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朝鮮)의 성리학(性理學) 흐름과 당파(黨派)
[1]성리학의 발달
1.성리학의 두 흐름
고려말기의 신진사대부들이 자기역사에 대한성찰과 현실극복의 이념적지표로 삼은 학문적 기반은 성리학이었다.
성리학은 조선의 건국과정에서 사회개혁의 명분을 제공하였다.
조선왕조의 개창이라는 역사적 변화에 대하여, 성리학을 공부하는 지식인들이 모두 찬동한 것은 아니었다. 즉, 개혁의 논리를 내세우면서 적극적인 역성혁명에 참여한 쪽과, 개혁에 소극적이면서 고려왕조에 충성을 표시하는 의리와 명분을 주장하는 쪽의 대립이 있었다.
전자는 정도전(鄭道傳,1342~1398)을 중심으로 하는 혁명파세력으로, 조선왕조 성립이후 정치구도를 세웠으며, 유교국가 운영에 학문적 이론을 제시하였다.
후자는 정몽주(鄭夢周,1338~1392)를 중심으로 하는 정치세력으로, 조선왕조의 건국을 반대하는 유학자들로 구성되어있었다. 이들은 군신간의 충성관계를 강조하는 의리와 명분을 사회 안정의 기틀로 주장하였다.
이들은 정치적 입장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니라, 학문성향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정도전 계통의 유학자 관료들은 사장(詞章)을 중시하였고, 정몽주 계통의 유학자들은 경학(經學 )을 중시하였다.
정도전과 권근(權近, 1352년~1409년)등은 성리학을 정치 지도이념으로 정착시키는 동시에, 사회개혁과 국가운영의 기초로 삼았다. 이들 관학파(官學派)들은 왕권강화와 중앙집권 체제의 정비를 위해 노력하였다.
15세기 중엽의 관학파들은 불교, 도교, 풍수지리, 사랑, 민간신앙 등을 포용하면서 조선왕조의 사회 안정을 추구하였다. 이러한 유교이념에 토대를 둔 정책은 특히, 세종, 세조에 의하여 주조되어, 성균관과 집현전 등을 통해서 수준 높은 근세 문화를 창조하였다.
조선왕조가 건국된 후 일부 사대부들은 왕조의 개창을 유교적 윤리와 의리에 어긋난다고 비판하면서 향촌에 내려가 교육과 향촌건설에 주력하였다.
그들은 대체로 정몽주, 길재(吉再,1353~1419)등에서 김종직(金宗直,1431~1492), 김굉필(金宏弼, 1454~1504)로 그 학통이 이어지는 사림세력이었다.
사학을 통해서 양성된 사림은 성종 때를 전후하여 중앙정계에 활발히 진출하였다. 그리하여 훈구세력과 사림세력사이에 정치적 갈등이 일어났다.
2.성리학(性理學)의 융성
16세기에 이르러 조선의 성리학은 관념적인 이기론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당시의 철학적 조류는 크게 두 계통으로 나뉘는데, 하나는 서경덕(徐敬德, 1489~1546)을 선구자로하면서 경험적 세계를 중요시하는 주기론(主氣論)이며, 다른 하나는 이언적(李彦迪, 1491~1553)을 선구자로하면서 원리적 문제를 중요시하는 주리론(主理論)이다.
이 두 학자의 뒤를 이어 조선 성리학을 대성한 사람은 이황(李滉, 1502~1571)과 이이(李珥, 1537~1584)였다. 이황은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 성학십도(聖學十圖) 등을 지어, 주자의 이기 이원론(理氣二元論)을 더욱 발전시켜 주리철학을 확립하였다.
그의 사상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일본의 성리학발전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주리철학은 대체로 향촌에서 중소 지주적 경제기반을 가진, 생활이 비교적 안정된 사림들이 발전시켜 나갔다.
이들은 경험적 세계의 현실 문제보다는 도덕적 원리에 대한 인식과 그 실천을 중요시하여, 신분질서를 유지하는 도덕규범의 확립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황의 학통은 김성일(金誠一,1538~1593), 유성룡(柳成龍, 1542 ~1607)등의 제자에 의하여 영남학파를 형성하였다.
이이는 주기론의 입장에서 관념적 도덕세계를 중요시하는 동시에, 경험적 현실세계를 존중하는 새로운 철학세계를 수립하였다. 그는 주자와 이황의 이기 이원론에 만족하지 않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일원적인 이기 이원론을 주장하였다. 그는 현실문제의 개혁을 과감히 주장한 경세가(經世家)이기도 하였다.
「동호문답(東湖問答)」, 「성학집요(聖學輯要)」 등은 그의 대표적인 저작들이다.
그의 학통은 조헌(趙憲, 1544~1592), 김장생(金長生, 1548~1631) 등으로 이어져서 기호학파(畿湖學派)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16세기에 이르러 사림(士林)은 성리학을 더욱 발전시켜 심오한 이기철학을 성립시키고, 왕도적 정치철학을 확립하여 정치의 활성화에 공헌하였으나, 지나친 도덕주의로 현실적인 부국강병책에는 소홀하였다.
