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의 기초
■ 나경패철로 방위를 측정하는 방법
●정반정침(正盤正針)
묘지나 택지 또는 건물의 측정하고자 하는 곳에 먼저 나경패철을 수평으로 놓는다. 그 다음에 자침이 자오선(子午線)과 일치하도록 조절한다. 보통 나경패철의 자침은 북쪽을 가리키는 곳에 구멍을 뚫어 놓았거나, 빨강 색으로 칠해 놓았다.
또 자오선에 선을 그려 놓아 자침을 일치시키는데 편리하도록 하였다. 자침의 구멍 뚫린 부분이 4층 자(子, 정북)의 중앙에, 반대쪽은 4층 오(午, 정남)의 중앙에 일치시키는 것을 나경패철의 정반정침(正盤正針)이라고 한다.
●측정방법 (測定方法)
1) 음택지의 측정
묘지에서의 측정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경우로 나뉜다. 기존의 묘가 있는 곳에서는 묘 앞이나 상석 중앙에 나경
패철을 정반정침 한다. 새로운 자리는 묘지의 혈심처 중앙에 정반정침한다. 이법(理法)에 따라 4층 지반정침 또
는 8층 천반봉침으로 묘의 좌향(坐向)을 측정한다.
6층 인반중침으로는 주변에 있는 산[사격]의 방위를 측정한다. 8층 천반봉침으로는 득수처(得水處)와 수구(水
口), 저수지, 호수 등 물의 방위를 측정한다. 용맥의 측정은 먼저 묘 뒤 입수도두 중앙에 나경패철을 정반정침한
다.
그 다음 4층 지반정침으로 용이 내려오는 쪽을 보고, 용이 변화한 지점의 방위를 측정한다. 이것이 입수1절룡이
며 보통 입수룡(入首龍)이라고 한다. 입수2절룡은 1절룡의 변화지점으로 옮겨, 다시 나경패철을 정반정침한다.
그리고 내려오는 용이 변화하는 지점의 방위를 측정한다. 입수3절룡, 입수4절룡 등도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면 된
다. 주말 즐겁게 보내세요. 이법론에서 제일 많이 응용되는 부분은 입수1절룡이다. 그러므로 입수1절룡의 정확한
측정이 제일 중요하다고 하겠다.
2) 양택의 측정
양택의 측정은 대지 중심점 혹은 건물의 중앙에 나경패철을 정반정침한다. 다음 대지와 건물의 형평을 참작하
여 기두(起頭)를 설정한다. 기두는 단독 주택의 경우 건물의 무게 중심처다. 아파트나 사무실 등은 현관문이나
출입문이 된다.
나경패철을 정반정침한 곳에서 기두의 방위를 4층 지반정침으로 측정한다. 그리고 대문, 방, 거실, 부엌, 수도, 하
수구, 화장실 등의 방위를 측정한다. 그 다음 가상법칙(家相法則)에 의해서 각 방위의 길흉화복을 판단한다. 양택
에서 방위측정은 4층 지반정침만을 사용한다. 이때 24방위를 3방위씩 나눈 팔괘방위가 기본 단위가 된다.
●각 층별 용도
(1) 제1층 팔요황천살(八曜黃泉殺)
나경패철의 1층에는 진(辰), 인(寅), 신(申), 유(酉), 해(亥), 묘(卯), 사(巳), 오(午) 8칸으로 나누어 표시되어 있
다. 이 8방향은 4층 지반정침의 방위에 대한 황천살(黃泉殺)을 뜻하는 것으로, 1층으로 방위를 측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4층에 있는 임자계(壬子癸) 3방위의 1층에는 진(辰)이 표시되어 있다. 임자계(壬子癸) 3방위는 진
(辰) 방향으로부터 팔요황천살을 받는다는 표시다. 팔요황천살은 악살 중에서도 가장 흉한 살이다. 죽음과 파
멸을 뜻하므로 장사 지낼 때 반드시 피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사람이 다치고 재산이 망하는 인상손재(人傷
損財)를 당할 수 있다.
옛 글에서도 ‘살요위제악지수(煞曜爲諸惡之首) 조장최기(造葬最忌)’라 하여 팔요황천살은 모든 악살 중에서도
으뜸이므로 조장 때 제일 먼저 피해야 한다고 하였다. 팔요황천살은 입수룡의 오행을 향의 오행이 극하면 용상팔
살(龍上八煞)이다.
입수룡의 오행을 물의 방위오행이 극하면 황천수(黃泉水)가 된다. 입수룡의 오행을 바람의 방위오행이 극하면
황천풍(黃泉風)이 된다.
험한 골짜기가 있거나 주변 산이 요함(凹陷)하여 그곳으로 바람이 불어오면 황천 방위가 된다. 장사를 지내는데
날짜 일진(日辰)의 오행이 묘좌(墓坐) 오행을 극하면 황천일(黃泉日)이 된다.
