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문집.고서.문헌

청천집(靑泉集) - 申維翰 著

야촌(1) 2012. 8. 15. 19:26

 

 

 

 

 

 

● 신유한(申維翰)

 

조선 후기의 문인 신유한(申維翰)의 시문집으로, 6권 3책의 목판본이다. 간행연대는 미상이다.

권두에 이미(李瀰)의 서문이 있다. 권1·2는 시 413수, 권3은 부(賦) 4편, 서(書) 31편, 권4는 서(序) 17편, 기(記) 18편, 권5는 기 8편, 발(跋) 4편, 전(傳) 1편, 찬(贊) 1편, 비명(碑銘) 2편, 제문 14편, 권6은 애사 3편, 잡저 19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미(李瀰)는 서문에서 신유한의 문장에 대하여 시는 명(明)나라의 이반룡(李攀龍)을 배웠다.,

부(賦)는 노남(盧枏)을 스승으로 하였다. 그리고 ≪초사 楚辭≫를 수만 번 읽었다고 소개하고 있다.

 

《청천집》의<제촉석루 題矗石樓>는 촉석루를 읊은 것이다.

“진양성외수동류(晉陽城外水東流)”로 시작하고 있다. 작자의 시(詩) 중에서 가장 유명한 작품이다.

 

《청천집》의 <야성작객자서 野城作客自敍>에서는 사(辭)는 초(楚)를 배우려 기약하였다.

문(文)은 진(秦)나라 이전 것만이 마음에 허여되었다고 스스로의 문장을 말하였다.

 

《청천집》의 <산유화곡 山有花曲>은 선산지방의 열부 향랑(香娘)이 물에 몸을 던지면서 남겼다고 전해오는 원가(怨歌)를 9장의 사(詞)로 읊은 것이다. ≪시경≫의 한토막을 보는 듯하다. 또한 거처인 백련사(白蓮社)에서 소객들과 나눈 시·행(行)·가(歌)·사(詞) 등은 모두 쉽게 대하기 힘든 작품들이다.

 

《청천집》의 서(書)의 <여임정언박논문서 與任正言璞論文書>와 잡저의 <서여윤태학사순논문사 敍與尹太學士淳論文事>는 신유한의 문학관이 나타나 있는 글들이다. 앞의 것은 문학비평이고, 뒤의 것은 순수한 문학관이다.

 

<여임정언박논문서>에서는 ≪한서 漢書≫ 등을 읽고서 문장의 바른 길이 사서(史書)에 있다고 단정을 내렸다.

<여임정언박논문서>에서는 문장을 기사(紀事)·기언(紀言)·기전(紀傳)의 세 가지 체로 나누었다.

 

이 세 문장의 근원은 ≪서경≫과 ≪춘추≫에서 찾았다. 문학평으로는 한유(韓愈)에 이르러 각 방면의 체제가 정립되었다.

그러나 정작 한유에 의하여 고문의 체제가 무너졌다고 하였다.

 

신유한은 우리 나라에서는 최치원(崔致遠)을 문학의 개조(開祖)로 손꼽았다.

≪서경≫의 순전(舜典)·고명(顧命), ≪논어≫의 향당편(鄕黨篇), ≪사기 史記≫의 항우본기(項羽本紀)와 관부열전(灌夫列傳)을 한 글자도 가감할 수 없는 명문으로 꼽았다.

 

<서여윤태학사순논문사>에서는 자신의 문장수업을 말하여 마음을 도(道)에서 노닐게 하고 학문을 도탑게 하여 이치가 밝아지면 문장은 저절로 안정이 된다고 하였다.

 

《청천집》의 서(序) 중에서 <봉신임서장정부연서 奉贐任書狀珽赴燕序>는 청나라에 가는 임정에게 준 글이다.

야인에게 짓밟힌 중국에서 옛 문물을 찾을 수 없거든 돌아와서 임금에게 우리의 문물이 기자 이래의 전통을 잃지 않은 것이니 이를 천하에 내세워 왕도가 우리에게 있음을 천명하자 아뢰라.

 

그리고 중국에 옛 문물이 되살아났거든 돌아와 우리가 병자호란 이래 풀지 못한 100년 한을 마음에서 씻어버리도록 하자고 아뢰라는 내용으로 대청(對淸)의 감정을 드러내었다.

 

《청천집》의 <임서하집발 林西河集跋>·<박절사전 朴節士傳>·<신각송운대사분충서난록발 新刻松雲大師奮忠紓難錄跋〉 등은 주목할 만한 글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