3.예학(禮學)과 보학(譜學)
성리학의 발달과 함께 왕실위주의 국가 질서 론과 주자가례(朱子家禮)에 대한 학문적 연구로 인하여 예학(禮學)이 발달하게 되었다. 예학은 도덕윤리를 기준으로 하는 형식논리를 중시하였고, 명분중심의 가치를 강조하였다.
사림들이 신분질서의 안정에필요한 의례형식을 중요시함으로써, 상장 제례에 관한 예학이 발달하였다. 가정의 의례는 주자가례를 모범으로 하였는데, 김장생, 정구(鄭逑, 1543~1620) 등이 이를 하나의 학문으로 발전시키면서 이에 관한 많은 저술들이 이루어졌다.
예학(禮學)은 가족과 종족상호간의 상장제례(喪葬祭禮)의 의식을 바로잡고, 유교 주의적 가족제도를 확립하는데 기여한 점도 있으나, 지나치게 형식에 사로잡힌 감도 있고, 또 사림 간에 정쟁의 구실로 이용되는 폐단도 있었다. 또, 사림양반들은 가족과 친족공동체의 유대를 통해서 문벌을 형성하고, 양반으로서 신분적 우위성을 유지하려 하였다.
이러한 필요에서 그들은 족보를 만들어 종족의 내력을 기록하고, 그것을 암기하는 것을 필수적인 교양으로 생각하였다. 이것이 이른바 보학(譜學)이다. 종족내부의 의례를 규제하는 것이 예학이라면, 보학은 종족의 종적인내력과 횡적인 종족 관계를 확인시켜 주는 기능을 하였다.
따라서 족보를 통해서 안으로는 종족내부의 결속을 강화하고, 종가와 방계를 구별하여 위계를 정하였으며, 밖으로는 다른 종족이나 하급신분에 대해서 문벌의 권위를 과시할 수 있었다.
또, 족보는 결혼상대자를 구하거나 붕당(朋黨)을 구별하는데 있어서도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족보의 편찬과 보학은 조선후기의 사회변동 속에서 종족의 사회적 위상을 지키려는 양반들에 의해 더욱 성행하였다.
4.성리학(性理學)
중국 송(宋) ·명(明)나라 때 학자들에 의하여 성립된 학설로서 성명의리지학(性命義理之學)의 줄임말이다.
도학(道學)·이학(理學)·성명학(性命學) 또는 이것을 대성시킨 이의 이름을 따서 정주학(程朱學)이라고도 한다.
유학(儒學)은 중국사상의 주류를 이루는 것으로, 그것이 성립되던 상대(上代)에는 종교나 철학 등으로 분리되지 않은 단순한 도덕사상이었으며, 그 대표적 인물에 공자(孔子, BC 551~BC 479)와 맹자(孟子, BC 371~BC 289)가 있다.
공자는 춘추시대(春秋時代)의 어지러운 사회를 바로잡으려고 천하를 주유(周遊)하면서, 인(仁)과 예(禮)를 설하였으나 뜻대로 되지 않아 고향에 돌아와 육경(六經>詩·書·禮·樂·易·春秋)을 제자에게 가르치며 도리(道理)를 후세에 전하였다.
선진시대(先秦時代)에 이르러 유학은 도덕실천의 학문으로서 크게 일어났으나, 시황제(始皇帝)의 BC 213년과 BC 212년의 분서갱유(焚書坑儒)로 큰 시련을 겪은 다음 한(漢)· 당(唐代)나라 대에는 경전(經典)을 수집·정리하고, 그 자구(字句)에 대한 주(注)와 해석을 주로 하는 소위 훈고학(訓學)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송(宋)·명(明)시대에 이르러 유학은 정치적 또는 종교적 사회체제의 변화에 따라 노불(老佛)사상을 가미하면서 이론적으로 심화되고 철학적인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즉, 북송(北宋)의 정호(程顥, 1032-1085)는 천리(天理)를 논하였고 그 아우 정이(程頤, 1033~1107년))는 ‘성즉이(性卽理)’의 학설을 폈으며, 그 밖에 주돈이(周敦頤, 1017~1073)·장재(張載, 1020~1077)·소옹(邵雍,1011~1077) 등이 여러 학설을 편 것을 남송(南宋)의 주희(朱熹:朱子)가 집대성(集大成)하여 철학의 체계를 세운 것이 성리학으로, 일명 주자학(朱子學)이라고도 한다.
한편, 이와는 달리 육상산(陸象山, 1139~1192)은 ‘심즉이(心卽理)’를 주장하였는데, 이것을 왕양명(王陽明)이 계승하여 육왕학(陸王學)을 정립, 이것 역시 성리학이라 하나 대개의 경우는 성리학이라 하면 주자학을 가리킨다.
성리학은 이(理)·기(氣)의 개념을 구사하면서 우주(宇宙)의 생성(生成)과 구조(構造), 인간 심성(心性)의 구조, 사회에서의 인간의 자세(姿勢) 등에 관하여 깊이 사색함으로써 한(漢)·당(唐)의 훈고학(訓詁學)이 다루지 못하였던 형이상학적(形而上學的)·내성적(內省的)·실천철학적인 여러 분야에서 새로운 유학사상을 수립하였다.