황천살이 되는 이유는 4층에 표시된 3방위의 팔괘(八卦)오행을 1층에서 지시한 지지(地支)오행이 동음양(同陰
陽)으로 극(剋)하기 때문이다. 육친법(六親法)으로는 편관(偏官) 또는 관살(官煞)이라고 한다.
○용상팔살(龍上八殺)
혈의 향(向) 오행이 입수룡(入首龍=입수1절룡)의 오행을 극(剋)하는 것.
<예1>
입수1절룡을 나경패철 4층 지반정침으로 측정하니 임자계(壬子癸) 3방위 중 하나로 감룡(坎龍)이었다. 이때는 묘의 좌향을 술좌진향(戌坐辰向)이나 진좌술향(辰坐戌向)을 못 놓는다. 감(坎) 입수룡은 진(辰)향이나 술(戌)향의 황천살을 받기 때문이다.
○황천수(黃泉水)
물이 있는 방위의 오행이 입수룡의 오행을 극하는 것을 말한다. 물은 8층 천반봉침으로 측정한다. 황천수는 혈을
향하여 들어오는 내수(來水) 즉 득수(得水)와 혈에서 보이는 호수나 저수지 물을 본다. 물이 나가는 파구(破口)
의 방위는 상관하지 않는다.
<예1>
입수1절룡을 나경패철 4층 지반정침으로 측정하니 축간인(丑艮寅) 3방향 중 하나로 간룡(艮龍)이다. 물이
들어오는 득수처나 물이 보이는 저수지의 방위를 나경패철의 8층 천반봉침으로 측정하니 인(寅) 방위였다
면 황천수로 사람이 상하고 재산이 망할 염려가 있다.
○황천풍 (黃泉風)
혈 주위가 움푹 꺼지거나 골이 있으면 직사곡풍(直射谷風)이 불어 매우 흉하다. 더욱이 그 방위가 황천방에 있으
면 필시 사람이 상하거나 재산이 망할 흉사를 당한다. 사격은 6층 인반중침으로 측정한다.
<예1>
입수1절룡을 4층 지반정침으로 측정하니 경유신(庚酉辛) 3방향 중 하나였고, 6층 인반 정침으로 움푹 파인 곳이
나 혈을 향하여 있는 골짜기를 측정하니 사(巳) 방위에 있다면 움푹 파인 곳이나 골짜기에서 불어오는 바람은 황
천풍이 되어 매우 흉하다.
○황천일(黃泉日)
이장을 비롯해서 장사 일을 하는데 날짜인 일진(日辰)의 오행이 묘의 좌(坐)의 오행을 극하면 황천일이 된다.
<예1>
묘의 좌향을 4층 지반정침으로 측정하니 임좌병향(壬坐丙向), 자좌오향(子坐午向), 계좌정향(癸坐丁向) 중 하
나라면, 진일(辰日 : 甲辰, 丙辰, 戊辰, 庚辰, 壬辰)이나 술일(戌日 : 戊戌, 庚戌, 壬戌, 甲戌, 丙戌)에 장사 지내
면 황천일이 되어 흉하다.
(2) 제2층 팔로사로황천살(八路四路黃泉殺)
나경패철의 1층은 입수룡에 대한 황천살의 방위 표시였다면, 2층은 향(向)에 대한 황천살의 방위를 표시한 것이
다. 나경패철 2층은 모두 24칸으로 나누어져 있으나 황천살을 가르치는 글자가 쓰여있는 곳은 12곳이다.
4층 지반정침을 기준으로 지지자 위에는 공란으로 되어 있다. 8개의 천간자 위에는 한 개의 방위가 표시되어 있
다. 4개의 사유(四維 : 乾, 艮, 巽, 坤) 위에는 2개의 방위가 표시되어 있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천간자 위에는 1개의 사유(四維) 방위가 표시되어 있다. 반면 사유자 위에는 2개의 천간
자 방위가 표시되어 있다. 팔로사로(八路四路)라 함은 8천간(天干)과 4유(維)를 뜻한다. 향의 좌측이나 우측
으로 지지자를한 칸 건넌 방위를 나타내고 있다.
팔로사로 황천살은 향을 기준으로 한다. 즉 4층 지반정침으로 좌향(坐向)을 결정했으면 4층 향 위에 있는 2층의
표시된 방위가 팔로사로황천살이다. 예를 들어 4층 지반정침으로 측정한 임좌병향(壬坐丙向)의 혈이 있다고
할 때, 4층병(丙) 위의 2층에는 손(巽)이 표시되어 있다.
이 말은 8층 천반봉침으로 측정한 결과 손(巽) 방향에 물이 들어오거나, 나가거나 또는 저수지나 연못이 있으면
팔로사로황천살을 받는다는 뜻이다. 그런데 24방위 중 12지지자(地支字)에는 2층이 빈칸으로 되어 있다.
