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뉴스. 기사

40년의 시간여행 추석, 그때를 아시나요?

야촌(1) 2015. 9. 26. 06:43

40년의 시간여행… 추석, 그때를 아시나요?

주말섹션 l 2015.09.26(토) 한상갑 기자

 

 

▲요즘도 그렇지만 명절이면 가족`친구들과 시내로 영화를 보러 가는 일이 가장 즐거운 일 중의

  하나였다. 당시엔 소림권법 위주의 무협, 전쟁영화가 주류를 이루었다. 추석을 맞아 대구 한일

  극장 앞에 몰려든 시민들. 매일신문 DB

 

 

 

한가위는 그저 1년 중 하나의 저녁일 뿐이지만 우리에게 ‘저녁’ 이상의 의미가 담긴 날이다. 

결실의 풍요, 가정의 화목, 조상에 대한 감사와 흥겨운 놀이가 한 저녁 안에 모두 있었다.

 

서울 구로공단에서 새벽 열차로 내려온 동네 형들의 손엔 설탕, 정종병이 들리고, ‘빤타롱 바지’로 한껏 멋을 낸 누나의 손엔 내의, 종합선물세트가 쥐여 있었다. 딱총 연기 자욱한 골목은 막 추석빔으로 갈아입은 아이들의 병정놀이로 부산하고, 손자를 업은 할머니 얼굴엔 세상을 업은 듯 행복한 웃음이 배어났다.

 

마을 뒷동산으로 보름달이 떠오르면 하나둘씩 모인 마을 계집애들은 둥근 대형을 지어 강강술래를 돌았다.

손자의 재롱에 할머니는 바삐 과방(果房)을 드나들고 조카의 춤 자랑에 삼촌은 지갑을 열었다.

 

지금이야 아이패드를 보면서 차례상을 차리고, 마트에서 사온 송편을 올리지만 그래도 명절의 기분은 세대를 넘어 공유된다. 입시에 학원에 지쳐 있는 아이들의 고단한 하루를 안아주는 넉넉한 계절이 있기에 우리에게 추석은 여전히 유효하다.

 

한상갑 기자 arira6@msnet.co.kr

----------------------------------------------------------------------------------------------------------------------------------------------

▲1977월 9월 26일 추석 귀성객으로 인산인해를 이룬 서울역 광장<자료사진>

ⓒ 문화체육관광부한국정책방송원

▲1971년 추석 귀성객 모습. <자료사진> / ⓒ 행정자치부국가기록원

▲1990년 9월 1일 추석 귀성 고속버스 승차권 예매를 위해 많은 시민들이 몰려 장사진을 치고

  예매순서를 기다리고있다. <자료사진>ⓒ 문화체육관광부한국정책방송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