그 내용은 크게 나누어 태극설(太極說)·이기설(理氣說)·심성론(心性論)·성경론(誠敬論)으로 구별할 수 있다.
태극이라는 말은 성리학 이전에도 「주역(周易)」, 「계사전(繫辭傳)」에 나오는데, 그것에 의하면 태극을 만물의 근원, 우주의 본체로 보고 “태극은 양의(兩儀:음양)를 낳고, 양의는 사상(四象)을 낳고, 사상은 팔괘(八卦;건(乾:≤)·태(兌:≥)·이(離:∞)·진(震:″)·손(巽:∴)·감(坎:℃)·간(艮:′)·곤(坤:°)를 낳고 팔괘에서 만물이 생긴다”고 하였다.
이 우주관을 계승하고 여기에 오행설(五行說)을 가하여 새로운 우주관을 수립한 것이 북송의 유학자 주돈이의 「태극도설(太極圖說)」이다. 《태극도설》은 만물 생성의 과정을 ‘태극―음양―오행―만물’로 보고 또 태극의 본체를 ‘무극이태극(無極而太極)’이란 말로 표현하였다.
그 본체는 무성무취(無聲無臭)한 것이므로 이를 무극이라 하는 동시에 우주 만물이 이에 조화(造化)하는 근원이므로 태극이라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주자는 이것을 해석하여 태극 외에 무극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하여, 만일 무극을 빼놓고 태극만을 논한다면 태극이 마치 한 물체처럼 되어서 조화의 근원이 될 수 없고, 반대로 태극을 빼놓고, 무극만을 논한다면 무극이 공허(空虛)가 되어 역시 조화의 근원이 될 수 없다고 하였다.
이같이 무극과 태극은 떼어 생각할 수 없는 것으로, 유(有)가 즉 무(無)이며, 절대적 무는 절대적 유와 동일하다는 것이다. 소옹(邵雍, 1011~1077)은 태극이 곧 도(道)라 하였다.
만물의 근원적 이치가 도 또는 도리(道理)라 한다면 태극은 곧 태초부터 영원까지, 극소에서 극대까지 어디에나 존재하는 이치라 하였으니, 다시 말하면 공간적으로 대 ·소가 있을 수 없고, 시간적으로 장(長) ·단(短)이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여기서 주자는 천지도 하나의 태극이요. 만물 하나하나가 모두 태극이라 하였고, 이 태극에서 음양으로의 이행(移行)은 태극의 동정(動靜)에 의하는 것이며, 동정은 곧 음양의 두 기운을 내포하고 있어, 만물의 근원적인 생성(生成)이 전개된다고 하였다.
성리학의 이기설(理氣說)은 우주 ·인간의 성립 ·구성을 이(理)와 기(氣)의 두 원칙에서 통일적으로 설명하는 이론이다.
이 이·기라는 말은 성리학이 성립되기 이전에도 있었으니, 「역경(易經)」에서는 천지만물을 음양 2기의 활동에서 성립된 것이라 하여, 이기의 개념을 말하였다.
송대에 이르러 주돈이는 그의 「태극도설」에서 모든 근원인 태극이 2기를 낳고, 2기에서 수·화·목·금·토의 5행을 낳고, 5행에서 남·녀가 생겨 거기에서 만물이 화생(化生)하였다고 논하였다.
장재는 우주의 본체를 태허(太虛)라 하였고, 그 작용으로서 음양의 2기가 있어 여기에서 천지만물이 만들어졌다는 기일원론(氣一元論)을 폈으며, 정호도기의 통일체로서의 건원(乾元)을 내세웠으나, 그의 아우 정이는 기의 세계에서 출발하면서도 기와는 별도로 이의 세계를 생각하여 이와 기를 확실히 구별함으로써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의 단서를 열었다.
「역경」에 “일음일양(一陰一陽)을 도(道)라 한다”는 구절이 있는데, 정이(程頤)는 이 도를 ‘음양의 원인이 되는 것이 도(道)’라고 보았다. 즉, 형이상(形而上)의 도를 형이하의 기에서 구별하여 도를 기의 현상(現象) 속에 존재하는 원리로 하여 새로운 우주관을 세운 것이다.
이 도가 곧 이(理)이다. 그러나 이와 기(氣)는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어, 그 어느 것이 빠져도 존재할 수 없다.
이런 의미에서 이(理)·기(氣) 양자는 동시존재이며, 다만 그 질(質)을 달리할 뿐, 경중(輕重)의 차는 없는 것이나, 기는 항상 변화하는데 대하여 이는 법칙성을 지니고 부동(不動)한 것이기 때문에 거기에 자연히 경중이 부여된다. 특히 그것이 윤리(倫理)에 관련될 경우 이러한 경향이 더욱 뚜렷하다.
‘천(天)은 이(理)이다’ ‘마음은 이(理)이다’라고 하는 이면(裏面)에는 이가 법칙적 성격이 부여된데 대하여 기는 항상 물적(物的)인 것, 그리고 자칫하면 이의 발현(發現)을 방해하는 것이라는 해석이 내재하게 된다.