때문에 팔로사로황천살이 없는 것 같아도 천간(天干)과 지지(地支)가 합쳐 쌍산배합(雙山配合)이 되므로, 지
지자도 같은 방향의 팔로사로황천살을 받는다.
(3) 제3층 오행(五行)
3층은 모두 24칸으로 나누어졌으나 목(木), 화(火), 금(金), 수(水) 오행은 4층의 12지지자(地支字) 위에만 표시
되었다. 오행이라 함은 우주만상의 기본적 작용 이법이다. 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 5가지이나 토는 중앙을 나
타내므로 빠져있다.
나경패철의 3층은 삼합오행(三合五行)으로 배치되어 있다. 삼합이란 목국(木局), 화국(火局), 금국(金局), 수국
(水局)의 생궁(生宮), 왕궁(旺宮), 묘궁(墓宮)을 말한다. 천지만물(天地萬物)은 생노병사(生老病死)의 순환과
정을 거치는데 이를 12단계로 나눈 것이 12포태법(十二胞胎法)이다.
이를 인생에 비유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오행의 응용은 좌를 기준으로 하여 혈의 발복방법, 발복대
상, 발복연대 등을 추정하는데 사용한다. 예를 들어보자.
<예1>
해묘미(亥卯未) 좌의 기본오행의 특성은 목(木)이다. 목 오행에 관련된 직업이나 사업으로 흥하거나 망할 수 있
다. 3년이나 8년 혹은 3대나 8대 후에 발복한다. 특히 해묘미(亥卯未)생 자손에게 해묘미(亥卯未) 년에 발복이
나타난다.
(4) 제4층 지반정침(地盤正針)
4층 지반정침은 천지의 방위를 나타내는 기본 층이다. 글자가 제일 크고 굵으며 24방위가 표시되어 있다.
4층 지반정침은 첫째 24방위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는데 사용한다.
둘째 입수룡을 비롯하여 용의 방위를 측정하는데 사용한다.
셋째 혈의 좌향(坐向)을 측정한다.
넷째 양택 가상(家相)의 방위 측정을 하는데 사용한다.
나경패철의 모든 층은 4층 지반정침을 기준으로 하여 용도에 따라 분획(分劃)한 것들이다. 지반정침의 24방위는
12지지(十二地支 :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와 10천간중 중앙 토인 무(戊)와 기(己)를 제외
한 8천간(甲, 乙, 丙, 丁, 庚, 辛, 壬, 癸)과 4유(四維 : 乾, 坤, 艮, 巽)을 합하여 이루어졌다.
(5) 천산72룡(穿山七十二龍)
나경패철의 5층은 천산72룡이다. 4층 지반정침의 24방위를 각각 3칸으로 나누어 모두 72칸으로 되어 있다. 1칸
은 5도씩이다. 4층 지반정침 지지자 밑에는 3룡씩 60갑자(甲子)가 등재되어 있다. 8천간과 4유자 아래 중앙은
공칸으로 되어 있고, 좌우 양쪽에 2룡씩 갑자가 등재되어 있다. 모두 60갑자와 12개의 공란을 합쳐 72룡이라 한
다.
천산(穿山)이란 주산으로부터 혈 뒤 입수도두(入首倒頭)까지 내려오는 용맥을 더욱 세분하여 용의 생기가 어느
맥을 뚫고 오는가를 가늠하는 것이다. 세분한 용맥이 모두 72개이므로 천산72룡(穿山七十二龍)이라고 한것이
다.
천산72룡은 용의 중심맥을 말한다. 예를 들어 용을 4층 지반정침으로 측정하니 자(子)룡 이었다면, 자룡(子龍)
중에서도 중심으로 오는 맥은 병자(丙子), 무자(戊子), 경자(庚子)로 더욱 세분된다. 이중 중심맥은 어디에 해당
되며, 이것들의 길흉화복은 어떠한지를 살피는 것이 천산72룡을 측정하는 목적이다.
천산72룡의 측정은 용의 특성이 가장 잘 나타나는 과협처(過峽處)나 결인속기처(結咽束氣處)에서 한다. 이곳
의 제일 높은 지점에 나경패철을 정반정침하고 4층 지반정침으로 용맥을 살핀다. 그 다음 중심으로 오는 맥을 5
층 천산72룡으로 정확하게 측정한다.
중심맥이 60갑자중 병자순(丙子旬)이나 경자순(庚子旬)으로 들어오면 왕상맥(旺相脈)으로 매우 길한 용맥이
된다. 갑자순(甲子旬)과 임자순(壬子旬)은 고허맥(孤虛脈)으로 소길다흉(小吉多凶)한 용맥이다. 무자순(戊子
旬)은 패기맥(敗氣脈)으로 매우 흉(凶)하다. 공칸은 공망맥(空亡脈)으로 더욱 흉하다.
