 공이 이때 군부정랑 예문응교(軍簿正郞藝文應敎)로서 조정에 출입하면서 관료의 인선과 제수를 의논하였는데, 평소의 품행과 지절(志節)이 조금도 변하지 않았다.

 

지순(至順) 임신년(1332)에 충숙왕이 복위하여 관리들의 인사를 매우 분명하게 하자, 공은 위위소윤 지제교(衛尉少尹知製敎) 봉선대부(奉善大夫)의 품계에 제수되었다. 병자년(1336, 충숙왕 복위5) 봉상대부(奉常大夫)의 품계를 받고 판도총랑(版圖摠郞)으로서 경상도 염 철사(慶尙道鹽鐵使)가 되어 나가니 백성들이 편하게 여겼다.

 

전교부령 우문관직제학(典校副令右文館直提學)으로 소환되어 판도총랑에 복직되었고, 관직(館職)은 예문관으로 옮겼다가 성균 좨주(成均祭酒)로 승진하였다.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로 옮기니 품계는 중현대부(中顯大夫)에서 중정대부(中正大夫)로 승차하였다.

 

관직(館職)을 다시 진현관(進賢館)으로 옮겼다가 지방으로 나가 전라도 안렴사(全羅道按廉使)가 되었는데, 치적과 교화가 백성에게 깊이 스며들었다. 조정으로 들어와 성균관 대사성이 되었고 춘추관 수찬관(春秋館修撰官)으로 충원되었으며 정순대부(正順大夫)에서 봉익대부(奉翊大夫)로 승차하였다.

 

지정(至正) 임오년(1342, 충혜왕 복위3)에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로서 성균시(成均試)를 주관하여 김인관(金仁琯) 등 93인을 선발하였다. 갑신년(1344)에 충목왕(忠穆王)이 정권을 잡자 전리판서(典理判書)에 제수되었다가, 감찰대부(監察大夫)로 옮겼다.

 

을유 년(1345, 충목왕 1)에 밀직사(密直司)에 들어가 제학(提學)이 되었고 상호군(上護軍)을 겸직하였으며 부사(副使)와 지사사(知司事)를 역임하였다. 다음 해 여흥군(驪興君)에 봉해졌다. 기축 년(1349, 충정왕1)에 충정왕(忠定王)이 원나라에 입조하자 공이 따라갔다.

 

충정왕이 왕위에 오른 뒤, 그 공로로 인해 첨의참리 예문관대제학 지춘추관사(僉議參理藝文館大提學知春秋館事)를 제수하고 수성병의협찬 공신(輸誠秉義協贊功臣)이라는 칭호를 내렸다. 찬성사 상의회의도감사(贊成事商議會議都監事)로 승진하였다가 벼슬에서 물러나 8년을 한가로이 지냈다.

 

지정(至正) 기해년(1359, 공민왕 8) 65세 되던 해 가을 7월 무신 일에 사저에서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부음이 알려지자 임금이 탄식하고 애도하였으며 문온공(文溫公)이라는 시호를 하사하였다.

 

아아, 공은 대대로 벼슬한 세족가문의 일원으로 사업이 창성하였건만 조금도 자랑하는 빛이 없었다. 성품이 온아(溫雅)하여 친족과 인척(姻戚)을 대할 때는 각박하지 않고 화목하였고 비록 마음에 거슬리는 일이 있더라도 말하지 않으니 거스른 사람이 끝내 부끄러워하고 복종하였다.

 

남과 잘 교유하여 일찍이 졸재(拙齋) 최해(崔瀣) 선생과도 사이가 좋았는데, 선생의 글을 더욱 좋아하여 힘을 다해 문집을 간행하였으니 신의를 존중하고 선(善)을 좋아함이 대부분 이와 같았다. 벼슬자리에서 일을 처리할 때는 기궤한 일을 하지 않고 한결 같이 의리를 좇을 따름이었다.

 

대개 시와 술로 스스로 즐기니 마음이 넓게 툭 트인 군자였다. 공을 통해 보면, 오늘날 선비의 기풍이 반드시 옛날만 못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공이 돌아가신 뒤에는 세상일이 날로 변하니 나도 모르게 ‘어허’ 하고 탄식하며

“지금이 옛날만 못하다.”

라고 말하게 된다. 이것이 내가 대인(大人) 선생의 말씀이 정말 맞다 고 믿게 된 이유이다.

 

딸 하나를 낳았는데 세가(世家)의 자제인 홍복도감 판관(弘福都監判官) 김 앙(金昻)에게 시집보냈다. 외손자가 둘인데 공이 사랑하면서도 가르치고 기르는 데 법도가 있었으니 다 과거에 급제하였다.