이것을 일방적으로 말하자면 종래의 성선설(性善說)에 명확한 설명을 붙이는 결과가 되었으니, 즉 ‘성은 이이다(性卽理)’라는 입장이 그것이다.
이와 같은 정이의 이기철학은 주자에게로 계승되어 이·기의 성격은 더욱 확연하게 구별되었다. 주자는 이에 ‘소이연(所以然: 존재론적 의미를 가진다)’과 ‘소당연(所當然: 법칙론적 의미를 가진다)’이라는 두 가지 성격을 부여하는 동시에 그것은 기의 내부에 항상 존재하는 것으로 보았다.
기가 형질(形質)을 지니고 운동하는 것에 대하여, 이(理)는 형질도 없고, 운동도 하지 않고, 그 실재는 기를 통하여 관념적으로 파악되는 것이라 하였다. 즉, 기가 형질을 갖고자 할 때, 또는 운동을 일으키려 할 때, 이가 거기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기의 이러한 작용은 전혀 불가능하며, 기의 존재 자체도 불가능해질 수밖에 없다.
그리고 주자는 이것을 윤리에 적용시켰을 때, 이·기에 경중을 두면서도 기를 악(惡)으로만 단정하지 않고, 기의 청탁(淸濁)에 의한 결과에서 선악을 인정하려 하였다.
인간의 신체나 희노애락(喜怒哀樂)의 정(情)은 기에서 성립되고, 그것이 도덕적으로 선(善)한 성(性)은 이(理)가 마음에 내재화(內在化)된 것으로 보았다.
이 이기설은 그 후 오랫동안 철학자들에게 계승되어 윤리적 입장에서 기에 중점을 두느냐, 이에 중점을 두느냐의 차이일 뿐, 우주관 자체는 부동의 것이 되었다. 성리학의 이기설이 우주를 논한 것이라면 심성론(心性論)은 인생에 관한 문제를 다룬 것이다. 인간은 우주 내에 존재하는 것이므로 이기설과 심성론은 상호 관련성을 갖게 된다.
중국 유학에서는 맹자(孟子, 기원전372~기원전289) 이후 인간의 성(性)이 선(善)이냐 악(惡)이냐에 대하여 여러 가지 설이 분규를 거듭하였고 오랫동안 중국 철학의 큰 문제로 되어 왔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 맹자는 성선설(性善說)을 주장하였고, 중국 조(趙)나라의 순자(荀子, BC 300경~230경)는 성악설(性惡說)을 주장하였으나 송(宋)대에 이르러 순자(荀子)의 성악설은 배척되고, 성선설은 당시 새로 대두된 성리학자들에 의하여 다시 의리(義理)의 성과 기질의 성으로 나누어져, 전자는 본래 완전한 선이라 하고, 후자는 기질의 양부(良否)에 따라 선악으로 갈린다는 성리학설이 정립되었다.
즉, 정이(程頤, 1033년~1107년)는 이(理)가 인간에 들어와 성(性)이 되고, 기(氣)는 인간에 들어와 재(才)가 된다고 하였다. 이는 만물의 본체이므로 순선(純善)하고, 따라서 사람의 성은 모두 선하여 악한 것이 없으며, 기에서는 청탁과 정편(正偏)이 있다 하였고, 그 때문에 사람의 재에는 지혜(智慧)와 우둔(愚鈍)이 있고, 현명(賢明)과 불초(不肖)가 있는 것이라 하였다.
정호(程顥, 1032~1085)는 「주역(周易)」을 인용하여 형상(形狀)이 없는 것을 도리(道理)라 하고, 형상이 있는 것은 기(器)라 하여 하늘의 도리는 음 ·양이요, 땅의 도리는 유(柔)·강(剛)이요, 인간의 도리는 인(仁)· 의(義)라 하여, 비록 천·지·인의 삼재(三才)가 음양 ·강유·인의로 다른 것 같으나 도리에 이르러서는 모든 것이 귀일된다고 하였다.
주자(朱子, 1130~1200)는 인간의 심성을 본연지성(本然之性)과 기질지성(氣質之性)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본연지성은 이(理)요, 선(善)이라 하였고, 기질지성은 타고난 기질에 따라 청탁과 정편이 있어 반드시 선한 것만은 아니고, 때로는 악하게도 된다 하였다.
정(情)은 반드시 악한 것만은 아니지만, 때로는 선하지 못할 수도 있으니, 즉 기질을 맑게 타고난 사람은 그 정(情)이 선하게 되지만, 이것을 탁하게 타고난 사람은 그 정(情)이 악하게 된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사람에 따라 청탁·지우(智愚) 등 여러 차별이 있으나, 이 정(情)은 불변이 아니므로 인간의 노력과 수양에 따라 우(愚)가 지(智)로도 변하고 탁함을 청으로 만들 수도 있는 것이니 여기에 인간의 윤리성 및 도덕성이라는 문제가 제기된다. 그리하여 인간이 지켜야 할 규범으로서 성리학자들은 성(誠) ·경(敬)을 공통의 진리로 파악하였다.
인간이 자연의 진리와 진정한 자아(自我)를 추궁하여 근원적 도리에 도달하는 요체로서 주돈이는 이것을 정(靜)에 두었고, 정호는 성(誠)에 두었으며 정이와 주자는 경(敬)에 두었다.