[천산72룡(穿山七十二龍)을 나경패철에서 쉽게 찾아보는 법]
○4층 지반정침에서 지지자(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의 가운데 용맥은 무자순(戊子旬) 패기
맥(敗氣脈)으로 취용 할 수 없다. 그 양쪽 용맥은 병자순(丙子旬), 경자순(庚子旬)으로 왕상맥(旺相脈)이므로
취용한다.
○4유(乾, 坤, 艮, 巽)와 8천간(甲, 乙, 丙, 丁, 庚, 辛, 壬, 癸)자의 가운데 용맥은 공란인 대공망(大空亡)으로 사
용할수 없다. 그 양쪽은 갑자순(甲子旬), 임자순(壬子旬)으로 고허맥(孤虛脈)이므로 소길다흉(小吉多凶)의
용맥이다.
○병자순(丙子旬), 경자순(庚子旬)의 모든 용맥은 왕상맥(旺相脈)으로 길격(吉格)이다.
○갑자순(甲子旬), 임자순(壬子旬)은 고허맥(孤虛脈)이 되어 소길다흉(小吉多凶)하므로 사용할 수 있는 용맥도
있지만 대체로 흉이 많다. (*참조)
○무자순(戊子旬), 대공망(大空亡)은 패기공망맥(敗氣空亡脈)으로 모든 용맥이 대흉(大凶)하므로 사용할 수 없
다.
천산72룡은 너무 세분화되어 있다. 행룡하는 용맥이 한 지점에서는 왕상맥이라도 다른 지점에서는 패기맥이 될
수도 있다. 반대로 과협처에서는 무기맥이라도 결인속기처에서는 왕상맥이 될 수도 있다. 때문에 이를 실용(實
用)하기에는 문제점이 많이 있다.
따라서 설사 72룡이 나쁘다 할지라도 주룡의 형기(形氣)가 좋으면 이에 구애받지 않는다. 이기(理氣)에 따른 약
간의 흉함은 있을지라도 혈의 결지에는 큰 지장이 없다는 것이 여러 풍수학자들의 주장이다. 따라서 이기에 너무
치우쳐 용진혈적한 진혈지를 버리는 우를 범해서는 안되겠다.
참고로 빈칸으로 내려온 천산72룡을 쓸 수 있다고 쓰여진 책도 있는데 옛 산서(山書)에 “십이공간위위대공망위
흉(十二空間謂爲大空亡爲凶)”이라고 하였다. 이를 해석하면 “12개의 빈칸을 설명하자면 대공망이 되어 흉하
다”라고 하duT다. 착오 없기를 바란다.
(6) 제6층 인반중침(人盤中針)
6층 인반중침은 혈 주변의 사격(砂格)의 방위를 측정하는데 사용한다. 모두 24방위가 배열되어 있는데, 4층 지
반정침에 비해 반위(7.5도) 뒤쪽에 놓여있다. 시계 바늘 방향을 순행으로 볼 때 반대 방향으로 7.5도 뒤에 있다.
그 이유는 물은 양이기 때문에 반위 앞서고, 산은 음이기 때문에 7.5도 역행된 것이다. 24방위의 한 궁위는 15도
다. 묘나 혈지의 중앙에 나경패철을 정반정침하고 6층으로 사격의 방위를 측정한다. 주변 사격들이 혈을 도와줄
수 있는 방위에 있는지 없는지를 각종 이법으로 살펴보는데 사용한다. 하늘에는 수 천억 개의 별들이 있다.
그 중에서 인간이 살고 있는 지상(地上)에 조응(照應)하는 별은 해(日)와 달(月)을 비롯하여 금성(金星), 수성
(水星), 목성(木星), 토성(土星), 화성(火星) 등과 자미원(紫微垣, 亥方), 천시원(天市垣, 艮方), 태미원(太微
垣, 巽方), 소미원(小微垣, 兌方)과 28성수(星宿)가 있다. 사격은 주로 28성수(星宿)로 본다.
<예문 1>
4층 지반정침으로 혈의 좌향을 측정하니 자좌오향(子坐午向)이었다. 6층 인반중침으로 측정하니 진(辰) 방향
에 수려하고 단정한 사격이 있다. 이때 이 사격은 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답>
좌의 자(子)는 성수오행으로 화(火)다. 사격의 진(辰)은 성수오행으로 금(金)이다. 좌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오
행의 상생상극을 살피면 화극금(火剋金)한다. 즉 좌의 오행이 사의 오행을 극하므로 육친에서 아극자(我剋者)
는 처재(妻財)로 길하다.
<예문 2>
4층으로 측정한 혈의 좌향이 계좌정향(癸坐丁向)이고 6층으로 측정한 사격은 축(丑)방위에 깨지고 부서지고 흉
하게있다. 이때 사격은 혈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가?