 

외손자 김제민(金齊閔)은 덕녕부 주부(德寧府注簿)이고 김제안(金齊顔)은 한림원 직학사(翰林院直學士)이다. 외손녀는 넷인데 큰 손녀는 세가(世家)의 자제인 감문위 참군사(監門衛參軍事) 김사안(金士安)에게 시집갔고 나머지는 모두 어리다.

김제민 형제가 초상을 주관하여 예를 다하였고, 같은 달 경신 일에 대덕산(大德山) 감응사(感應寺) 남쪽 산기슭에 장사 지냈다.

명(銘)은 다음과 같다.

 

공과 같이 넉넉하고 / 如公之裕
공과 같이 순수함은 / 如公之粹
사람들이 흠모하는 바인데 / 人所歆兮
장수하지 못하였고 / 靡底于耇
뒤를 이을 아들이 없으니 / 靡胤厥後
하늘을 믿기 어려워라 / 天難諶兮
아름다운 딸을 두고 / 有女之懿
훌륭한 외손자를 두었으니 / 有甥之美
내 마음에 위로가 되는구나 / 慰我心兮
시에는 감칠맛이 있고 / 詩有旨味
문장에는 고아한 정취가 있어 / 文有高致
나에게 길게 읊조리게 하네 / 俾余長吟兮
중도에 서서 기울지 않고 / 中而不倚
화합하되 부화뇌동하지 않으며 / 群而不類
한결같이 참되게 행동하였네 / 一以忱兮
생각하면 눈에 선하거니와 / 念言宛爾
아아, 다시 볼 수 없구나 / 於乎已矣
세월이 빨리 흘러감을 탄식할 뿐이로다 / 嗟歲月之駸駸兮

 

 

[주01] 이달충(李達衷) : 1309~1385. 고려 말의 유학자이자 문신이다. 본관은 경주(慶州)이고, 자는 지중(止中)이며, 호는 제정(霽亭)이다. 호부 상서로 있던 1353년(공민왕2) 팔관회 때 공민왕의 노여움을 사서 파면되었으나, 얼마 후 밀직제학으로 다시 기용되었다.

 

신돈(辛旽)이 전횡하던 때에 그에게 주색을 일삼는다고 공석에서 직언한 것이 화근이 되어 다시 파면되었다가 신돈이 실각한 뒤 정계에 복귀하였다. 저서로는 《제정집(霽亭集)》이 있다.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주02] 김 정렬공(金貞烈公) : 정렬은 고려 후기 문신인 김륜(金倫, 1277~1348)의 시호이다. 본관은 언양(彦陽)이고, 자는 무기(無己)이며, 호는 죽헌(竹軒)이다. 성격이 강직하고 공정하였으며, 백성을 잘 다스리고 원(元)나라와의 교섭에서 공훈이 많아 좌정승, 부원군에 올랐다.

 

[주03] 동암(東菴) 문정공(文定公) : 이제현(李齊賢)의 아버지 이진(李瑱 1244~1321)을 가리킨다.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삼한공신(三韓功臣) 이금서(李金書)의 후손이다. 자는 온고(溫古), 호는 동암(東庵)이며, 시호는 문정(文定)이다.

 

[주04] 수찬(修撰) : 대본에는 ‘修譔’으로 되어 있는데, 《제정집(霽亭集)》 〈고려……민 공 묘지명(高麗……閔公墓誌銘)〉에 의거하여 ‘譔’을 ‘撰’으로 바로잡아 번역하였다.

 

[주05] 은어대(銀魚袋) : 송(宋)나라 복식 제도에서 연유한 신표의 하나이다. 백관들은 물고기 모양에 관명(官名)과 성명을 기록한 것을 둘로 나누어 왼쪽은 궁궐에 두고, 오른쪽은 관리가 지니고 있다가 궁궐을 출입할 때 합쳐 신분을 확인하는 데 이용하였다. 이때 물고기 모양의 신표를 주머니〔袋〕에 넣고 다녔기 때문에 어대(魚袋)라고 불렀으며, 은어대는 은으로 장식한, 물고기 신표를 담는 주머니를 가리킨다.

 

[주06] 비삼(緋衫) : 당(唐)나라 4색 공복제에서 비롯된 관복의 하나이다. 1~3품은 자색(紫色), 4, 5품은 비색(緋色), 6, 7품은 녹색(綠色), 8, 9품은 청색(靑色)의 관복을 입게 하였다. 여기서의 비삼은 붉은빛의 명주옷을 가리킨다.

 

[주07] 춘추관 수찬관(春秋館修撰官) : 대본에는 ‘春秋修譔’으로 되어 있는데, 《제정집》 〈고려……민공 묘지명〉에 의거하여 ‘譔’을 ‘撰’으로 바로잡아 번역하였다.