정이는 “수양에는 경이 필요하며 학문의 발전에는 치지(致知)가 중요하다”고 하였으니, 이들 성리학자들의 정(靜)·성(誠)·경(敬)은 필연코 인(仁)과 의(義)로 귀일되는 것이다. 즉, 인·의의 인식 파악은 성·경에 의하여 비로소 가능함을 말하였다.
성리학은 주자(朱子 1130~1200) 생존 시에는 이것을 위학(僞學)이라 하여 박해를 받았으나 송나라 멸망 후 원대(元代)에 이르러 관학(官學)으로 채택되고, 과거(科擧)의 교재로 사용되면서 크게 번성하였다.
청대(淸代)에 이르러 고증학(考證學:實學)이 대두되면서 귀족의 학문이니 실속 없는 공론(空論)이니 하여 배척되었으나 교과 과목으로서의 성리학은 여전히 그 지위가 높았다
한편, 한국에 성리학이 들어온 것은 고려 말기, 충렬왕을 호종하여 원(元)나라에 갔던 안향(安珦)이 「주자전서(朱子全書)」를 가져와 연구하기 시작한데서 비롯되었다.
그 후 성균관의 유학자들에게 수용되어 합리적이고 윤리적인 사상으로서 새로운 학풍을 이루게 되었으며, 그 대표적 인물로서 이색(李穡)· 정몽주(鄭夢周)· 길재(吉再)· 정도전(鄭道傳) 등을 들 수 있다.
이색·정몽주·길재 등은 불교의 폐단을 지적하고 유교를 숭상할 것을 주장하는데 그쳤고, 또 신왕조에 협력하지도 않았으나 정도전·하륜(河崙)·권근(權近) 등의 성리학자는 불교의 폐단뿐만 아니라 교리(敎理) 자체를 논리적으로 변척(辨斥)하는 동시에 이태조를 도와 법전(法典)의 제정과 기본정책의 결정을 통하여 유교를 국시(國是)로 삼는 조선조가 성립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한편 정몽주의 학풍을 이은 길재는 의리학(義理學)의 학통을 세웠고, 그 학통은 김숙자(金叔滋)·김종직(金宗直)·김굉필(金宏弼) 그리고 조광조(趙光祖)로 이어지면서 기묘사화(己卯士禍, 1519 중종 14)·을사사화(乙巳士禍, 1545명종 즉위년) 등의 희생을 겪었으나 도학의 의리정신은 면면히 계승되었다.
그러나 성리학이 전성기를 맞이한 것은 16세기에 들어서였으며, 송대의 성리학이 이 땅에 전래된 지 300년 가까이 되어서였다. 즉, 이때 한국유학의 쌍벽인 이퇴계(李退溪)와 이율곡(李栗谷)이 태어났으며, 서화담(徐花潭)·이항(李恒)·김인후(金麟厚)·기대승(奇大升), 그리고 성혼(成渾) 등도 모두 같은 시대의 성리학자들이다.
그들은 성리학을 우리의 것으로 소화함에 있어 자연이나 우주의 문제보다 인간 내면의 성정(性情)과 도덕적 가치의 문제를 더 추구하였으니, 이퇴계와 기대승 및 이율곡과 성혼의 사단 칠정(四端七情)에 관한 논변(論辨)이 바로 그것이며, 그들은 이 논변을 통하여 ‘이기성정론(理氣性情論)’을 활발히 전개시켰다.
즉, 사단(四端)이란 맹자(孟子)가 실천도덕의 근간으로 삼은 측은지심(惻隱之心)·수오지심(羞惡之心)·사양지심(辭讓之心)·시비지심(是非之心)을 말하며, 칠정(七情)이란 「예기(禮記)」와 「중용(中庸)」에 나오는 희(喜)·노(怒)·애(哀)·구(懼)·애(愛)·오(惡)·욕(慾)을 말한다.
이황은, 4단이란 이(理)에서 나오는 마음이고, 칠정이란 기(氣)에서 나오는 마음이라 하였으며, 인간의 마음은 이와 기를 함께 지니고 있지만, 마음의 작용은 이의 발동으로 생기는 것과 기의 발동으로 생기는 것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즉 선과 악이 섞이지 않은 마음의 작용인 4단은 이의 발동에 속하는 것으로, 이것은 인성(人性)에 있어 본연의 성(性)과 기질(氣質)의 성(性)이 다른 것과 같다고 하여 이른바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하였다. 이황의 이러한 학설은 그 후 학계에 큰 파문을 일으켜 200여 년간에 걸쳐 유명한 사칠변론(四七辯論)을 일으킨 서막이 되었다.
즉 기대승(奇大升)은 이황에게 질문서를 보내어, 이와 기는 관념적으로는 구분할 수 있으나 구체적인 마음의 작용에서는 구분할 수 없다고 주장, 이기공발설(理氣共發說)을 내세웠으며, 이를 다시 이이(李珥)가 뒷받침하여 이기이원론적 일원론(理氣二元論的一元論)을 말하여 이황의 영남학파(嶺南學派)와 이이의 기호학파(畿湖學派)가 대립, 부단한 논쟁이 계속되었다.