<답>
계좌(癸坐)는 성수오행으로 토(土)이며, 축(丑)은 금(金)이다. 토생금(土生金)하므로 상관(傷官)이고 사격이 혈
의 기운을 빼앗아 가므로 설기되어 흉하다.
<예문 3>
4층으로 측정한 혈의 좌향이 신좌을향(辛坐乙向)이고 6층으로 측정한 사격의 방위가 간(艮) 방위에 있다면 목
극토(木剋土)하여 사격이 혈을 극하므로 극아자(剋我者)가 되어 칠살(七殺)로 흉하다.
(7) 제7층 투지60룡
7층은 4층 지반정침의 쌍산(雙山) 방위에 각각 5개룡씩 60갑자가 등재되어 있다. 1개의 투지룡은 6도다. 투지
(透地)란 주산 현무봉에서 천산의 과정을 거치며 혈장의 입수도두까지 내려온 주룡의 용맥이 입수도두에서 혈
까지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주룡의 생기가 최종적으로 혈에 전달되는 과정으로 화갱살요공망맥(火坑煞曜空亡脈)은 피하고, 주보왕상맥
(珠寶旺相脈)만을 혈의 광중(壙中)까지 정확하게 입맥(入脈)시켜 재혈(裁穴)을 올바르게 하는데 사용한다.
나경패철에 있는 4층 지반정침과 7층 투지60룡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8) 제8층 천반봉침
8층에는 모두 24방위가 표시되어 있고, 4층 지반정침에 비해 반위[7.5도] 순행방향으로 앞서 있다. 이는 물은 움
직이는 것으로 양(陽)이기 때문이다. 8층 천반봉침은 득수처(得水處), 수구처(水口處), 지호수(池湖水) 등 정확
한 위치를 측정하는데 사용한다. 풍수지리에서 물은 용혈(龍穴)과 더불어 매우 중요하다. 음인 용과 양인 물이
서로 음양 교배를 해야 만이 혈을 결지 할 수 있다.
득수처의 측정은 혈 앞 명당으로 들어오는 물이 처음 보이는 곳인 시견처(視見處)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혈앞을 지나는 물이 우측에서 나와 좌측으로 흐르는지, 좌측에서 나와 우측으로 흐르는지를 살핀다. 그 다음 혈
에서 앞을 보고 몸은 돌리지 말고 고개만 좌나 우로 돌려 처음 보이는 곳이 득수처다. 대개 향에서 120도 정도이
므로 8궁위 떨어진 곳이 해당된다.
(9) 9층 분금
분금법(分金法)은 장사(葬事)에서 최종적 마무리 작업이다. 내광(內壙)에 하관(下棺)할 때 고허살요공망맥(孤
虛煞曜空亡脈)은 피하고 왕상분금(旺相分金)만을 취하여 영혼의 명복과 그 자손의 부귀왕정(富貴旺丁)을 도
모하는 층이다.
나경패철의 9층에는 4층 지반정침의 24좌산(坐山) 위에 각각 5분금씩 모두 120분금이 등재되어 있다. 이 5분금
중 3분금은 공란이고 2분금만 60갑자가 쓰여 있다. 또 등재되어 있는 글자[60갑자]는 천간자(天干字)가 모두 병
(丙), 정(丁), 경(庚) ,신(辛)으로만 되어 있다.
이는 왕상분금인 병, 정, 경, 신 (丙, 丁, 庚, 辛) 천간자로 시작되는 분금만을 표시한 것이다. 고허살요공망 분금
인 갑, 을, 무, 기, 임, 계(甲, 乙, 戊, 己, 壬, 癸)의 천간자로 시작되는 분금은 아예 기록하지 않고 공란으로 하였
다.
120분금중 갑을맥(甲乙脈)은 고(孤)하고, 병정맥(丙丁脈)은 왕(旺)하며, 무기맥(戊己脈)은 살요(煞曜)이고,
경신맥(庚辛脈)은 상(相)이며, 임자맥(壬癸脈)은 허(虛)하다. 따라서 좌를 정하고 그 좌에서 9층에 있는 2개의
분금 만을 사용할수 있다.
이때 두개의 분금 중 납음오행(納音五行)을 보아, 망명(亡命)의 생년(生年) 납음오행을 생하여 주거나, 비화(比
和)하거나, 망명의 납음오행이 분금의 납음오행을 극(剋)하면 길하다. 두개의 분금 중 이에 해당되는 하나를 골
라 사용한다.
만약 2개의 분금중 어느 것도 망명의 납음오행을 생하거나 ,비화하거나 극을 당하지 않아서 사용할 수가 없다면,
망명의 납음오행 대신 사손(嗣孫)인 장손(長孫) 또는 다른 자손의 생년 납음오행을 맞춘다.
