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북한관련

개성시와 송악산

야촌(1) 2015. 2. 5. 15:21

 

↑마을 뒷편 멀리 보이는 산이 개성 송악산이다.

 

개성 송악산(松岳山)

 

개성의 송악산은 개성시와 개풍군 경계에 있는 산으로. 해발 490m이다. 예로부터 소나무가 많다고 하여 송악산이라 하였다. 기반암은 주로 중생대 화강암으로 되어 있다. 아호비령산(阿虎飛嶺山) 줄기의 남쪽 끝에 솟아 있는데, 산줄기는 동쪽과 남쪽으로 뻗어 있고 북동쪽과 남동쪽 경사면에 많은 골짜기들이 형성되어 있다. 산꼭대기의 남쪽 경사면은 날카로운 바위들로 되어 있다.

 

곳곳에 여러 가지 모양을 가진 화강암의 기암절벽들이 있어 풍치가 아름답고 웅장한 감을 준다. 남쪽 경사면의 물매는 급하나 그 밖의 경사면의 물매는 느리다. 토양은 대부분이 갈색산림토양이며 그 두께는 남쪽 경사면에서 30~50cm, 그 밖의 경사면에서는 30~60cm이다. 산의 남쪽 경사면에는 주로 소나무와 아까시나무 · 메타세쿼이아 · 잣나무 등이, 그 밖의 경사면에는 참나무 · 굴참나무 · 상수리나무 등이 분포되어 있으며 그 아래로 족도리풀, 삽주, 도라지, 고사리 등이 자라고 있다.

 

서쪽 기슭으로는 예성강의 지류인 죽배천(竹白川)이 흐르며 동쪽 능선 끝에는 송도저수지가 있다. 크낙새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 산에 소나무가 많은 것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고려 태조의 조상인 성골장군(聖骨將軍)의 아들 강충(康忠)이 송악산 동북쪽의 오관산 아래에서 살았다고 한다. 신라의 감간(監干 : 벼슬이름) 팔원이라는 사람이 풍수에 관한 방술을 잘 알았는데 마침 부소군(扶蘇郡 : 지금의 개성시)에 왔었다.

 

팔원은 부소산(송악산)의 형세는 좋으나 나무가 없는 것이 약점이니 강충에게 만일 부소군을 부소산의 남쪽으로 옮기고 소나무를 심어 바위가 보이지 않게 하면 거기서 삼한을 통일시킬 자가 나올 것이라고 하였다. 그리하여 강충은 군사들과 함께 송악산 남쪽으로 마을을 옮기고 온 산에 소나무를 심었는데, 그때부터 이 산에 소나무가 많아졌다고 한다. 송악산은 부소산(소나무산의 고어), 곡령, 신숭, 숭산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렸다. 백제시기에는 청목산(靑木山)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개성 한옥마을

 

 

松都(송도)는 高麗朝(고려조)의 王都(왕도)다. 고려 太祖(태조)가 都邑(도읍)하면서 처음에는 開州(개주)라고 했다가 뒤에 開京(개경), 開城(개성)이라 했다. 송도는 松嶽山(송악산)이 있기에 부른 이름이다.

 

고려 때 金富軾(김부식:1075-1151)은 송도의 서호(서강,벽란도)에 있던 甘露寺(감로사)를 두고 시를 지었다. 이 절은 문종, 인종, 예종 때 세도가인 李子淵(이자연) 원나라 潤州(윤주)의 감로사를 보고 樓閣(누각)과 연못 樓臺(누대)를 본떠서 만든 것이다. 인종 비가 중창해서 원찰로 삼아 의종, 명종, 신종을 낳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