이는 마침내 동인(東人)과 서인(西人) 사이에 벌어진 당쟁(黨爭)의 이론적인 근거가 되기에 이르렀다.
한편, 내면적 도덕원리인 인성론(人性論)은 송익필(宋翼弼)·김장생(金長生) 등에 의하여 유교의 행동규범인 예설(禮說)로 발전하였다.
이퇴계와 이율곡에 앞선 서화담은 그 이론이 송나라 장재와 같은 기일원론(氣一元論)이라 할 수 있으니, 곧 “태허(太虛)는 맑고 무형(無形)이나 이름 하여 선천(先天)이라 한다. 그 크기가 바깥이 없으며, 거슬러 올라가도 시작이 없다”고 하며 기(氣)의 본체를 말하였다.
그러나 동시에 화담은 이러한 기 가운데 “갑자기 뛰고 흘연히 열림이 있으니 이것은 누가 시키는 것인가? 저절로 그렇게 되며 또한 그렇게 되지 않을 수 없는 것이 있으니 이것이 곧 이치(理致)가 시간으로 나타남인 것이다”라고 기의 작용을 말하였다. 그리하여 화담은 기라는 것이 모든 존재의 근원이며, 현상으로 존재하는 것은 오직 기만 있을 뿐이라고 보았던 것이다.
이에 반하여 퇴계는 이를 절대적인 것으로 본 학자였다. 그는 정통 정주학의 계통을 따라서 항상 이우위설(理優位說)의 입장을 강력하게 견지하였으며, 이의 구극성(究極性)을 다음과 같이 표현하였다. “무릇 옛날이나 오늘날의 학문과 도술(道術)이 다른 까닭은 오직 이 이를 알기 어렵기 때문이다. …
이것은 지극히 허(虛)하지만 지극히 실(實)하고 지극히 없는 것(無) 같지만 지극하게 있는 것(有)이다. …능히 음양 ·오행 ·만물 ·만사(萬事)의 근본이 되는 것이지만 그 속에 갇혀있는 것이 아니다. 어찌 기와 섞어서 하나가 될 수 있겠는가?” “이것은 만유(萬有)를 명령하는 자리요, 어느 것에서 명령을 받는 것이 아니다”.
퇴계는 이와 기를 엄격히 구별하여 그 혼동을 용납하지 않았다. 그는 태극 또는 이로 표현되는 것을 다름 아닌 인간의 선한 본성의 궁극적 근원으로 보았던 것이다.
성리란 곧 인간의 본성을 이루는 것이며, 인간은 그것을 확충하고 발휘함으로써 인간이 인간된 소임을 다하게 되는 것이라 하였다. 그러므로 그것은 신체적·물질적 조건에서 유래하는 것과는 엄격히 구별하여야 한다고 보았다.
퇴계는 당시에 사화(士禍)가 연달아 일어나서 올바른 선비들이 죽임을 당하는 부조리한 사회현실에서 진실로 선악과 정사(正邪)를 밝히고 올바른 진리를 천명함으로써 사람들이 나아갈 바 표준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퇴계의 이 같은 성리학설은 후세에 깊은 영향을 주었고, 일본으로 전해져 일본유학에 큰 영향을 끼쳤다.
퇴계보다 35년 후에 태어난 이율곡도 퇴계와 마찬가지로 정통 성리학파의 입장을 견지하였다. 그러나 그는 단순히 성리학만을 고수한 것이 아니라 불교와 노장철학(老莊哲學)을 위시한 제자(諸子)의 학설과 양명학(陽明學) 등 여러 학파의 사상도 깊이 연구하였다.
그러면서도 율곡은 유학의 본령(本領)을 들어 그 기본정신에 투철하였으며, 이를 철학적으로 전개하였을 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현실문제에까지 연결시켰던 것이다.
그는 논하기를 “성리학은 형이상학적 성격을 지녔다 하더라도 공자가 가르친 효제충신(孝悌忠信)이라든지 인의(仁義)와 같은 일상적으로 인간이 행할 도리를 떠나서 설명하는 것이 아니다.
개별적인 규범(規範:所當然)만을 알고, 근본원리[所以然]를 알지 못하면 그 행위가 결과적으로 선행(善行)에 합치한다 하더라도 도학이라 말할 수 없는 것이다”라고 하여, 자애(慈愛)와 효도와 충성과 우애라 하더라도 그것을 행하는 이유를 추구하는 의미에서 형이상학이라 할 수 있다고 하였다.
즉, 율곡성리학의 요령은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사실(경험성)에 근거하여 그 까닭을 추구함(논리성)에 있어 논리적인 모순이나 비약을 배제하고 그 본원성(本源性)을 체계적으로 나타내는 철학사상이라 할 수 있다. 율곡은 진정한 학문이란 내적(內的)으로 반드시 인륜(人倫)에 바탕을 둔 덕성(德性)의 함양과 외적으로 물리(物理)에 밝은 경제의 부강(富强)을 겸해야 한다고 하였다.