--------------------------------------------------------------------------------------------------------------------------------------
■ 묘(墓)의 좌향(坐向) 해설
1. 묘좌유향(卯坐酉向)
풍수지리에서, 집터나 묏자리 따위가 묘방(卯方)을 등지고 유방(酉方)을 향하여 앉은 자리. 동쪽에서 서쪽을 향하여 앉은 자리이다.
2. 건좌(乾坐)
건(乾)은 오행(五行)중 금(金)에 해당하며 금중에셔 미연금(未鍊金)에 해당한다. 성품이 차(冷)며 둥근 형태를 이루어서 좌(坐)가 되면 진국(眞局)이며, 쌍행(雙行)된 용(龍)아래서는 좌를 놓는 것이 불길하다. 건(乾)의 동물 비유에는 늑대(狼)에 해당하며개(狗)와 비슷하고 영리하다.
늑대는 높은 봉우리를 좋아하며 내려다 보기를 또한 좋아하기 때문에 건좌(乾坐)는조금 높은곳이 정혈(正穴)이며, 혈심은 조금 깊은 듯한 것이 좋다.
3. 임좌(壬坐)
임(壬)은 오행(五行)중 수(水)에 속하며 범람하는 물과 강물에 해당한다. 출렁이는듯 살아서 숨쉬는 듯한 용에 좌(坐)를 정하여야 진국(眞局)이며 현무(玄武)봉이 너무 높아도 불합격(不合格)이다. 동물로는 제비(燕)에 해당하며맥(脈)의 입수(入首)부분이 현애(縣崖)한 곳에 좌(坐)를 잡아야 하며, 전면(前面)이 천리(千里)를 바라볼 수 있고 광야(廣野)가 있으면 더욱 진좌이다.
임좌(壬坐)는 순전(脣氈)이 짧은 것을 상관하지 않으며 안산(案山)이 먼 것도 상관없고, 조밀조밀한 산이 많은 것이 좋다.임좌의 혈은 보통 약 4척(四尺)정도의 깊이이다.
4. 자좌(子坐)
자(子)는 오행으로 수(水)에 속하며 양양(洋洋)한 바닷물에 비유되며 폭포수에도 비유된다. 꿈틀대는 내룡(來龍)에 좌가 되어야 하고, 안산(案山) 보다도 안수(案水)에 더 자세히 하여야 하며, 안산은 얕고 안수는 넓고 광활하고, 큰강이 있되 강물빛이 보이지 말아야 하며, 가까운 강에서나 폭포에는 소리가 들리지 말아야 한다.
혈심은 중앙(中央)에서 상(上)으로 약간 올려야 하며 일엽편주(一葉片舟)와 같은 곳이지만 자(子)좌의 격(格)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동물은 쥐(鼠)에 해당하며, 혈(穴)뒤가 불룩 튀어나온 듯한 것이 진국(眞局)이고, 약간 숨은 듯한 혈성(穴星)도 괜찮다.
5. 계좌(癸坐)
계좌(癸坐)는 오행으로 수(水)에 해당하며 정중수(井中水) 또는 소계(小溪)이다.
계(癸)는 아직 해동(解凍)이 안된 물로써 화산(火山)의 맥(脈)아래에 좌(坐)를 정하지 말아야 한다. 반대로 앞에 안산(案山)에 화산(火山)이 있거나 각 골에서 내려오는 물이 한데 어울리면 두령급(頭領及)의 자손이 나온다.
동물로는 박쥐에 해당되고 어두운 것을 좋아하여 낮과 밤을 다 이용하여 장구(長久)한 골을 좋아한다.
안산(案山)이 높은 것이 귀격(貴格)이며 혈을 향하여 고개를 숙인 듯하여야 한다.
6. 축좌(丑坐)
축(丑)은 오행으로는 토(土)에 해당하며 동토(凍土)이다.
축토는 아직 불성기(不成器)의 토이기 때문에 본성(本性)인 동토(凍土)의 성품을 지키려 하기 때문에 약간 습(濕)한 것도 꺼리지 않으며 약간의 음지(陰地)도 상관없는 것이다.
동물로는 소(牛)에 해당하며 소의 좌(坐)에는 좌우(左右) 혹은 앞에 암석(岩石)이 있으면 노적봉(露積峰)이라 하여 대귀자(大貴坐)가 된다. 축좌(丑坐)는 사방(四方)의 바람이 닿지 말아야 하며 습(濕)하여도, 음침하여서도 안된다. 혈(穴)은 소 잔등이 모양으로 편편하여야 한다.
7. 간좌(艮坐)
간좌(艮坐)는 오행으로 토(土)에 속하며 생토(生土)에 속한다. 인(寅) 입수에 간좌(艮坐)는 대귀좌(大貴坐)이며 이 역시 토(土)의 근원이자 판국이 없을수록 좋으나 순전(脣氈)이 넓은 것은 크게 꺼린다. 간좌(艮坐)에는 석물(石物)을 하면 크게 대흉(大凶)하며자손이 불구자(不具者)또는 정신이상(精神異狀)의 자손이 출생하게 되며, 산모(産母)가 죽는 경우도 있다.
