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 소장본(1939년 石版本)
행록>정염(丁焰) 찬(撰)
↑묘갈명>김상헌(金尙憲) 찬(撰)
↑발문>이용우(李用雨) 찬(撰)
↑재사당선생 유필
■ 재사당집(再思堂集)
[序] 著雍攝提格(1938)...宋浚弼
[跋] 戊寅(1938)...金泰鎭
[跋] 著擁攝提格(1938)...李用雨
이원『李黿, 1471년(추정)~1504년(연산 10)』
조선 초기의 문신이다. 무오사화 때 김종직의 당인으로 지목되어 유배되었으며, 갑자사화 때 참형을 당하였다. 문장에 능하였는데, 저서《금강록》은 김일손이 당대 최고의 문장이라 평하였다.
------------------------------------------------------------------------------------------------------------------------------------
●형태서지
[권수재제] 재사당선생일집(再思堂先生逸集)
[판심제] 재사당선생일집(再思堂先生逸集)
[ 간종] 석인본(石印本)
[간행년도] 1939년 간행
[권책] 목록(目錄)ㆍ본집(本集) 2권ㆍ유묵(遺墨) 합 1책
[행자] 10행 20자
[규격] 21.4×15.2(㎝)
[어미] 上二葉花紋魚尾
●저자
[성명] 이원(李黿)
[생졸년] 1471추정 ~ 1504년(연산군 10)
[자] 낭옹(浪翁)
[호] 재사당(再思堂)
[본관] 경주(慶州)
[특기사항] 점필재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사육신 박팽년(朴彭年)의 외손.
●가계도
이윤인(李尹仁)
관찰사(觀察使)
ㅣ
ㄴ---이공린(李公麟)
현령(縣令)
∥
순천박씨(順天朴氏)
박팽년( 朴彭年)의 二女
ㅣ
├---이오(李鰲)
ㅣ 좌랑(佐郞)
ㅣ
├---이구(李龜)
ㅣ 판결사(判決事)
ㅣ
├---이원(李黿)
ㅣ 예조좌랑(禮曹左郞)→증 도승지(贈 都承旨)
ㅣ ∥
ㅣ 개성최씨(開城崔氏) 최철손(崔鐵孫)의 女
ㅣ ㅣ
ㅣ └ -이수(李洙)---이하(李河)---이강(李江)---이발(李渤)
ㅣ 군수(郡守) 出系→별(鼈) 좌승지(左承旨)
ㅣ 出系→타(鼉)
├---이타(李鼉)
ㅣ 생원(生員)
ㅣ
├---이별(李鼈)
ㅣ 진사(進士)
ㅣ
├---이벽(李鼊)
ㅣ 진사(進士)→증 참판(贈 參判)
ㅣ
├---이경(李鯨)
ㅣ 참봉(參奉)
ㅣ
ㄴ---이곤(李鯤)
● 행력
왕력 | 서기 | 간지 | 연호 | 연령 | 기사 | ||
성종 | 11 | 1480 | 경자 | 成化 | 16 | 9 | 진사시에 합격하다. |
성종 | 20 | 1489 | 기유 | 弘治 | 2 | 18 | 문과에 합격하다. |
성종 | 24 | 1493 | 계축 | 弘治 | 6 | 22 | 承文院 博士가 되다. ○ 점필재 金宗直의 시호를 의논하여 아뢴 일로 파직되다. ○ 金剛山을 유람하고 〈遊金剛錄〉을 남기다. ○ 〈格物物格說〉을 짓다. |
연산군 | 1 | 1495 | 을묘 | 弘治 | 8 | 24 | 湖堂에 들어가 사가독서하다. |
연산군 | 4 | 1498 | 무오 | 弘治 | 11 | 27 | 戊午史禍가 일어나자 김종직의 제자로 연루되어 郭山에 杖配되다. ○ 〈述志賦〉ㆍ〈百祥樓〉를 짓다. |
연산군 | 6 | 1500 | 경신 | 弘治 | 13 | 29 | 羅州에 移配되다. |