그는 당시의 피폐한 현실을 역사적 갱장기(更張期)로 파악하고 국방력의 강화, 경제적 부강, 사회정의의 확립 등을 주장하는 동시에 이러한 실리를 주장하다 보면 의리(義理)에 어긋나고 의리를 추궁하다 보면 실리를 망각하기 쉬우므로 이러한 모순을 원만히 타결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즉, 권능(權能)과 의리가 상황에 따라서 창의적으로 그 마땅함[宜]과 알맞음[中]을 얻는다면 의(義)와 이(利)는 그 가운데 융화된다고 하였다.
이상과 같은 퇴계 ·율곡의 성리학은 인간성의 문제를 매우 높은 철학적 수준에서 구명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것이 공허한 관념을 벗어나 역사적 ·사회적인 현실과 연관을 가지고 영향을 주었으며, 후세에 실학사상(實學思想)으로 전개되는 하나의 계기를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성리학파계통도]
안향
ㅣ
정몽주
│
길재
│
김숙자
│
김종직
┎──────────┼────────┒
정여창 김굉필 김일손
└──────────┥
┎────┯─────┼────────┒
이언적 서경덕 조광조 김안국
┖────┸─────┼────────┚
┎────┯────┷────┯────┒
조식 이황 이이 성혼
└────┚ └─────┚
영남학파 기호학파
이후 영남학파(嶺南學派)가 동인(東人)이 되고 기호학파(畿湖學派)가 서인(西人)이 되었다.
동인의 대표적인 인물이 조식, 이황, 유성룡, 이산해, 우성룡 등이 있고. 서인에는 이이와 성혼 등, 기호학파들이다.
하지만 동인은 정철의 세자책봉사건과, 정여립의 모반사건 등을 배경으로, 서인을 강력하게 처벌해야한다는 북인과, 좀 봐주자는 입장의 남인으로 분열하였는데, 1608년 광해군(光海君)이 즉위하자, 대북의 이이첨(李爾瞻), 정인홍(鄭仁弘) 등의 대북정권(大北政權)은 임해군(臨海君)을 살해하고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옹립하여 역모하였다는 이유로 소북의 영수(領首) 류영경(柳永慶)을 죽이고 소북 인사들을 축출하였다.
그리고 대북은 또 계속 왕권에 위협이 되는 '영창대군(永昌大君,1606-1614)과 그 측근들을 제거하고자 하였는데, 때마침 그 계획을 이룰 수 있게 된 사건이 계축옥사(癸丑獄事)이다.
계축옥사는 1613년 박응서(朴應犀)·서양갑(徐羊甲)·심우영(沈友英) 등이 조령(鳥嶺)에서 은(銀) 상인을 죽이고 은 수백 냥을 강탈한 사건이 일어났다. 그 범인 일당은 모두 서얼(庶孼) 출신들로, 자신들을 강변칠우(江邊七友)라 일컫는 무리였다.
그들은 적서 차별을 폐지해 달라는 자신들의 상소가 거부당하자 불만을 품고 전국을 돌아다니며 화적질 등 악행을 일삼던 중 잡혔는데. 대북은 그들에게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옹립하여 역모를 일으키려고 했다'는 허위자백을 시켰고, 결국 그들로부터 '인목왕후(仁穆王后)의 아버지 김제남(金悌男)이 자신들의 우두머리이고 인목왕후도 역모에 가담했다'는 자백을 받아냈다.
또한 사건을 취조하는 동안 김제남과 인목왕후 부녀가 의인왕후(懿仁王后)의 무덤에 무당을 보내 저주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이로 인해 김제남은 사사(賜死)되었고 그의 세 아들 역시 처형당했으며, 영창대군은 폐서인되어 강화도에 유배되고 다.
뿐만 아니라 신흠(申欽)·이항복(李恒福)·이덕형(李德馨)을 비롯한 서인과 남인 세력이 대부분 몰락하고 대북이 정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이 사건이 계축년(癸丑年, 1613년)에 일어났으므로 계축옥사라고 한다.
대북은 계속해서 1617년엔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삭호(削號)하고 서궁(西宮)에 유폐되자 광해군을 폐륜이라 하여 정통성을 부정, 인조반정을 일으키어 성공하게 되고 북인과, 광해군은 몰락하고 이쯤남인은 조용히 서인의 정책을 따른다.
그러나 서인들은 정권을 잡은 후 주전론을 주장하며, 친명 배금 정책을 주장함에 따라. 훗날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이 일어나게 되었고, 효종 때는 북벌론을 주장하게 된다.
현종 때 이러러 1차 예송논쟁(효종의 장례식 3년상을 할것인가 1년상을 할것인가)를 두고 논쟁이 일어났으며, 여기서 1년을 주장한 서인이 이기게 되고. 이후 2차 예송논쟁 때는 효종이 남인의 손을 들어주게 됩니다.
여기까지만 해도, 붕당은 상호 견제와 비판 보완되면서 붕당의 옳은 기능을 잘 활용 하였다고 봅니다. 하지만 이후 숙종 때 부터, 1당 전재화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경신환국 기사환국 갑술환국을 거치면서 경신환국 때 남인이 숙청되고, 남인의 처벌문제를 두고 서인이 강경파의 노론과 온건파의 소론으로 나뉘어지게 되었다.