석관(石棺)을 쓰지 말며 비석도 불가하다. 더욱 앞에 축대를 쌓으면 그 훙(凶)이 측량키 어렵다.
간좌(艮坐)에는 게(蟹)로써 주변이 습(濕)한 것을 좋아하며 좌(坐)가 너무 높으면 쓰지 못한다.
혈(穴)은 깊지 말아야 하며묘(墓)앞에 거목(巨木)이 있으면 대귀(大貴)한다.
8. 갑좌(甲坐)
갑(甲)은 목(木)에 해당하며 위로 치솟는 나무에 비유된다. 역시 양동(梁棟)의 목이며 장목(長木)이다. 갑좌(甲坐)의 앞으로 청룡수(靑龍水)가 돌고 돌아 물길이 보이지 않으며 바람소리도 없으며 대길지(大吉地)이고 현애(懸崖)한 곳은 불길(不吉)하다.
동물의 비유는 여우(孤)이니, 여우는 의심이 많은 동물로 혈판이 거무소거(去無所去)이며, 내무내소(來無來所)하고 쭉 뻗어나가듯 하면서도 뻗지 않았고 말려들어 올 듯 하면서도 온 자취가 불명한 것이 제격이니, 조금 음숙하고 약간 와(窟)하여야 하며, 혈은 조금 깊은듯 하여야 격 (格)에 맞는다.
9. 을좌(乙坐)
을(乙)은 오행으로 목(木)에 해당하며 을목(乙木)은 치솟기 보다는 옆으로 퍼지기를 좋아한다. 이 좌는 삼태기 형상이나 키의 형상이 제격이며, 주변에 작은 목산(木山)이 많아야 발복 (發福)을 한다.
동물로는 담비(다람쥐와 비슷하며 크기는 고양이 만함)이며 떼를 지어 다니며 어떠한 동물도 담비에 걸리면 살아남지 못한다 하여 무섭게 여기는 동물이다.좌는 조금 높은 듯 한것이 길격(吉格)이며 좌의 직선에 동좌(同坐)산이 있으면 최고의 명당이다.
10. 인좌(寅坐)
인(寅)은 오행으로 목(木)에 해당하며 양주목(梁柱木)에 해당한다. 혈성은 조금 펑퍼짐 하여야 하여야 격(格)에 맞는다. 인좌(寅坐)는 약간 고원지(高原地)에 위치하여야 하며 산하(山下)가 한눈에 보여야 길격 (吉格)이며 자손이 근심이 없다.
동물은 범(虎)에 해당하며 범은 포효(砲哮)하는 동물이기 때문에 산울림(響聲)이 강해 산이 진동하면 대대로 자손이 정권(政權)을 장악하거나 작은 단체라도 항시 수뇌(首腦)애 해당한다 고원지(高原地)에 혈성이 약간 손바닥 모양으로 길게 뻗은 곳이어야 한다. 혈의 깊이는 신경쓸 필요가 없지만 약 3-4척 정도면 된다.
11. 진좌(辰坐)
진(辰)은 토(土)에 해당하며 광토(廣土) 습토(濕土)에 해당한다. 진좌(辰坐)를 맺기까지는 내룡(來龍)이 길게 흘러 살아 움직이는 듯 하여야 하며, 굴곡이 꿈틀대고 머리를 하늘로 오를 듯 쳐든 곳에 좌를 맺어야 한다.
진(辰)은 동물로는 용(龍)에 해당하며 용은 상상수(想想獸)라 은현(隱現)을 동시에 하고 좌우(左右)에 여의주와 같은 작은 봉(峰)이나 바위가 있으면 아주 좋으며 진입수(辰入首)에 이 좌를 놓으면 용천(龍天)하는 상의 자식을 둔다.
이 좌의 앞에는 상석 등 모든 석물(石物)은 하지 말아야 하며 중석(重石)으로 비석을 세우면 가솔(家率)이 흉액(凶厄)을 면하기 어려우며산봉(山峰)에 항상 안개가 동아리를 트는 사늬 줄기면 진좌가 더욱 발복(發福)한다.
12. 신좌(申坐)
신(申)은 오행으로 금(金)에 속하며 백금(白金)에 해당한다. 산세(山勢)가 금형(金形)을 띤 용(龍)아래에 있는 것이 상품(上品)이다. 신좌(申坐)는 산이 높고 앞이 확 트이고 농부(農夫)의 농가(農家)가 들리는 듯한 곳에 좌(坐)를 정하면 좋다.