-------------------------------------------------------------------------------------------------------------------------------------

 

[原文]

 

高麗故輸誠秉義協贊功臣,重大匡都僉議贊成事,商議會議都監事,進賢館大提學,知春秋館事,上護軍贈諡文溫公閔公墓誌銘 幷序

 

光祿大夫,戶部尙書,翰林學士,知制誥 李達衷 譔。

 

余少游大人先生之門。獲侍話言。每論士風。必歔欷歎息曰。今不如昔。余竊以謂固矣何必爾。旣閱事多。始信其爲然也。前輩風流。日以淪謝。顧寥寥無所矜式。則求舊之懷。隨感而興。可勝歎哉。余於及菴公。深有族姻情好之敦。故其卒。痛悼滋甚。而夫人銘墓之請再至。則敢以陋辭焉。公諱思平。字坦夫。號及菴。忠州驪興人。考諱頔。匡靖大夫,密直司使,進賢館大提學,知春秋館事,上護軍諡文順。妣金氏。宣授鎭國上將軍,管高麗軍萬戶,重大匡,上洛君金忻之女。封永嘉郡夫人。祖諱宗儒。重大匡,都僉議贊成事,上護軍,判摠部事致仕。諡忠順。曾祖諱滉。朝散大夫,戶部侍郞。蓋其先世種德滂仁。培植悠久。自九代祖諱稱道奉御公而下。代有碩輔。其功烈位號。磊落相望。家有譜國有史。略而不書。公生於元貞乙未十二月戊辰。五歲而喪妣。長于忠順。資超然有器度。大宰金貞烈公素號知人。妻公以女。貞烈喜賓客。一時名勝多從之游。因有所觀感。學日進。試補奉先庫判官。轉右列爲散員。加別將。且不樂虎資。讀書益力。延祐乙卯。吾東菴文定公主禮闈。考閱甚精。所取不滿常額。選無匪人。公中之。由是學問優游十年之久。時毅陵久於上國。至泰定乙丑。正位東還。愼簡庶僚。公拜藝文,春秋二修撰。歷左右二正言,獻納。服賜銀緋金紫視其品。庚午。永陵卽位。頗不喜儒。苟非有得於中者。惟虎是效。爲之媚悅。公時以軍簿正郞,藝文應敎。亦出入王府。與議選授。其操守不小變。至順壬申。毅陵復位。大明黜陟。公拜衛尉少尹知製敎。階奉善。丙子。加奉常。以版圖摠郞。出爲慶尙道鹽鐵使。民便之。召以典校副令右文館直提學。復版圖摠郞。館職改藝文進成均祭酒。遷左司議大夫。階以中顯。陞中正。館改進賢。出爲全羅道按廉使。惠化敦洽。入拜成均大司成。充春秋館修譔官。由正順進奉翊。至正壬午。以判典校。掌成均試。取金仁琯等九十三人。甲申。明陵卽政。授典理判書。轉監察大夫。乙酉。入密直爲提學。帶上護軍。歷副使知司事。明年封驪興君。越己丑。聰陵入朝。公從之。旣踐位。以其勞授僉議參理藝文館大提學,知春秋館事。號輸誠秉義協贊功臣,進贊成事,商議會議都監事。退而閑居者八年。至正己亥。年六十五。秋七月戊申。病卒于私第。訃聞。上嗟悼。賜諡曰文溫公。於戲。公奕世衣纓。事業昌熾。未嘗略有矜色。性資溫雅。處親姻雍容敦睦。雖有拂戾。不以爲言。終必赧服。善交游。嘗與拙齋崔先生友善。尤篤喜其文。出力刊行。其敦信樂善類知此。居官處事。不爲崖異。一循義理而已。率以詩酒自娛。坦蕩蕩君子人也。以公觀之。未必士風今不如昔。公旣歿矣。所遇日新。則余亦不覺歔欷歎息曰。今不如昔。此余所以信其大人先生之言爲然也。生一女適世家子弘福都監判官金昂。孫男二人。公愛之。敎養有方。皆登科。曰齊閔。德寧府注簿。曰齊顏。直翰林院。孫女四人。長適世家子監門衛參軍事金士安。餘皆未䈂。齊閔昆季主喪盡禮。是月庚甲。葬于大德山感應寺之南麓。其銘曰。

如公之裕。如公之粹。人所歆兮。靡底于耇。靡胤厥後。天難諶兮。有女之懿。有甥之美。慰我心兮。詩有旨味。文有高致。俾余長吟兮。中而不倚。群而不類。一以忱兮。念言宛爾。於乎已矣。嗟歲月之駸駸兮。 <끝>

 

급암시집 > 及菴詩集墓誌銘 / 墓誌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