그러다가 기사환국 때, 남인이 다시 부활하고, 갑술환국 때는 남인이 다시 완전히 몰락하게 된다.
그리고 정권은 소론이 장악하게 되고, 정조 때 이르러 사도사제의 죽음에 애도하는 소론이 시파, 죽는게 맞다는 강경한 입장의 노론이 벽파로 분파되었다.
위의 붕당(朋黨)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기호학파(서인)<───>영남학파(동인)
정여립의 모반사건과 정철의 세자책봉문제로 동인은>남인-북인으로 분열되고
│
┌───────┷───┳────┐
서인 남인 북인
◇서인의 인조반정으로>광해군과 북인몰락
┌───────┴───────┐
서인 남인
◇경신 기사 갑술 환국->남인 몰락 서인->노론 소론 분열
┌─────┳───┴──────┐
노론 소론 남인
◇노론(노장파)>남인에 대한 강경파(대의명분을 존중, 민생안정 강조)
대표적 인물>송시열
◇소론(소장파)>남인에 대한 온건파(실리중시, 북방개척 주장)
대표적인물>윤증
┌───────┴────────┐
벽파(노론계) 시파(소론계)
◇벽파>사도세자의 죽음에 대하여 당연성 주장.
◇시파>사도세자죽음대하여 애도(죽일 일까지는 없다는 생각을 가진 사람들.
이후 정조 때 탕평의 일환으로 수령향약이 시행되고, 정조가 죽은 후 수령향약이 변질되어 세도정치로 이어지게 되었다. 우선 사람들이 파를 나누어 당쟁을 한 것은 성종시대 사림파와 훈, 척세력에서 시작하였는데, 사림파는 성리학을 전공하며 유교사상을 나타내고. 나중에 동인이니 서인이니 다 사림파에서 분열된 것이다.
훈, 척세력이란. 훈구, 척신세력을 뜻하는 말로서 훈구란 세조 때 공을 세운 공신파고 척신은 왕의 종친과 척신들을 말한다.
5. 다시 붕당((朋黨)의 요체를 설명하면
◇사림파(士林派)
거두 : 김종직(金宗直, 1431-1492)
사림파란 훈, 척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성종이 끌어들인 파로써 훈구, 척신 세력을 비난하며 선비정신이 강한사람들의 집단이다.
◇훈구파(勳舊派)
단종의 폐위사건 때 공을 세운사람들의 집단으로서, 이때부터 권력을 독차지 하였으며 권력을 남용하였다.
이후 훈구세력이 사라지면서 사림파는 또 두 파로 나뉘게 되는데, 즉 동인 서인이다
◇동인의 거두 : 이황(李滉), 조식(曺植)
이후 이황 , 조식의 사상을 따르는 문파(영남학파)
◇서인의 거두 : 이이(李珥), 성혼(成渾)
이이 , 성혼의 사상을 따르는 문파(기호학파)
그리고 나중에 선조 때 서인파의 수장을 맡고 있던 정철을 계략을 써서 파직, 유배시키면서 처벌에 대해 동인은 둘로 또 나누어지게 되는데. 북인 남인이다.
◇북인(北人)
과격파, 유배된 정철을 죽여야 한다는 생각을 가진파
거두 : 이산해
◇남인(南人)
온건파, 정철을 죽일 필요까진 없다는 생각을 가저었다
거두 : 유성룡
나중에 광해군 때 북인은 또 소북과 대북으로 나 뉘어 진다.
◇대북(大北)
광해군 지지파
거두 : 이이첨, 정인홍 등
◇소북(小北)
광해군 반대파(영창대군지지파)
거두 : 유영경 등
인조반정으로 정권을 잡은 서인은 정책의 수립과 상대 붕당의 탄압과정에서 노장세력과 신진세력 간에 갈등이
깊어지면서 노론과 소론으로 나누어진다.
◇노론(老論)
노장파, 남인에 대한 강경파. 대의명분 존중, 민생 안정 강조
송시열이 대표적임
◇소론(少論)
소장파. 남인에 대한 온건파. 실리 중시, 적극적 북방개척 주장
윤증이 대표적임
나중에 사도세자가 죽자, 노론은 또 다시 분열된 것이 벽파와 시파이다
◇벽파(僻派)
사도세자 죽음이 당연하다는 생각을 가진파.
◇시파(時派)
사도세자 죽음을 애도하면서 그럴 것 까진 없었다는 생각을 가진파. 이때 힘이 약했던 남인, 소론도 시파에 가담했다. <끝>
'■ 역사 > 학맥.붕당.혼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향(安珦) 문하의 6군자(六君子) (0) | 2016.08.03 |
---|---|
청주 사림의 학맥과 서계 이득윤과의 관계에 대한연구 (0) | 2015.12.18 |
대리청정 요구 노론에 소론 중용으로 ‘반격의 칼’ (0) | 2010.09.17 |
세자 바꾸려 한 노론 대리청정 덫을 놓다. (0) | 2010.09.16 |
「權道의 말단」정치공작, 당쟁의 피바람 키웠다 (0) | 2010.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