연산군 | 10 | 1504 | 갑자 | 弘治 | 17 | 33 | 8월, 부인 崔氏의 상을 당하다. ○ 10월 24일, 甲子士禍가 일어나 斬刑을 당하다. 부친과 형제도 연좌되어 유배되다. ○ 楊州 泉谿村에 合葬되다. |
중종 | 1 | 1506 | 병인 | 正德 | 1 | - | 都承旨에 추증되고 자손에 대한 錄用이 허락되다. |
인조 | 13 | 1635 | 을해 | 崇禎 | 8 | - | 증손 李大鼎이 金尙憲에게 묘갈명을 받다. |
숙종 | 24 | 1698 | 무인 | 康熙 | 37 | - | 후손 李寅燁이 유고를 모아 「益齋集」에 附編하여 간행하다. |
숙종 | 35 | 1709 | 기축 | 康熙 | 48 | - | 郭山에 月浦祠를 세워 享祀하다. |
숙종 | 38 | 1712 | 임진 | 康熙 | 51 | - | 羅州에 榮江書院을 세워 향사하다. |
영조 | 6 | 1730 | 경술 | 雍正 | 8 | - | 후손 李衡坤ㆍ李錫禧 등이 묘갈을 세우다. |
- | - | 1939 | 기묘 | - | - | - | 후손 李鍾泂ㆍ李用雨 등이 論山에서 유고를 편차하여 간행하다.(宋浚弼의 序) |
-기사전거 : 行錄 및 墓碣ㆍ墓誌에 의함-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인 이원(李黿)의 문집이다.
초간본은 후손 이인엽(李寅燁)이 유고를 모아 1698년(숙종 24) 《익재집(益齋集)》에 부편(附編)하여 간행한 이후 후손 이종형(李鍾泂) 등이 시문 약간 편을 수집 보태어 1939년에 2권 1책 석인본으로 중간하였다.
●편찬 및 간행
저자의 유고 2책이 후손 이홍업(李弘業)에 의하여 가장(家藏)되고 있었다고 하나 임진왜란 이후로 유실된 듯하다.
그 후, 후손 이인엽(李寅燁)이 후손 집에 전하고 있던 〈유금강록(遊金剛錄)〉에 정염(丁焰)이 지은 〈행록(行錄)〉과 「동문선」 등에 전하는 시부(詩賦) 약간 편을 뽑아 집일(輯佚)ㆍ편차하여, 1698년 「익재집(益齋集)」 간행 시에 부집(附集)으로 간행하였다.《초간본》
이 초간본은 현재 「익재집」에 합편되어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그 뒤에 후손 이종형(李鍾泂)ㆍ이용우(李用雨) 등이「동문선(東文選)」.「기아(箕雅=조선후기 남용익(南龍翼)이 편집하고 간행한 시선집(詩選集)」에서 집록(輯錄)한 시문과, 사우제가(士友諸家)에서 수집한 시문(詩文) 약간 편을 다시 증보 편차하여 본집 1권과 부록 1권으로 엮었다.
1938년 송준필(宋浚弼)에게 교감(校勘)과 서문(序文)을 부탁하여 1939년 논산(論山)에서 석인본(石印本)으로 간행하였다.《중간본》 현재 국립중앙도서관, 성균관대학교ㆍ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본서의 저본은 1939년 간행된 중간본이다.
●구성과 내용
본 문집은 2권 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권수에는 송준필(宋浚弼)의 서(序)와 목록(目錄)이 실려 있다.
권1에는 詩ㆍ賦ㆍ啓ㆍ供辭ㆍ雜著ㆍ記가 실려 있다. 이 중 詩는 「東文選」ㆍ〈遊金剛錄〉 등에서 모은 것으로, 대부분 金剛山 일대를 유람하며 지은 〈遊金剛錄〉에서 뽑은 것이다.
