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탄 오윤겸선생집(楸灘吳允謙先生集)
◈간행연도 : 1692년
◈판본 : 목판본
◈책수 : 3권 3책(완질)
◈크기 : x 20㎝(가로) x 31㎝(세로)
--------------------------------------------------------------------------------------------------------------------------------------
[편찬 및 간행]
저자는 생전에 저술을 즐기지 않아 본래 유문이 많지 않았는데 遺命으로 인해 문집의 간행을 자제해 오다가 孫 吳道一이 星州 牧使로 나가게 되자 직접 가장초고(家藏草稿)를 3冊으로 편집하고 年譜와 附錄을 합하고 박세채(朴世采)의 발(跋)을 받아 1692년에 星州에서 木板으로 간행하였다. 《초간본》
이 초간본은 규장각(奎4031),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811. 98-오윤겸-추-가) 등에 소장되어 있다.
본서의 저본은 초간본으로 규장각장본인데, 이 중 卷末에 잘못 結冊된 年譜를 본집의 目錄에 따라 바로잡았고 권3의 제27판은 훼손이 심하여 同一本인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장본으로 대체하였다.
[구성과 내용]
본 문집은 年譜, 原集 3권, 附錄 합 2책으로 되어 있다. 권수에는 目錄과 年譜가 있다.
권1은 詩로 詩體別로 나뉘어 있고 다시 各體內에서는 시기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오언절구 15題, 칠언절구 98題, 오언율시 43題, 오언배율 2題, 칠언율시 35題, 오언고시 3題가 실려 있다.
이 중에는 1617년(광해군 9)에 回答使가 되어 日本에 갔다 올 때 지은 詩와 1622년(광해군 14)에 賀登極使가 되어 燕京에 갔다 올 때 지은 詩가 들어 있다. 저자는 文辭에 치력하지 않았다고 하는데 권1의 自序를 보면 그래도 생전에 자신의 글을 어느 정도 정리해두었던 듯하다. 詩題 아래 달려 있는 小註도 내용상 저자의 自註로 보인다.
권2에는 疏 31편, 箚 48편이 실려 있는데, 辭職을 청하는 것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연도순으로 수록되어 있다. 疏 중 〈平康縣陳弊疏〉는 平康 縣監으로 재직할 때 出站을 감당하기 어렵다는 것과 其人의 役이 다른 현에 비해 무겁게 과하여진다는 것, 炮手가 다른 현에 비해 過多하다는 것 등을 진달하고 이러한 폐단으로 인하여 고통 받는 백성들을 구제하여 주기를 주청한 상소이다.
箚 중 〈請進講大學箚〉는 인조 8년 영의정일 때 올린 것으로, 聖人의 학문은 「大學」속에 모두 갖추어져 있으니 마음을 쓰고 일을 조처할 즈음에 이 책에 담겨 있는 뜻을 기준으로 삼고 經筵에서 이 책을 講論하기를 주청한 箚子이다.
권3에는 箚 12편, 啓辭 9편, 議 35편, 呈文 2편, 書 4편, 祭文 6편, 策 1편이 실려 있다. 차자와 계사, 헌의는 권2와 같이 연도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箚 중 〈論祔廟未安箚〉는 元宗大王의 神主를 太廟에 모시는 일이 온당치 않다는 것을 논하여 아뢰고 태묘에 모시는 일을 중지하고 別廟의 제도를 보존하기를 주청한 箚子이다.
啓辭 중 〈辨鄭仁弘誣毁晦齋退溪兩先生啓辭〉는 1611년(광해군 3)에 鄭仁弘이 상차하여 晦齋 李彦迪과 退溪 李滉을 심하게 헐뜯자 동부승지 金尙憲과 함께 올린 것으로 鄭仁弘이 賢人을 誣陷한 것을 논하여 밝힌 啓辭이다.
議 중 〈庶孼通仕路議〉는 서얼에게 벼슬길을 열어 주는 것이 이치에 합당함을 아뢴 것이고, 〈貢物軍政號牌三條議〉, 〈壬戌以上未收雜役蕩滌議〉, 〈庚午年作米議〉, 〈內浦田結不均議〉 등에서는 당시의 실정을 통찰하고 백성들을 이롭게 하려고 한 뜻을 잘 알 수 있다.
呈文 2편은 〈辨誣呈文〉과 〈免宴呈文〉인데, 1622년(광해군 14)에 賀登極使로 명 나라에 갔을 때 올린 것이다. 제문은 〈王子順和君賜祭文〉, 〈祭牛溪先生文〉, 〈祭統制使李公舜臣文〉 등이다.
부록에는 金尙憲이 지은 墓碣銘과 祭文, 〈領議政呈辭時不允批答〉이 실려 있는데, 제문은 〈王世子賜祭文〉과 趙翼, 申翊聖, 李敬輿가 지은 것이다. 끝에는 朴世采의 跋과 孫 吳道一의 後識가 있다.
'■ 보학 > 문집.고서.문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조시산(國朝詩刪) (0) | 2016.05.31 |
---|---|
한국금석문집 (0) | 2016.05.08 |
[국역] 근역서화징(전3권) (0) | 2016.04.20 |
통강록(通講錄) (0) | 2016.03.06 |
옛서화 관련도서 (0) | 2016.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