신좌(申坐)는 동물의 비유로는 원숭이(猿)에 해당하며 원숭이는 사람과는 근사치로 닮아서 높이 오르기를 좋아하고 또한 영리하기 때문에 안산(案山), 조산(祖山)이 넓게 평야를 이룬듯. 또한 노적가리를 세운 듯하며, 좌청룡(左靑龍) 우백호(右白虎)가 혈을근시(近侍)하는 곳이라야 한다. 만약 막혔으면 삼가야 할 것이다.
13. 경좌(庚坐)
경(庚)은 오행으로 금(金)에 속하며 부금(斧金)에 또는 도금(刀金)에 해당한다. 경좌(庚坐)는 내룡(內龍)이 오정맥(午丁脈) 아래에 있는 것이 경좌(庚坐)이며 높지 않은 산 아래(山末尾)에는 이 좌를 놓지 않는다.
동물로는 까마귀(烏鳥)에 비유되며 까마귀는 무리를 짓고 등비(登飛)하기를 좋아하며 높은 봉에 무리봉이 많이 보이는 곳이 정국(定局)이다. 만약 산미(山尾)에 이 좌를 놓게 되면 오정맥(午丁脈)을 피하여 금수맥(金水脈)이면 무방하다. 소명당(小明堂)이 너무 넓으면 안 되며 길옆(路傍)은 무방하며 음혈(陰穴)이여야 한다.
14. 유좌(酉坐)
유(酉)는 오행으로는 금(金)에 속하며 차전(차釧)에 해당하며 성기물(成器物)에 해당한다. 유좌(酉坐)는 고원지(高原地)는 불마(不美)하며 전장(田葬)또는 비산비야(非山非野)에 정하는 것이 좋으며 동네(洞里)근처에 정하여도 무방하다.
유좌(酉坐)는 사오정(巳午丁)에 입수(入首)하여 놓으면 당대에 멸망하고 간임계(艮壬癸) 내룡(來龍)에 정좌(定坐)하면 당대(當代)에크게 발복한다. 동물은 닭(鷄)에 해당하며 닭은 발로 헤쳐내어 사(砂)는 버리고 곡식만 탐(貪)하는 것이라 혈전(穴前)이 너무 넓으면 다 새어 버리니 유의 하여야 한다.
15. 신좌(辛坐)
신(辛)은 오행으로 금(金)에 속하며 경금(庚金)이 장금(藏金)이면 신금(辛金)은 노금(露金)이며, 경금이 강금(鋼金)이라면 신금(辛金)은 유금(柔金)에 해당한다. 신좌(辛坐)는 인성(人聲)이 안들리고 아주 그윽하여 오방안위(五方安位)처가 되어 방풍(防風)이 잘되고 안산(案山)이 듬직하여야 한다.
신좌(辛坐)도 화산용(火山龍)이나 사오미(巳午未) 용은 불길하다. 신좌(辛坐)의 동물은 꿩(雉)에 비유하니 꿩은 낮게 기어다니기를 좋아하며 겁이 많은 날짐승이라, 인가 근처를 피하고 산이 우는(山鳴)곳은 절대 좌를 정해서는 아니되며 너무 가파른 곳도 불길하다.
16. 술좌(戌坐)
술(戌)은 흙이 한토(寒土)이자 건토(乾土)이다.
무용지물(無用之物)의 토이지만 감계(坎癸) 입수에 술좌(戌坐)를 놓으면 대대로 자손이 크게 발복하고,명성이 하해(河海)같이 떨친다. 대부분 술좌(戌坐)에 술(戌) 입수하기도 하지만 이때도 안산이 수화산(水火山)이어야 길하며 입수의 목이 은은 하여야 한다.
동물의 상징은 개(狗)에 해당하며 개도 인간과 가장 친근한 동물로써 사방의 풍성(風聲)이 들려도 무방하며 비산비야(非山非野)도 무방하며 또한 고원(高原)도 좋으나 오직 임해(壬亥)입수는 크게 흉하다. 더욱이 인가근처는 상길(上吉)하다.
17. 해좌(亥坐)
해좌(亥坐)는 저(猪), 돼지는 혈재비습처(穴在卑濕處)로서 혈판국(穴坂局)은 와(窩)라야 진(眞)이다, 혈심(穴深)은 삼척팔촌(三尺八寸)이 길(吉)하다. 또 해좌(亥坐)는 건입수(乾入首) 해좌(亥坐)라야 길하다.
野村 李在薰
'■ 보학 > 전통예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나친 형식은 예(禮)가 아니다. (0) | 2010.04.30 |
---|---|
사계 김장생의 예설(沙溪 金長生의 禮說) (0) | 2010.04.30 |
가정의례 일반상식 (0) | 2010.03.17 |
부부 동반 모임에서 친구들의 부인 호칭? (0) | 2010.03.17 |
노재 - 퍼온글 (0) | 2010.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