賦는 進士試에 응시하여 지은 〈聖主得賢臣賦〉, 成均館에 있을 때 지은 〈次韻牧隱先生觀魚臺賦〉와 郭山 유배 시에 지은 〈述志賦〉가 있는데, 앞의 2편은 유실되고 〈述志賦〉만 실려 있다.
啓는 점필재 金宗直의 議諡에 관한 것이며, 供辭는 戊午年 국문 시의 供辭로서 實錄에 실려 있는 글이다.
雜著인 〈遊金剛錄〉은 1493년 파직된 후에 금강산 일대를 유람하고 지은 것이며, 記는 〈間竹亭記〉인데, 친우인 朴而經이 선친의 間竹亭을 중수할 때 지어 준 글이다.
권2는 附錄으로 行錄, 墓道文字 및 저자가 享祀된 榮江書院에 관한 기록, 遺事, 立命碑重修事實, 李胄의 贈別詩 事實摭錄 등을 모은 것이다. 그중 墓道文字 및 관계 기록은 金尙憲의 묘갈명, 許穆의 묘지명과 1730년 墓碣을 세울 때의 기록이며, 事實摭錄은 實錄ㆍ秋江師友錄ㆍ海東名臣錄 등에서 관계 기록을 抄出하여 輯錄한 것이다
권미에는 遺墨 1편과 金泰鎭, 후손 李圭廈ㆍ李鍾浩ㆍ李用雨가 쓴 발문이 실려 있다.
본 문집은 2권 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수에는 송준필(宋浚弼)의 서(序)와 목록(目錄)이 실려 있다.
권1에는 詩ㆍ賦ㆍ啓ㆍ供辭ㆍ雜著ㆍ記가 실려 있다. 이 중 詩는「東文選」.〈遊金剛錄〉 등에서 모은 것으로, 대부분 金剛山 일대를 유람하며 지은 〈遊金剛錄〉에서 뽑은 것이다.
賦는 進士試에 응시하여 지은 〈聖主得賢臣賦〉, 成均館에 있을 때 지은 〈次韻牧隱先生觀魚臺賦〉와 郭山 유배 시에 지은 〈述志賦〉가 있는데, 앞의 2편은 유실되고 〈述志賦〉만 실려 있다.
啓는 점필재 金宗直의 議諡에 관한 것이며, 供辭는 戊午年 국문 시의 供辭로서 實錄에 실려 있는 글이다.
雜著인 〈遊金剛錄〉은 1493년 파직된 후에 금강산 일대를 유람하고 지은 것이며, 記는 〈間竹亭記〉인데, 친우인 朴而經이 선친의 間竹亭을 중수할 때 지어 준 글이다.
권2는 附錄으로 行錄, 墓道文字 및 저자가 享祀된 榮江書院에 관한 기록, 遺事, 立命碑重修事實, 李胄의 贈別詩 事實摭錄 등을 모은 것이다. 그중 墓道文字 및 관계 기록은 金尙憲의 묘갈명, 許穆의 묘지명과 1730년 墓碣을 세울 때의 기록이며,事實摭錄은 實錄ㆍ秋江師友錄ㆍ海東名臣錄 등에서 관계 기록을 抄出하여 輯錄한 것이다.
권미에는 遺墨 1편과 金泰鎭, 후손 李圭廈ㆍ李鍾浩ㆍ李用雨가 쓴 발문이 실려 있다.(끝)
野村 李在薰
'■ 경주이씨 > 선조문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이씨금석록(慶州李氏金石錄) (0) | 2011.11.16 |
---|---|
야은서사(野隱書舍) (0) | 2011.11.03 |
익재선생문집(益齋先生文集) (0) | 2011.09.30 |
활계집(活溪集)-이대유 저 (0) | 2011.09.20 |
학남선생문집(鶴南先生文集)/이회경(李晦慶) 著 (0) | 2011.07.24 |